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페이스북 리터러시 측정항목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저자명|김주희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4
  • 담당교수|김용찬

주제어

소셜 미디어, SNS, 페이스북, 미디어 리터러시,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척도개발

국문초록

소셜미디어 이용자수가 급증하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아우르는 다양한 영역에서 소셜미디어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그에 따라 소셜미디어의 발전 속도에 걸 맞는 의식의 고취와 이용자들의 올바른 사용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자연스런 수순으로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연구가 비교적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용자들의 소셜미디어 리터러시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 문항 등의 구체적인 측정항목을 개발한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r\n이러한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의 리터러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항목을 개발하고 타당화하려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다양한 소셜미디어 중 특히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리터러시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페이스북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페이스북은 월간 활동사용자 수(월 1회 이상 접속하는 사용자 수)가 11억 9천만명에 이를 정도로, 다양한 소셜미디어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셜미디어이기 때문이다. 또한 개발한 페이스북 리터러시 측정 도구가 타당한지 그리고 그것을 신뢰할 수 있는지 검증하였으며, 검증된 척도를 사용하여 페이스북 이용자의 이용행태가 페이스북 리터러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r\n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첫째, 페이스북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필수적인 요소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둘째, 기존의 문헌연구와 현 상황에 맞는 새로운 문항 개발을 통해 각 요소를 설명할 수 있는 설문 문항들을 도출해내었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설문 문항을 측정 도구로 사용하여 이용자들의 성별, 나이 등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이나 페이스북 이용시간, 글이나 댓글 작성 횟수 등의 이용행태에 따라 이용자들의 페이스북 리터러시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해보았다.\r\n페이스북 리터러시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될 문항 개발을 위해, 우선 기존 연구의 충분한 검토를 바탕으로 사전 검사를 실시했다.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는 여섯 명의 미디어 전공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페이스북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인 접근, 생산, 비판 요소에 해당하는 총 40여개의 초기 문항을 도출하였다. 크롬바흐 알파값과 평균치를 고려하여 적합하지 않은 문항을 삭제한 결과, 문항은 총 36개로 축소되었다. 본검사를 위해서는 온라인 서베이 전문회사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총 213명의 페이스북 이용자들에게서 36개의 설문 문항에 대한 답변을 수집하였고, 응답자들의 답변 결과를 SPSS 18.0K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r\n수집된 설문내용을 요인분석 방법 중 주성분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는 문항을 삭제하여 총 19개 문항으로 축소된 측정 도구가 개발되었다. 설문문항 분석 결과, 접근, 비판, 생산으로 구성된 총 세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동일 요인의 측정변수간의 집중 타당성과 판별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페이스북 이용시간이 길수록, 그리고 글과 댓글 작성 빈도수가 높을수록 이용자들의 페이스북 리터러시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0대 이용자들이 가장 높은 페이스북 리터러시를 보였으며, 이용자들의 성별에 따른 페이스북 리터러시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r\n소셜미디어의 올바른 이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이용자들의 리터러시 능력을 측정하여 바람직한 이용을 장려하는 한편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기술적인 접근 능력에 중점을 둔 리터러시 교육에 주로 머물러 있었기에 이용자들의 리터러시 정도를 파악하기 어려웠고, 따라서 개선 방안의 마련 역시 어려웠다. 본 연구는 페이스북 리터러시의 구체적인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 정리에 중점을 두었던 기존 연구와의 차이점을 보인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페이스북 리터러시 측정항목을 통해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후속 연구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학문적 의의 역시 가지고 있다 할 수 있다.

영문초록

Social media now is an important part of our everyday life. As the number of social media users around the world has rapidly increased, social media has changed today’s society in various ways. It has a greater influence on our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For this reason, social media users need to understand its importance and use it appropriately.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examine media literacy of social media users. However, empirical researches to develop new measurement items for social media literacy are not easy to find. \r\n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new measurements for social media literacy. Among various social media platforms, this study examines Facebook users’ media literacy in particular. Facebook, which has 1.19 billion monthly active users,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social media platforms. This study tries to develop new empirical measurements for Facebook users’ social media literacy, that is, Facebook literacy. This research also tries to validate the measurements for Facebook literacy. Finally, this study explores how user behaviors and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luence users’ Facebook literacy by using these newly developed measurements. \r\nFor the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s for Facebook literacy, this study examines factors of Facebook literacy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Second, this study develops empirical measurements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understanding today’s changing environment of social media. Lastly,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difference between users’ Facebook literacy according to user behaviors such as using time and the number of their posts and comments, 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age. \r\nA pre-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develop more variable, reliable and accurate measurement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held with a total number of six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media. As a result, based on three factors of Facebook literacy such as ‘Access’, ‘Evaluate’ and ‘Create’ derived from literature reviews, 40 Facebook literacy measurement items were developed. Four of them were deleted based on their Crombach alpha coefficient and average to refine the measurements. For the main study, an online survey of 213 Facebook users was conducted. This paper us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Facebook literacy with SPSS 18.0k program. \r\n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By using factor analysis, 19 refined measurements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Three factors such as ‘Access’, ‘Evaluate’, and ‘Create’ were derived. Also, users using Facebook longer, and users posting status updates and comments more often have higher Facebook literacy. Younger users tend to have higher Facebook literacy. Gender does not play a role on Facebook literacy.

비고 : COM-1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