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동시대 미술 지형 속 상황주의적 전략과 사회적 틈에 대한 연구 - 재전유와 표류의 개념을 중심으로 -
  • 저자명|신병준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7
  • 담당교수|김형수

주제어

동시대 미술, 상황주의, 재전유, 표류, 포스트-미디엄, 관계의 미학, contemporary art, situationist international (S.I), detournement, derive, post-medium condition, relational aesthetics

국문초록

동시대 미술은 권력적인 공간에서 평면적으로 작동하기보다는 삶에 가까운 층위에서 입체적이고 다각적으로 기능하면서 장르 간의 경계마저 감지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함께 예술은 다원화된 성향을 띠게 되었고, 보다 자유로운 표현양식과 실천들이 가능해졌지만 그에 따른 목적과 의의가 점점 흐려지면서 예술은 종말론의 상황에까지 놓이게 되었다. 본 논문은 자본주의 시스템 안에서 이제 상품(commodity)으로 평가받으며 더 이상 이와 같은 상황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고 판단되는 예술의 지형 안에서도 여전히 존재하는 저항적인 움직임에 대한 관심과 이를 통한 가능성들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궁금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그중에서도 시대의 흐름을 타고 변화된 미술의 지형 속에서 지난 1950년대 국제상황주의자(Situationist International)들이 자본주의에 저항하기 위해 제안했던 아방가르드적 대안들 그리고 그 구체적 전략들은 동시대 어떠한 형태로 반영되어 작동 중인가에 주목하여 사유해보고자 하였다. 동시대 미술에서 지난 작품의 형식들 그리고 외연적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인용 혹은 전용하고 있는 작업들을 만나는 일은 더 이상 어렵지 않다. 또한 장소 특정적(site-specific)인 고찰로부터 시작된 작업이나 폐쇄적인 형태의 장소에서 고정적으로 작품을 관람하기보다는 관객이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생활 속 여러 공간들을 유연하게 이동하면서 작품을 경험/체험하는 형식 또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동시대 미술의 형식과 그 다양한 움직임들에 주목하면서 본 연구의 중심을 관통하고 있는 재전유(detournement) 그리고 표류(derive)와 같은 국제상황주의자들의 대표적인 전략들을 세밀히 복귀해보고 이를 다시 동시대 미술 현장의 움직임에 연결하여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와 같은 교차적인 논의의 방식을 통해 동시대 미술의 형식과 그 흐름이 야기하는 가능성들을 탐구해보고 궁극적으로는 비관적인 지금의 미술비평 속에서도 창의적 활동을 통한 사회적인 틈(interstice)의 발생은 과연 가능한지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한 연구의 목적은 지난 상황주의자들의 변혁 의지가 동시대 변화된 사회 환경 속에서 그 유효성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는가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자본주의에 종속된 동시대 미술이 실제로 그리는 가능성의 궤적을 짐작해보는 것에 있다. 또한 본 연구의 목표는 동시대 미술 현장에서의 구체적인 사례들과 지난 아방가르드적 전략들 사이 구축되는 시대적 상관관계들을 진지하게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예술적 실천들을 통한 새로운 반전의 기회를 모색해 보는 것에 두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동시대 나타나는 상황주의적 전략에 대한 논의를 순수미술의 영역 안으로 한정하여 시대적 흐름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기보다는 동시대 패션이나 디자인 그리고 음악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나타나는 재전유적 태도들까지 확장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시도는 재전유적 태도가 상업적으로 전도되어 자본주의 속 창발되는 지금의 모순적인 상황들 역시 살펴보고자 함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과정을 통해 동시대 미술에 대한 논의의 근거들을 보다 더 역동적이고 실효성 있는 층위에서 마련하여 진단해봄으로써 새로운 미술의 움직임을 통한 저항적 움직임들과 그 가능성을 가늠해볼 수 있는 사유의 단초가 마련되기를 기대해 본다.

영문초록

Contemporary art has done various attempts in closer level to our lives by functioning three-dimensional and multilateral rather than two-dimensional at authoritative space without noticing the boundary among genres.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art has been getting plural, it made art possible to have freer form of expression and practice, however, the art, itself has been put in the status of eschatology as its purpose and significance of being blurred. This research paper has been started with question of being curious about what are the resistance that are still existing and possibilities in the topography that is no longer free from this situation of that art is evaluated as a ‘commodity’, not itself in era of capitalism. Among those, the paper specifically focuses on what are the avant-garde alternatives that The Situationist International(SI) suggested to revolt against capitalism in 1950’s, and how those concrete tactics were to be reflected and operated in that generation. These days, it is not hard to find work quoting or using form and explicit requisites of past works in contemporary art. Also, the trend that audiences are actively engaged in arts by experiencing those in many spaces in their lives is on a rise, rather than the works begun with the reflection of being site-specific or exhibition in closed space. Researcher thought that focusing those form of contemporary art and various movements, it is necessary to revert those representative strategies of situationist international that penetrate this paper such as re-appropriation (detournement) and drift (derive) to connect those to the movement of scene in contemporary art. Likewise, by using cross-discussion method, this paper would like to explore the form of contemporary art and possibilities that those flows could cause, and ultimately, this research paper puts meaning of trying in-depth analysis whether it is possible to generate social interstice through creative activities in this pessimistic art criticis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assume the orbit of actual possibilities that the contemporary art subordinated by capitalism could have, by recognizing how the will of change of situationist international in the past could procure the effectiveness in changed social circumstances. Also, another purpose of the paper is having the new reversal opportunities of alternatives that could change this situation by having artistic practice for these days with scoping on the periodic correlations between specific examples and past avant-garde tactics. Lastly, this research paper has expanded the view of situationism strategies to the way how various fields, such as contemporary fashion, design and music, show the re-appropriation attitudes, rather than just discussing only about the stream of times in pure fine arts field. This attempt is also to understand about the contradicting situations of re-appropriation is conducted commercially in capitalism. By having this process of study, researcher is looking forward to having more dynamic and effective bases of discussion and weighing up the possibilities of resistant movement by having new movement in contemporary art.

비고 : MMA-1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