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틈을 체현하는 게임 플레이어
  • 저자명|김현수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이현진

주제어

게임 플레이어, 컴퓨터게임, 절차성, 시뮬레이션 갭, 포스트드라마 연극, 체현

국문초록

우리는 왜 게임을 플레이할까? 혹자는 재미있어서 한다는 솔직한 답을 제시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이를 조금만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재미의 유형과 깊이 또한 다양하거니와, 저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펼쳐지는 게임 플레이가 지니는 의미는 생각보다 다양한 층위를 지니고 있다. 이는 오로지 게임 플레이어만이 취할 수 있는 고유한 특권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게임 플레이의 과정과 그 의미는 어디로부터 나오는 것일까? 그리고 그 의미란 무엇일까? 본 논문은 이러한 지점에 주목한다.

게임 플레이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주류 게임연구 담론에서의 게임의 매체적 특성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가 선행되는 한편, 플레이 행위 자체를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 또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절차성을 통해 게임의 매체적 성질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플레이어의 상상력과 주체적 해석을 유도하는 시뮬레이션 갭을 통해 주체적인 플레이 행위를 위한 개념적 기반을 다지고자 한다. 나아가 게임을 플레이하는 행위의 본질적 의미에 다가가기 위해 포스트드라마 연극과 퍼포먼스 아트의 수행성 개념에 주목하고자 한다. 그 중에서도 행위자 자신의 존재를 인정하면서 작품에 참여하는 체현을 중심으로 배우와 관객을 분석한다. 이러한 시도는 절차성과 시뮬레이션 갭, 그리고 플레이 행위 과정 자체의 의미를 설명해줄 수 있는 체현 개념을 비판적으로 종합하여 게임 플레이어의 고유한 체현을 설명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은 게임과 공연예술의 각 핵심 개념들을 통해 주체적 플레이의 의미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게임연구와 더불어 수행성의 담론을 확장하는 데 작게나마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초록

Why do we play games? Some might say that it’s because they are fun, but some games are not as fun as others because of different reasons. The reasons why people play games and what that play means to them are complex and unique to each player. If the gameplay is a meaningful experience, where does such an experience come from, and which process makes its meaning? Also, if some people say the gameplay is meaningful for them, what is the actual meaning of 'meaningful' in gameplay?

In order to explain the meaning of gameplay,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games as media an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analyzing the gameplay. By analyzing the nature of the game, this study places a conceptual basis for analyzing the processes and behaviors involved in gameplay through the concept of a 'simulation gap.' The simulation gap induces the player to create their imagination and, therefore, their own identity by filling the gap. This is because the simulation gap creates the intentional gap by omitting the parts of the game simulation. The study also analyzes post-dramatic performance ar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embodiment.’ It analyzes actors and audiences in performance art or theatrical art, focusing on how the characters are realized while acknowledging the actors’ experien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scribed how to explain the meaning of gameplay. By investigating the concepts of simulation gap and embodiment, this study discusses that the meaning of gameplay is created in the process of players’ gameplay and the players are willingly filling the gap, they can look at the world and certain events in the world with their own subjective perspectives. This is the reason I've argued that the gameplays could be a meaningful and even aesthetic process for the individual players.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tries to describe how to explain the meaning of gameplays. I hop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serve as the initiation for future game and art discourse and research.

비고 : MMA-2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