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대중음악공연의 빛 연출 연구
  • 저자명|정혜정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7
  • 담당교수|김형수

주제어

음악조명, 무대조명, 빛, 대중음악공연, 연출 미학, 조명 미학, 아돌프아피아, music lighting, stage lighting, light, live pop music performances, the aesthetics of directing, the aesthetics of stage lighting, adolphe appia

국문초록

대중음악공연의 역사는 길지 않지만, 그 기술은 어느 시대보다도 빠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또한, 음악을 듣고 보러 찾아온 관객들에게 대중음악 아티스트의 콘셉트에 맞게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고 빛을 더 숙련되고 멋있게 보여주고자 하는 공연 연출가와 조명 연출가의 관심도 대단하다.
너무나 빠른 기술의 발전 속에 조명 기술의 발전도 그 어느 때보다 대단하지만, 다양한 영상장비들과 각종 무대 장치물 등의 발전도 그에 못지않게 빠르게 진행되면서 나날이 복잡해지고 전문화되어가고 있어 좋은 연출이라는 것이 예술적인지 기술적인지 그 판단의 기준 또한 점점 모호해 지고 있다. 다시 말해, 빛 연출에 대한 자신만의 기준을 확고하게 가지고 많은 광원과 다양한 기술을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혹은 버릴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 시대인 것이다.

본 연구는, 비교적 다른 분야에 비해 역사가 짧은 대중음악공연의 빛 연출에 대하여 생각해 보기 전에, 먼저 빛을 인식하고 이미지화했던 여러 분야의 예술적 흐름과 그에 대한 관점들을 살펴봄으로써, 시대와 분야가 달라도 빛을 다루는 사람들이 고민했던 생각들을 점검한다.
그리고 특히 무대라는 공간에서 빛을 어떻게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어떻게 사용해 왔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중에서도 진지하게 무대 공간에서의 빛에 대하여 연출 미학적으로 고민했던 무대 연출가들의 빛에 대한 관점과 그 흐름을 정리해보면서, 대중음악공연의 빛 연출에 대한 자신만의 관점과 해석 기준을 갖기 위해 점검해 보아야 할 생각들을 살펴볼 것이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는 무대와 빛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빛을 다루는 기술의 변화 속에서 무대 공간과 빛에 대해 자신만의 관점으로 접근하는 많은 연출가가 등장하였던 시기이다. 그중에서도 무대 위 음악을 시각화하는 조명에 대한 생각을 이론화하고 제안해 나갔던 연출가 아돌프 아피아(Adolphe Appia, 1862-1928)는, 자신의 글과 디자인 등을 통해 이후 많은 무대예술가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대중음악공연에서 빛을 다루는 이 시대의 조명 디자이너들에게도 생각의 바탕을 제공할 수 있는 미학적 이념을 제시하였다.
물론, 그의 빛 연출 미학은 이미 100여 년 전의 이론으로 현재의 대중음악공연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아직 무대 공간에서의 빛이 개념적으로만 존재하였던 시기의 이론으로서, 빛을 사용하려는 여러 기술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현재와 같이 밝기가 확보되고 안전하며 통제 가능한 빛을 사용할 수 없었던 시대적 한계로 인해 실제로 적용될 수 없었지만, 현실적이기보다 이상적으로 제시된 이론으로서 더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오히려 아피아의 무대 미학에서 영향을 받아 미국의 무대 디자이너 리 시몬슨(Lee Simonson, 1888-1967)이 정리한, 아피아의 조명 미학에 대한 4가지 기준-‘채색자’, ‘해석자’, ‘지휘자’, ‘장면제작자’로서의 조명-을 통한 해석은 그 역사가 길지 않고 무대나 연극의 역사와 같이 사조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대중음악공연에 있어서 빛을 연출하는 관점과 그에 대한 해석 기준을 마련해 보기 위한 과정으로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아피아의 무대 연출 미학 제시와 시몬슨의 해석 이후, 빛 표현 기술과 공연 제작 방식은 100여 년 동안 엄청나게 빠른 발전을 거듭했고, 공연예술 분야에서 등장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은 대중음악공연의 빛 연출은 상당 부분 기능적, 기술적인 관점에서 해석되어 왔다. 음악을 듣고 보기 위하여 온 관객들에게 더 새로운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활용은 대중음악의 상업적인 속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자신의 빛 연출에 대한 기준 안에서 그 흐름을 놓치지 않고 더 좋은 도구의 사용과 그 발전을 위해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임에는 틀림이 없으며, 또한 자신의 빛 표현 도구에 대한 선택지를 늘리고 자신의 연출 의도를 더 확실하게 하는 방법이기도 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어야 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한 관심과 태도를 바탕으로, 대중음악공연의 빛 연출에 대한 자신만의 관점을 확고히 하며 좋은 연출에 대한 해석 기준을 마련해 보기 위하여, 아피아의 빛 연출 미학 해석을 위해 제시된 시몬슨의 4가지 기준들을 현재의 대중음악공연에 맞게 재해석해 보고, 현대 대중음악공연 조명 연출가들을 그 재해석된 기준을 통해 ‘빛’을 ‘연출’하고 ‘사용’하는 ‘예술가’로서 살펴보는 것은 그 과정으로서 의의가 있다.

기능적, 기술적으로만 접근하기 쉬운 대중음악공연의 빛 연출을 위와 같은 미학적 접근 기준을 통하여 분석해 보는 과정인 본 연구를 통해, 대중음악공연의 빛 연출가들이 모든 시각적 목적을 가진 장치들을 빛으로 확장시켜 그 빛을 연출하는 예술가로서 자신만의 연출 관을 가지고 기존의 무대조명 개념을 넘어 다양한 광원과 기술에 접근하는 태도의 중요성을 재고해 볼 수 있었으면 한다.

영문초록

Although the history of live pop music performances is relatively short, the recent pa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utilized in live concerts has been faster than any other periods. Performance directors and stage lighting directors altogether take much interest in the application of new technologies to fulfill artistic concepts of musicians and to satisfy audiences that come to listen to and see the music.

The alarmingly rapid pa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has been forcing the development of newer technologies faster than ever in the field of stage lighting, visual presentation and stage apparatus in general. As a result, it becomes more and more blurry between artistic perspectives and technological advantages as criteria for evaluation and definition of ‘good direction’. In other words, now is the time that stage lighting directors need to develop their ability to determine whether to make broad use of lighting resources or limit them based on their own solid criteria.

First of all, this research surveys the ideas of handling light contemplated over by artists in different times and various fields of arts. The study also examines how light was recognized and applied in space of stages. Plus it arranges the perspectives and flows of light among stage directors who dedicated themselves to the aesthetics of lighting direction. Furthermore, this review suggests several points that stage lighting directors should examine themselves, which is to establish their own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 criteria on directing for stage lighting in live pop music performances.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many directors tried to understand the relation of stage and light with their own perspectives in the middle of the technological shifts that transformed the perception of stage and light. Adolphe Appia(1862-1928) was a director who proposed and theorized his own ideas about lighting as a tool for visualizing music in the stage space. He had influences on many stage artists through his writings and designs. I argue that Appia’s idea laid the cornerstone of lighting aesthetic and today’s stage lighting design strategies in live pop music performances.

There are, of course, some elements in his aesthetics of stage lighting directions which are difficult to apply to contemporary performances. It is because his theory was suggested over 100 years ago, during the period when the stage lighting technology was not well developed. So his idea of light and lighting directions could only be understood theoretically in imagination but could not be experimented in real space as practical tool. Despite many technological efforts to handle light, there were a lot more limitations on light designing, such as securing the stage with high brightness, or using safe and controllable stage lighting. His theory, however, holds greater significance as an ideal one rather than a practical one.

Being influenced by the stage aesthetics of Appia, Lee Simonson(1888-1967), an American stage designer, sorted out the aesthetics of Appia into four criteria. This criteria include “Light as the Scene-Painter”, “Light as Interpreter”, “Light Orchestrated”, and “Light as Scene-Builder”. Unlike drama or other stage productions, live pop music performances haven't been around long enough to establish any distinctive stylistic trends or traditions. Therefore, Simonson's interpretation has huge implication as criteria for the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s of stage lighting design for live pop music performances.

I believe that lighting technology and show production industries have evolved since Appia’s aesthetics of stage direction and Simonson’s interpretations. In the domain of live pop music performances, stage lighting design has been understood from the functional and technological perspectives for the most part. Since the utilization of technology is closely related to the commercial aspect of popular music, the stage lighting directors should be careful not to miss any flows within the criteria of their own directing and must take interest in the usage of better tools and their development to offer the audience newer audio-visual experiences. They should also be aware of the fact that technological development has broadened the scope of options to express light in their own ways so that they can make their intention much clearer.

The present study holds its significance as a process of examining stage lighting directors in contemporary live pop music performances as “artists to direct and handle light” by reinterpreting Simonson’s criteria for Appia’s aesthetics.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this research introduces them as perfect examples that provide lighting directors with a few solutions for good direction so they can solidify their own perspectives of directing for stage lighting and try to apply their aesthetics to contemporary live pop music performances.

By proposing the analytical foundation of directing for stage lighting in live pop music performances based on aesthetic criteria rather than just focusing on functional and technological aspects, this study hopes to inspire stage lighting directors of live pop music performances to re-evaluate apparatus of all kinds of visual objectives as means of lighting. Further, this study encourages them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ttitude on directing light and utilizing a broad range of lighting resources and technologies with their own artistic perspectives on direction beyond conventional concept and practices of stage lighting.

비고 : MMA-1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