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SNS 내 잠복관찰 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페이스북 이용자의 성격 및 심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 저자명|정성은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6
  • 담당교수|박남기

주제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잠복관찰, 성격 5요인,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불안정성, 개방성, 자기 감시성, 소속감, SNS 효능감, SNS 이용 강도

국문초록

o 본 연구는 개인의 성격 및 심리적 특성이 SNS 내 잠복관찰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다양한 CMC 채널 중에서도 특히 SNS는 오프라인에서 형성된 지인을 기반으로 온라인에서 네트워크를 유지•확장하는 매체라는 점에서, SNS 사용자의 실제적 성격 및 심리적 특성이 SNS 내 잠복관찰을 유발하는 주요한 요인일 것이라 가정하였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하여 성격을 성격 5 요인 모델에 따라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불안정성, 개방성 등의 5가지 하위 차원으로 측정하였고, 심리적 특성으로는 자기 감시성, 소속감, SNS 효능감을 측정하여 결과에 따라 SNS 이용자의 잠복관찰 행위 정도가 달라지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SNS 내 잠복관찰 행위의 빈도가 다시금 SNS 이용의 심리적 측면인 SNS 이용 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오프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다.\r\n연구문제 1과 관련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SNS 이용자의 성격 5 요인, 자기 감시성, 소속감, 그리고 SNS 효능감은 SNS 이용자의 잠복관찰 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변인의 유의도 검증 결과, 성격 5 요인 중 외향성, 친화성, 불안정성이 SNS 이용자의 잠복관찰 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SNS 이용자의 외향성이 높고, 친화성이 낮으며, 불안정성이 낮을수록 SNS 내 잠복관찰 빈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심리적 특성으로는 SNS 이용자의 자기 감시성이 높고, 소속감이 낮으며, SNS 효능감이 높을수록 SNS 내 잠복관찰 빈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r\n한편, 연구문제 2에 관하여 단순 회귀분석 결과 SNS 내 잠복관찰 행위의 정도는 95% 신뢰수준에서 SNS 이용 강도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NS 내 잠복관찰 행위가 낮을수록 SNS 이용 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r\n연구대상 및 연구매체가 제한적이라는 한계들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결과는 몇 가지 주요한 의의를 지닌다. 우선 본 연구는 SNS 이용자 개인의 성격, 및 심리적 특성이 SNS 내 발생하는 잠복관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일 수 있음을 가정하고 잠복관찰과 관련한 학문적 이론을 토대로 새로운 논의의 틀을 제공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그간 관련 논의들에서 배제되었으나,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CMC 채널인 SNS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관련 연구 영역 확장을 위한 계기를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오늘날 빈번하게 발생하는 SNS 내 잠복관찰 행위에 대한 의미 있는 문제 제기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논의를 넘어선 실무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초록

o This research has its purpose on revealing the impact of individual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as on lurking conduct in social network service. This paper assumes that actual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s the major factors that stimulates lurking in social network service as social network service is network service that maintains and expands its scope online based on the relationship formed in offline. In order to evaluate research, personality has been measured by extro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openness in experience, the Big 5 model and fo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elf-monitoring, sense of belonging, SNS self-efficacy has been measured to examine if frequency of lurking depends on the result. Also, frequency of lurking conduct in social network service has impact on SNS intensity, the psychological aspect of social network service usage, has been examined. Offline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d the research question. \r\nRelated to research question 1,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Big 5 factors of personality of social network service user, self-monitoring, sense of belongings and SNS self-efficacy shows significant influence on lurking conduct of social network service user. The result of individual variance significance analysis shows that among Big 5 factors of personality, extroversion, agreeableness and neuroticism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lurking conduct of social network service user. Which means that the lower frequency of lurking in social network service was found for higher extraversion, lower agreeableness and neuroticism individuals. As fo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lower lurking frequency in social network service was found for higher self-monitoring and lower sense of belongings and higher SNS self-efficacy. \r\nOn the other hand, regarding research question 2, the result of sim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evel of lurking conduct in social network service impacts negatively on SNS intensity level in 95% confidence level. Accordingly, it is revealed that the lower lurking conduct in social network service, the higher SNS intensity is. \r\nDespite that research subject and mediator is limited,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some points. First, this research provided framework for new discussion based on academical foundation related to lurking, assuming personality of social network service user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as impact on lurking conducted in social network service. \r\nAlso, this research established ground for expansion of related study as it studied social network service, the most commonly used CMC channel, which were excluded from existing discussion. Last, this paper is valuable in perspective of practicality above academical discussion as it presented meaningful problem on lurking conduct that occurs frequently in today's life.

비고 : COM-1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