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텔레비전과 스마트폰의 동시이용이 시청성과에 미치는 영향 : 실재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저자명|조성한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6
  • 담당교수|최양수

주제어

미디어 동시이용, 세컨스크린, 멀티태스킹, 시청성과, 실재감, simultaneous media usage, second screen, multitasking, viewing satisfaction, viewing immersion, presence

국문초록

이용자가 하나 이상의 미디어를 이용하는 다중 미디어 환경이 도래하였으며,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해 미디어 이용자들은 시공간을 압축하는 미디어 동시이용 행태를 보였다. 그 중 텔레비전과 스마트폰의 조합을 중심으로 동시이용이 이뤄졌다. 그러나 텔레비전 시청 중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이용하는 행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직 확립되지 않은 미디어 동시이용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정리할 것이며, 텔레비전-스마트폰의 동시이용 유형 또한 이용 동기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 예상하여, 이를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의 미디어 동시이용은 텔레비전 시청을 보완하기 위한 스마트폰 이용이라는 것을 전제로 하여, 미디어 동시이용이 시청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미디어 이용에 있어 이용자의 심리적 요인(성향적 이용 동기, 실재감)에 따라 시청성과가 상이하다는 기존의 논의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동시이용과 시청성과의 관계에 있어 실재감(presence)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변인의 측정을 위해 선행 연구들에서 검증된 성향적 이용 동기, 실재감, 시청성과(시청 만족도, 시청 몰입도)의 문항을 사용했으며 닐슨이 규명한 14가지 텔레비전-스마트폰 동시이용 조합을 바탕으로 동시이용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10~50대 이상의 텔레비전과 스마트폰을 모두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 26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텔레비전-스마트폰 동시이용의 조합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이용 유형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미디어 기기 간 내용이 연계된 이용인 ‘세컨스크린 미디어 이용’은 ‘상호작용 유형’과 ‘기능적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내용이 연계되지 않은 이용인 ‘멀티태스킹 이용’은 ‘쇼핑/사진 유형’, ‘커뮤니케이션 유형’, ‘오락여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성향적 이용 동기가 텔레비전과 스마트폰의 동시이용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세컨스크린 미디어 이용의 경우 ‘자기현시표현’ 동기가 기능적 유형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현시표현’, ‘사회관계통제’ 동기가 상호작용 유형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한편, 멀티태스킹 이용의 경우 ‘자기현시표현’ 동기가 쇼핑/사진 유형에, ‘오락여유추구’ 동기가 오락여가 유형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이용자의 심리적 요인인 성향적 이용 동기와 실재감이 시청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향적 이용 동기 중 ‘환경감시학습’, ‘사회관계통제’, ‘오락여유추구’, ‘광고회피’ 동기가 시청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자기현시표현’, ‘환경감시학습’ 동기가 시청 몰입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한편, 실재감의 경우 ‘커뮤니케이션 실재감’과 ‘텔레비전 실재감’ 모두 시청 만족도의 영향을 미쳤으며, ‘텔레비전 실재감’만이 시청 몰입도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텔레비전-스마트폰 동시이용 유형이 시청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세컨스크린 미디어 이용의 ‘상호작용 유형’이 시청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기능적 유형’이 시청 몰입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텔레비전-스마트폰 동시이용이 시청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알아보기 위해 실재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세컨스크린 미디어 이용의 ‘상호작용 유형’과 ‘기능적 유형’이 실재감을 매개하여 시청성과(시청 만족도, 시청 몰입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밝혀냄으로써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먼저, 세컨스크린 미디어 이용의 유형에 따른 상이한 시청성과를 확인함으로써 미디어 동시이용이 산만한 시청 행위라는 주장을 반박했다는 점에 있어 학술적 의의를 갖는다. 더불어 실재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미디어 동시이용과 시청성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심리적 메커니즘을 확인한 것에 있어 의의가 있다.

영문초록

The multimedia environment has been developed, in where media users commonly use more than one media. Moreover, the invention and appearance of smartphone let media users employ simultaneous media use, which compresses space-time. Among many combination of simultaneous media use, TV-smartphone combination was the most used one. However, previous studies regarding simultaneous use of TV and smartphone’s miscellaneous functions were not actively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defined unsettled and inconsistent terms for simultaneous media use and examined the effect of dispositional motives on TV-smartphone simultaneous usage pattern. In addition, using smartphone while watching TV is assumed as supplementing action for television viewing in this study.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various simultaneous media usage patterns on performance of television viewing. Along with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how users’ psychological variables(dispositional motives and presence) would affect performance of TV viewing, as well as the mediated effect of presence between simultaneous media usage patterns and performance of TV viewing. To measure the variables, this study modified and adapted verified scales for dispositional motives, presence, and performance of TV viewing(viewing satisfaction and immersion), as well as 14 TV-smartphone simultaneous usage patterns, researched by Nielsen Company. To examine and analyse the research question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V and smartphone users between 10-50s and over. This study has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by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cond screen media usage(content-relevant between tv and smartphone)’ was consisted of ‘interactional pattern’ and ‘functional pattern’, while ‘multitasking usage(content-irrelevant between tv and smartphone)’ was classified as ‘shopping/photo pattern’, ‘communication pattern’, and ‘leisure/entertainment pattern’. Second, among dispositional motives, ‘self-expression’ affected positively ‘functional pattern’ and ‘shopping/photo pattern’, and ‘social relation control’ affected ‘interactional pattern’. Also, ‘leisure/entertainment pattern’ was affected by ‘entertaining and resting’ motive. Third,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users’ psychological variables on performance of TV viewing, this study has found ‘environment learning’, ‘social relation control’, ‘entertaining and resting’, and ‘avoiding advertisement’ were positively influential on viewing satisfaction. In the other hand, ‘self-expression’ and ‘environment learning’ influenced positively on viewing immersion. Also, this study shows that ‘communication presence’ and ‘television presence’ affects level of viewing satisfaction, however, only ‘television presence’ influence on level of viewing immersion. Fourth, only ‘interactional pattern’ was proven to be influential on viewing satisfaction, and only ‘functional pattern’ had an effect on viewing immersion. At last, to prove that presence works as psychological mechanism between simultaneous media usage and performance of TV viewing, 3 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result, presence did work as a mediator between second screen media usage and performance of TV viewing. Since this study has found the results as mentioned, it contributes to academic and practical field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imultaneous media usage, especially second screen media usage, is proven not to be distracting by the result of the fourth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is also meaningful, verifying psychological mechanism(presence as a mediator) for relationship between simultaneous media usage and performance of TV viewing.

비고 : COM-1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