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종편 시사토론프로그램 시청의 정치적 효과에 관한 연구 -연령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저자명|정재민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4
  • 담당교수|김경모

주제어

종편 시사토론프로그램, 연령, 정치적 효과, 정치지식, 정치냉소주의, 정치대화, 정치참여

국문초록

종합편성채널과 관련된 기존 연구는 주로 정책관련 중심의 예상 및 광고, 케이블 사업자 등 다양한 사업자들과 관련된 논의였다. 그러나 종편의 확산과 발달로 인해 종편을 시청하는 시청자에게 종편이 미치는 효과를 살펴봐야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종편은 18대 대선을 기점으로 제작비가 저렴한 보도 쪽으로 프로그램을 집중 편성했으며 두드러진 프로그램 형태 중 하나가 시사토론프로그램이다. 기존 신문언론기업의 확장이란 측면에서 종편 시사토론프로그램은 논조의 획일성 및 과도한 당파성을 보였다. 특히 주시청자층인 50대 이상의 연령층에게 정치적인 논조의 획일성 및 과도한 당파성이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r\n 본 연구는 이러한 종편 시사토론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현재 벌어지고 있는 언론 영역 속의 정치에 대해 논하는 종편 시사토론프로그램을 살펴보고 그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종편 시사토론프로그램이 시청자들의 연령에 따라 미치는 정치적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포맷의 프로그램이 시청자들에게 어떠한 정치적 변화를 일으켰는지의 요인을 밝히는데 목적을 둔다. \r\n 연구 목적을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기반으로 종편 시사토론프로그램의 시청과 연령을 시청자들의 정치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설정했다. 연구는 시청자들의 정치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해 개별 변인의 예측력을 분석했다. 나아가 해당 변인들을 함께 고려한 탐색적 모형의 구축을 통해 모형의 유효성과 함께 정치적 효과를 결정하는 요인을 찾고자 했다. 이론적 논의를 기반으로 구성된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14년 4월 17일부터 2014년 4월 21일까지 19세 이상 유권자들을 350명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해 관련 자료를 수집했다. \r\n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과 종편 시사토론프로그램 시청이 정치지식을 예측하는데 있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치냉소주의를 예측하는데 있어서도 연령과 종편 시사토론프로그램 시청은 높은 영향을 갖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종편 시사토론프로그램 시청이 많을수록 정치지식은 증가하며 정치냉소주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과 종편 시사토론프로그램 시청을 모두 포함한 모형의 실제 정치대화 예측력에서는 종편 시사토론프로그램 시청만이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정치참여를 예측하는 모형에서도 연령을 제외한 종편 시사토론프로그램 시청만이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종편 시사토론프로그램 시청이 행동적인 차원의 정치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r\n 본 연구는 그동안 선행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종편에 대한 연구의 관심을 시청자에게 미치는 정치적 효과란 측면으로 확장했으며, 기존의 정치적 효과를 논하면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5060세대를 주목했다는 점, 여러 정치적 효과를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는 목적을 갖는 학술적 연구의 출발점임과 동시에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실질적인 종편의 효과를 살펴보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연구의 의의를 제공한다.

영문초록

The Political Effects on TV Debate Program produced by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in Korea\r\n-Focused on Difference of Age\r\n\r\nJung, Jae Min\r\nThe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and Arts\r\nYonsei University\r\n\r\n Existing research about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is mostly focused on policy-related expectations and advertisements, and discusses business operators of different fields including cable TV providers. Due to the increasing diffusion and development of these channels, however, it has become necessary to look into how the channels have affected their viewers. After the 2012 presidential election, the channels have redundantly organized TV debate programs, mainly because of their relatively inexpensive production costs. In terms of the extension of the media companies, TV debate programs have shown rather one-sided arguments and become party-oriented.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how these features have influenced those aged 50 or over, who are the main viewers of these programs.\r\n Regarding these current issues of debate shows on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m and their effects. It is also aimed to identify how the newly formed debate programs have changed their viewers’ political opinions by researching these effects on viewers of different ages. \r\n After reviewing existing studies, this research sets up two variables, which are TV debate program watching and the viewer’s age. It analyzes each variable through observing the influence of the viewer’s political opinion. Futhermore, by establishing exploratory modeling with each variable, it looks for effectiveness of the modeling and decisive causes of political effects. To conduct an objective research, survey collected data from 350 people aged 19 or over from April 17 to 21 in 2014. \r\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shows results as follows. First, watching debate shows on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and the viewer’s age ar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political knowledge. Second, these variables are also important in predicting political cynicism. That is, the more people watch debate programs and the older they are, the more their political knowledge increase and the less they show political cynicism. Third, only the variable of watching TV debate programs appears to be valid in predicting actual participation in political discussion. Lastly, when it predicts political participation, the variable of watching TV debate programs is only valid. These indicate that watching TV debate programs on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participation in political activities. \r\n This study expands the subject of existing research to political effects that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have on their viewers and pays attention to those aged between 50 and 60 who have rather been overlooked.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takes the initiative of academic research analyzing influential factors in political effects and it may contribute to predicting actual consequences of watching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henceforward.\r\n \r\n\r\n\r\n\r\n\r\n\r\n\r\n\r\n\r\n\r\n\r\n\r\n\r\n\r\n\r\n\r\n\r\n\r\n\r\n\r\n\r\n\r\n\r\n\r\n\r\n\r\n\r\n\r\nKey words : TV Debate Program on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Age, Political effects, Political Knowledge, Political cynicism, Political Conversation, Political Participation.

비고 : COM-1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