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공연예술 속 영상 미디어 활용에 있어서의 내용적 재매개와 체험적 재매개 - 뉴미디어 콘텐츠의 확장된 내러티브와 관객성
  • 저자명|고은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0
  • 담당교수|이현진

주제어

재매개, 뉴미디어 내러티브, 포스트-드라마 연극, 포스트-시네마틱 퍼포먼스, 능동적 관객성

국문초록

시대를 구성하는 기술과 구조가 빠르게 변화하는 뉴미디어 시대에 예술은 하나의 매체로는 규정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런 환경 속에서 각 매체들이 교환하는 가치와 그로 인해 사라지는 것, 그리고 새롭게 생겨나는 것들에 대한 탐구는 콘텐츠 수용자 입장에서는 수용 범위의 확장의 폭을 넓히고, 창작자의 입장에서는 매체적, 연출적 다양성에 대해 탐구할 수 있게 한다.
본 논문은 ‘다원적인’ 특성을 띄는 예술작품 사례 중, 내러티브를 지닌 공연예술과 영상으로 한정하여 두 매체 간의 상호보완적 그리고 상호교환적 사례들을 살펴본다. 이때 볼터(Bolter, J.)와 그루신(Grusin, R.)의 ‘재매개’ 이론은 작품들이 기존 미디어를 개조하여 스스로 의미를 획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이론으로 뒷받침된다.
영화사를 되짚어보면 영화는 연극의 서사를 획득하여 내러티브 영화의 장을 마련했고, 연극은 독자적인 언어성을 획득한 리얼리즘 영화로부터 다시 영상 언어를 차출해갔다. 공연예술의 스펙타클(specatacle)을 재현해내는 뮤지컬 영화가 등장하고, 물리적으로 경험하기 힘든 공연을 보고자 하는 욕망은 공연을 NT Live와 같은 영상 형태로 재생산하였다. 미장센(mise-en-scene)이란 단어를 공유하고 있는 연극과 영화는 무대 위의 제약을 허물고 형식면에서 상호 교류할 때 새로운 예술적 체험을 만들어냈다.
두 매체가 재매개된 작품은 내용적으로, 또 체험적으로 비매개적이면서 하이퍼매개적인 특성을 갖게 된다. 모순된 이 두 논리에 의한 충돌은 재매개된 작품은 물론 그 작품을 경험하는 관객의 자아에도 적용된다. 자기규정의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이런 뉴미디어적 경험은 관객으로 하여금 일방적인 연극 관람과 영화 관람 방식을 탈피하도록 한다. 또, 한스-티스 레만(Hans-Thies Lehmann)의 주장처럼 매개된 메시지가 주는 모호한 형식을 통해 더 유연한 정치적, 윤리적 사고를 하게 되는 ‘지각의 정치(politics of perception)’가 발현되기도 한다. 관객의 능동적인 태도, 작품을 통해 요구되는 사회적 정체성과 주체성에 대한 질문은 재매개 작품들이 공통적으로 만들어내는 관객성이다.

영문초록

In the new media age in which the structures and technologies comprising the world are changing rapidly, in many cases are cannot be easily defined within a single medium. In this context, studying the values exchanged by each medium and what is lost and gained as a result of such exchanges enables contents consumers to broaden the variety of content while allowing creators to explore diversity in terms of media and directing.
Among the various forms of art that show “pluralist” characteristics, this thesis limits its focus to narrative-driven performing arts and video arts, and looks into the complementary and interchangeable cases of the two media. Here, the “remediation theory” of Bolter, J. and Grusin, R. is used as a lens through which to demonstrate the process of acquiring their own meanings while re-creation the existing media.
Looking back on the history of film, a new chapter in the history of narrative films began when films incorporated the narratives of theater into themselves, while the theater once again adopted video language from realistic films, which gained a distinctive linguistic characteristic. Musical films reenacting the spectacle of performing arts were introduced, and the desire to view performances that could not easily be experienced directly led to the reproduction of performances in video form, as was the case with National Theatre Live in the United Kingdom. Film and theater, which share the term “mise-en-scene,” created a new artistic experience by eliminating the limitations of the stage and interacting with each other in terms of their formal aspects.
Works of arts produced through the remediation of two media have immediacy and hypermediacy in terms of their content and the viewing experience. The collision of these contradictory aspects emerges both in the remediated work and in the ego of the audience experiencing the work. Such new media experiences, which offer new opportunities for self-definition, enable the audience to break away from their one-sided way of seeing plays and films. Moreover, as Hans-Thies Lehmann has claimed, the “politics of perception” sometimes unfold where a more flexible political and ethical thinking is made possible through the vague from offered by the mediated message. The forms of spectatorship that remediated works commonly bring out include the active attitudes of the audience and the questions about social identity and subjectivity raised by the work.

비고 : MMA-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