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사변적 프래그머티즘의 두 벡터: <오톨리스 III>과 <히드라 디캐피타>의 경우
  • 저자명|최보련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이현진

주제어

사변적 프래그머티즘, 무형 완성, 가상성, 증언론, 오톨리스 그룹

국문초록

본 연구는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의 근본적 경험주의(radical empiricism)를 계승하는 브라이언 마수미(Brian Massumi)의 사변적 프래그머티즘(speculative pragmatism) 개념을 중심으로 영국의 아티스트 듀오 오톨리스 그룹의 작품을 분석한다. 사변적 프래그머티즘에 따르면, ‘가상적인 것(the virtual)’은 실재에 반대되는 것이 아니라 종결되지 않은, ‘미결의 실재’이다. 이러한 주장은 SF 소설에 사용되는 사변적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해 온 오톨리스 그룹(The Otolith Group)의 작품을 상기시킨다.

특히 연구자는 아직 오지 않은 사건을 실제로 일어난 사건보다 더 현실적인 위협의 대상으로 만드는 시제의 역능에 주목한 마수미의 이론이 오톨리스 그룹의 작업 속에서 운용되는 가정법적 논리와 연결된다고 보았다. 마수미에게 시제의 문제는 어떤 문장이 가정법이라는 점을 생략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데, 이러한 시제 속에서 아직 벌어지지 않은 정치적 사건은 마치 언제나 일어날 수 있는 일처럼 가정된다. 마찬가지로 오톨리스 그룹은 역사 서술이 발생시키는 공백과 아직 실현되지 않은 미래를 영상 작품을 통해 집요하게 탐구해왔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가정법의 역능이 지니는 이중적인 힘을 자각하고, 그 힘을 동시에 실재와 비실재를 타협하고 절충하기 위해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예술적, 그리고 인식론적 차원에서의 대안적인 세계상을 그릴 수 있도록 돕는다.

이에 본 연구는 근본적 경험론, 사변적 프래그머티즘, 그리고 픽션 발생 조건으로서의 ‘무형완성’의 개념을 탐색한다. 그 과정에서 윌리엄 제임스, 브라이언 마수미의 철학적 사유가 주요하게 참조될 것이다. 이를 토대로 오톨리스 그룹의 작품인 <오톨리스 III>과 <히드라 디캐피타>를 분석할 것이다.

2장에서는 감각 이론과 관련된 두 가지 -직접적/간접적- 실재론, 그리고 인식적 외재주의를 사전적으로 개괄한다. 연구자는 인식적 외재주의에 입각한 동대적 인간 확장 논제가 특유의 사고 실험을 통해 전통적인 두 가지 실재론의 개념을 절충 및 확장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개괄은 궁극적으로 제임스의 근본적 경험론을 보다 정확히 이해할 여지를 제공하고, 마수미가 사변적 프래그머티즘이라는 개념으로 제임스로부터 계승하고자 했던 바를 보다 명확히 모색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토대로 3장에서는 픽션의 발생 조건을 살펴본다. 연구자는 예술 작품의 필수 조건인 픽션의 발생이 ‘무형 완성(amodal completion)’ 현상에 대한 마수미의 독특한 재해석과 특히 관련 있다고 보았다. 무형 완성은 대상이 없는 곳에 대상을, 인과가 부재한 곳에 인과를 채워넣는 심리적 경향성이다. 때문에 무형완성 개념을 살피는 일은 오톨리스 그룹의 작품이 특정한 역사의 시나리오에 대한 다양한 실현 가능성을 다루는 방식을 분석할 수 있는 실용적인 토대를 마련해 줄 것이라 기대하였다.

4장에서는 위와 같은 이론적 탐색을 기반으로 오톨리스 그룹의 작품 두 편을 분석한다. 연구자는 두 작품 모두 완전히 계산되거나 예측될 수 없는 감각적, 언어적 간극을 깊이 겨냥함으로써 믿을 수 없는 것을 어떻게 믿을 것인가에 관한 문제를 다룬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오톨리스 III>가 어떤 영화가 실제로 일어났는지 명제적으로 가장함으로써 공상과학 영화의 실현되지 않은 버전을 추구한다면, <히드라 디캐피타>는 실제의 역사적 사실을 고려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가능 역사에 대한 축어적이고 신념적인 믿음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본다. 이 장에서는 이 차이를 ‘허구적 진술을 감당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분석해 냄과 동시에, 이를 토대로 가상과 실재의 대립을 해소시키는 이론적 틈을 마련하고자 한다. 그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실재를 예고하는 가상이라는 의미에서 실용주의(프래그머티즘)적 진리관을 예증해 볼 수 있기를 바란다.

일반적으로 프래그머티즘은 모든 가치를 합목적성에 의거해 판단하는 관념이라고 여겨진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련의 분석 과정을 통해 프래그머티즘을 절약의 원리에 따라 유용성을 추구하는 의미에 국한하지 않고, 오히려 실현되지 않은 가능성에 더 초점을 맞추며 ‘과거의 잠재적인 미래’를 최대한으로 증폭시키는 사변적 원리로서, 즉 무엇이든 될 수 있을 가능성을 가늠하는 예술적 방법론으로서 사용할 것을 제언한다.

영문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work of the British artist duo The Otolith Group, focusing on the concept of speculative pragmatism by Brian Massumi, which inherits William James's radical empiricism. According to speculative pragmatism, the virtual is not opposed to the real but instead is an unterminated and indeterminate form of reality. This argument is reminiscent of the work of The Otolith Group, which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speculative approach used in science fiction.

In particular, the researcher saw that Massumi's theory, which focused on the power of tense that makes an event that has not yet come as a more realistic threat than an actual event, is connected with the subjunctive logic operated in the work of The Otolith Group. In Massumi's writing, the problem of the tense is characterized by not telling about a fact that a certain sentence is written in a subjunctive mood, thereby an political events that have not yet taken place are assumed as if they could always happen. Similarly, The Otolith Group has tenaciously explored the void in historical narratives and the yet unrealized future through audio visual works. In that they are both aware of the twofold power of the ‘subjunctivity’ and propose to use that power to compromise and compound the real and the unreal at the same time, they help to draw an alternative world view from an artistic and epistemological level.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s radical empiricism, speculative pragmatism, and the concept of 'amodal completion' as a condition for the rise of fiction. In the process, the philosophical thoughts of William James and Brian Massumi will be mainly referenced. Based on this, the study will analyze and by The Otolith Group.

Chapter 2 provides a dictionary overview of two types of sensory theory - direct/indirect - realism, and epistemic externalism. The researcher thought that the contemporary notion of human extension thesis based on epistemic externalism could compromise and expand the two traditional concepts of realism through unique thought experiments. This overview ultimately provides room for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James's radical empiricism and helps to more clearly explore what Massumi tried to inherit from James with the concept of speculative pragmatism.

Based on this, Chapter 3 examines the conditions for the occurrence of fiction. The researcher believed that the occurrence of fiction as a necessary foundation for an artwork was particularly related to Massumi's unique reinterpretation of the phenomenon of 'amodal completion'. Amodal completion is a psychological tendency to fill in the object or cause where there is no actual object or causality.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examining the concept of amodal completion would provide a practical foundation for analyzing the ways in which The Otolith Group's works deal with various fungibility of certain historical scenarios.

Chapter 4 analyzes the two works of The Otolith Group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exploration.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both works address the question of how to believe the unbelievable by deeply targeting sensory and linguistic gaps that cannot be fully calculated or predicted. However, while pursues an unrealized version of a science-fiction movie by propositionally disguising what had actually happened, takes actual historical facts into account and requires the audience to have verbatim belief on the possible history. This chapter analyzes this difference as 'two ways of bearing a fictional statement',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theoretical gap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 virtual and the real based on this. And doing so will ultimately exemplify the pragmatic view of truth in a sense of the virtual that makes the real foretold.

In general, pragmatism is considered to be an idea that judges all values based on purposefulness. However, this study does not limit pragmatism to the meaning of pursuing usefulnes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arsimony but rather focuses more on the speculative usage of it that maximizes unrealized possibilities of 'past potential future' through a series of analyses, as an artistic method to estimate the possibility of becoming whatsoever.

비고 : MMA-2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