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아티스트북으로서의 그림책을 통한 상상적 인터렉티비티
  • 저자명|김재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8
  • 담당교수|이현진

주제어

책, 그림책, 아티스트 북, 틈, 상상적 인터렉티비티

국문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시대의 뉴미디어(new media)에서 대두되는 인터렉티비티(interactivity)를 낡은 매체(old media)인 그림책에서 찾아보고자 하는 관점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곧 독자가 그림책을 읽을 때 어떠한 인터렉티비티로 교감을 하게 되는지에 대한 질문으로 연결 되었고, 그림책 중에서도 아티스트 북(Artist’ book)의 성격을 가진 그림책을 교감의 대상 매체로 분석하였다. 단순히 ‘그림책’이 아니라 ‘아티스트 북으로서의 그림책’이라고 수식하는 것은 일반 어린이용 동화책으로서의 그림책뿐 아니라 작가가 매체의 특성을 전적으로 활용하여 독자에게 보다 심미적인 경험을 나누고자 하는 의도가 담긴 작품으로서의 그림책을 분석해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아티스트 북과 그림책은 ‘책’이라는 매체로서의 뿌리는 같지만, 그 예술적 표현의 관점과 창작의 과정, 결과적으로 표현되어지는 창작물의 정체성에 있어서 분명 차이가 존재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이 두 영역이 교차되는 예술매체를 통해 내면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상호작용을 ‘상상적 인터렉티비티’라고 정의하고, 그 특성을 분석해본다. 정지된 이미지로 표현 된 글과 그림이 특정한 맥락을 갖고 책으로서 엮어진 그림책 안에는 다양한 인지적 ‘틈’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지는 ‘상상적 인터렉티비티’는 그림책에서 발견되는 이 틈으로부터 비롯된다. 그리고 이러한 틈의 영역은 ‘그림과 그림 사이’, ‘글과 그림 사이’, ‘페이지와 페이지 사이’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영문초록

This study began with the perception of searching its ‘interactivity’ that is used often in new media, through picture books that are considered as old media in digital era. In this aspect, it leads to a question what kind of interactivity do readers experience through picture books, and more specifically, the picture books characterized as artists’ books. By focusing on this subject matter, ‘picture books as artists’ books’, the study perceives picture books not only as children’s books but also as ‘artistic media’ that intends to be interactive between the artists and its readers. Although artists’ books and picture books come from the same root of ‘books’, they are distinguished by its artistic values, identities, and ways of expression. Through this artistic media, the study is to focus on its psychological experience as interactivity, so called, ‘imaginative interactivity’ and analyzes its characteristic values. On the surface of picture books all images of text and drawings are still, and they are bound as layers of pages in a form of books. Within this structure of picture books, various types of cognitive ‘gap’ occur and this area is where the imaginative interactivity mainly activates. In this study, the area of gap is defined as ‘in-between pictures’, ‘between text and pictures’, and ‘in-between pages.’

비고 : MMA-1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