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디지털 토포필리아 개념으로 바라본 미디어 공간 연구
  • 저자명|김서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2
  • 담당교수|김형수(교내)

주제어

미디어, 비주얼 리터러시, 토포필리아, 장소애(場所愛), 디지털 공간, 기억, 공동체

국문초록

‘개념은 형체를 취한다.’는 루돌프 아른하임(Rudolf Arnheim)의 이론처럼 인간이 받아들이는 모든 개념은 우리에게 익숙한 형태로 시각화되어 받아들여진다. 디지털 속 요소들을 설명할 때 디지털 공간이 인간의 눈에 직접적으로 건축적인 공간의 형태를 띄고 있지 않더라도, 우리는 물리적 공간에서 인지하는 요소들과 접목하여 이해하고, 디지털 플랫폼을 또 다른 ‘공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본 논문의 주제어인 토포필리아(Topophilia)는 땅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topos’와 사랑을 의미하는 ‘philia’를 합성하여 ‘장소에 대한 사랑’을 개념화한 단어이다. 지리학자 이-푸 투안(Yi-Fu Tuan)은 물리적 공간에 인간의 감정이 부여된 공간을‘장소’로 보고 인간이 살아가는 데에는 물리적인 공간 외에 애정이 깃든 장소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장소에 대한 사랑과 환경에 대한 강한 애착심을 갖는 인간의 심성이 바로 토포필리아이다. 현대인은 현실의 공간에서와 같이 디지털 공간에서도 건물을 짓고 나만의 공간을 꾸미며 생산적 행위을 통한 경제 활동을 한다. 과거에는 주로 집, 골목, 거리 등 물리적인 장소에서의 토포필리아 개념을 논했다면,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물화(物化)되면서 시공간의 개념이 디지털로 넘어와 디지털 공간이 주요 사회문화적 공간으로 자리 잡았고 이 디지털 공간을 토포필리아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공간의 특징을 비교 연구하고 토포필리아의 개념으로 공간 특성을 나누게 되면, 기존 물리적 공간에서의 토포필리아와 디지털 공간에서의 토포필리아의 상대적인 성향의 구분이 나타난다. 그것은 기존 토포필리아가 사용자나 경험자의 정서적 교감이 모호하고 능동적이기 힘든 환경을 만든 것에 비해, 디지털 토포필리아는 사용자의 경험이 상대적으로 명확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아바타와 같은 익명성으로 인해 능동적 태도가 나타나기 쉬운 환경을 기반으로 조성된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가 정의하는 디지털 토포필리아(Digital Topophilia)는 바로 이런 공간이나 장소에 대한 인간의 감성이 현 시대에 이르러서는 물리적인 공간뿐 아니라 디지털 공간, 나아가 메타버스 공간까지 그 의미가 확장되었음을 의미한다. 경험과 기억의 공통 분모로 인한 공동체의 유무가 공간의 형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것은 공동체가 가진 관계성으로 인해 공간의 정체성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로운 공간 개념의 공동체적 특징은 디지털 토포필리아의 차별점으로 나타난다. 실재와 가상 공간의 경계가 혼재되어가는 현대인들에게 디지털 가상공간의 정서적 교감은 기존의 토포필리아에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복합적이고 시공간적 제약을 탈피한 새로운 형태로 보여진다.



영문초록

As Rudolf Arnheim theorizes in his book Visual Thinking, “concepts take shape,” humans have a strong propensity to visualize abstract ideas and concepts. We often find ourselves integrating components of digital spaces with those of physical spaces to help visualize, although those virtual spaces are without physical structure visible to our naked eyes. This amalgamation of digital and physical spaces implies that we perceive digital platforms as an extension of a physical space with digital characteristics.

Topophilia, the focus of this paper, was popularized by geographer Yi-Fu Tuan (from ancient Greek topos “place” and -philia “love of”) and refers to a strong sense of place. Although the term had been used by the likes of John Betjeman and W. H. Auden previously, Tuan focused on the affective bond between people and place. This idea of topophilia that environmental setting extends beyond a physical place aligns perfectly with modern perception of digital spaces. People construct buildings and engage in social activities in digital spaces today just as they would in a physical setting. For most of the human history, people have defined space as basis of economic activities and limited the setting of space to a physical environment. That belief is taking a drastic transformation as volume of economic activities in the digital realm continues to rise and may as well surpass that of the physical place in the future. Discussions around topophilia were largely limited to houses, buildings, and streets, but as our society accelerates towards a digital world, those discussions should evolve to also incorporate intangible aspects of spaces. Technological advancements have added dimensions to a digital world, just as we can move around virtually in 3D avatars, and offer more flexibility than the real world can provide. While our experiences have limitations in the physical world, the digital world allows for the “impossible” to happen, thereby significantly enhancing experiences one can encounter. This advantage may help explain how virtual environments sometimes hold more importance as spaces than physical settings. In a way, people are already relishing virtual environments through the lens of topophilia.

Digital topophilia, as will be discussed in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places, where the scope now extends to a digital setting including the metaverse. Below we explore how modern society merges physical and digital worlds and how people interact with spaces through the lens of digital topophilia. Experience and memory are two key components of how people define space, especially if they are part of a larger community as identity of the group often plays a larger role than those of individuals. And because digital environments enable a much wider range of experiences, the interactions within communities can be much more complex that those in the real world. In a time where boundaries between physical and digital worlds are becoming increasingly ambiguous, topophilia offers a new perspective on how to define a space, transcending beyond a physical world.

비고 : MMA-2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