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TV 프로그램 몰입도와 시청 성과 간의 관계 연구 : 시청률, 시청 충실도, 연속 시청률을 중심으로
  • 저자명|민병일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7
  • 담당교수|최양수

주제어

프로그램 몰입도(PEI), 시청 성과, 시청률, 시청 충실도, 연속 시청, 이중위험 현상

국문초록

본 연구는 TV 시청 시 얼마나 몰입하였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TV 프로그램 몰입도와 시청 성과 간의 관계를 이중위험 현상에 기초하여 탐색하고자 했다. 먼저 지상파 3사의 드라마, 예능, 시사/교양, 보도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TV 프로그램 몰입도와 개인 시청률 간의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TV 프로그램의 질적 평가로서 프로그램 몰입도와 양적 평가로서 프로그램 시청 성과인 ‘개인 시청률’, ‘시청 충실도’, ‘연속 시청률’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몰입도가 개인 시청률을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는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시청률이 높은 프로그램의 경우 프로그램 몰입도 또한 어느 정도 높은 편이지만, 프로그램 몰입도가 높은 프로그램의 상당수는 시청률이 낮게 나타났다. 프로그램 몰입도와 시청 성과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맺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프로그램 몰입도는 개인 시청률, 시청 충실도, 연속 시청률과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장르별로는 프로그램 몰입도와 개인 시청률, 시청 충실도 간의 관계에서는 보도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몰입도와 연속 시청률 간의 관계에서는 예능 프로그램이 가장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프로그램 몰입도와 시청 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인구사회학적 속성으로 구분하여 검증한 결과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고연령층보다 저연령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만 성별에 따른 상관관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몰입도가 시청률을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를 통해, 프로그램 몰입도가 시청률을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예측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평가인 프로그램 몰입도가 양적 평가인 시청 성과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규명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 몰입도가 시청률의 보완 지표로서 참고할만한 가능성을 제공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프로그램 몰입도가 시청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예측함으로써 프로그램 시청 선택 연구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다매체 다채널 방송 환경에서 시청자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편성 전략을 모색하는 방송업계와 프로그램을 이용해 광고 전략을 수립하는 광고업계에 실무적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V program engagement and viewership performance based on the phenomenon of double jeopardy, focusing on how much viewers are engaged in TV viewing.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V program engagement and individual TV ratings on drama, entertainment, current affairs, and news programs of three public broadcasting companies.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program engagement on individual TV ratings was examin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programs with high TV ratings showed high program engagement, but TV ratings are low in many programs with high program engagemen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program engagement and viewership performance. Program engageme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dividual TV ratings, viewing fidelity, and repeat viewing ratings. As for the genre, the entertainment program showed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program engagement and repeat viewing ratings, the news program showed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program engagement and individual TV ratings, viewing fidelity. In addition, the statistic correlation between program engagement and viewership performance was examined by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attributes. As a result, the statistic correlation was strong among females, young aged rather than males, old aged.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ender. Finally, it is predicted that the degree of program engagement can explain the TV ratings to a certain extent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program engagement on how much TV ratings are explained.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gram engagement, which is a qualitative evaluation and viewership performance, which is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TV programs. This implies that the program engagement is intended to provide a reference potential as a supplementary indicator of TV ratings. In addition, there is an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program engagement can contribute to expansion of program viewing choice study by predicting that program engagement can be used as a factor influencing viewing cho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helpful for the broadcast industry to find programming strategies tha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viewers in multi-media and multi?channel broadcasting environment. Also this study can be practical help for the advertising industry, which uses the program to develop advertising strategies.

비고 : COM-1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