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인스타그램을 이용한 예술적 표현 연구 -토착적 창의성 과 셀피 미학을 중심으로-
  • 저자명|권해나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9
  • 담당교수|이현진

주제어

인스타그램, 토착적 창의성, 셀피 미학, 포스트온라인, 포스트인터넷예술

국문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온라인 플랫폼이자 소셜미디어 인스타그램을 미학적 탐구 대상으로 삼는 것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이러한 배경에는 디지털 미디어를 작업에 이용하고 온라인 플랫폼을 자유자재로 활용하여 작업을 전개해나가는 포스트인터넷예술의 다양한 작 업이 있었다 그들의 작업은 그 내용과 작업 방식이 다양해 동시대 예술 조건에서 흥미롭게 다루어진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의미에서 다양한 인스타그램 표현과 예술 작업을 포스트온라인 조건, 포스트인터넷예술 상황에서 검토해 나가고자 했다 이에 근거로 두고 있는 두 가지 중심 개념은 토착적 창의성 과 셀피 미학이다. 두 가지의 개념은 대칭적으로 나열되는 것이 아니라 인스타그램의 구조 문화 흐름 등이 매체의 일상적 언어로서 긴밀하게 연결되며 이를 이용한 작가들의 작업을 자전적 이미지에서부터 포스트온라인 조건 포스트인터넷예술을 넘나들며 읽어내고자 하였다 이로서 대중 적이거나 상업적인 측면 혹은 기술적인 측면에서만 논의되었던 인스타그램 연구를 뛰어넘어 인스타그램 매체와 이를 이용한 예술 표현들의 예술적 미학적 측면을 강조하고자 노력 하였다.

영문초록

The study begins with the use of social media Instagram, an online platform in the digital media era, as an aesthetic target. Behind this, there were a variety of post-Internet artworks that used digital media for work, and the online platform was freely used for work. Their work varies in its content and style and is treated interestingly in contemporary art condition. The researcher wanted to review various?Instagram expressions and artworks under the context of post-online and post-Internet art conditions. Two main concepts based on this are?“Vernacular Creativity”?and?“Selfie Aesthetics”.The two concepts were not arranged symmetrically, but the structure, culture, and flow of Instagram are closely linked as the daily language of the media, and the works of artists were read from autobiographical images to post-online conditions and post-Internet art. Beyond its?existing researches, which was discussed only in public or commercial or technical terms. It sought to emphasize the artistic and aesthetic aspects of Instagram’s media and art
expressions using it.?

비고 : MMA-1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