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페이스북의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 우울감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저자명|김종훈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7
  • 담당교수|김주환

주제어

커뮤니케이션 능력, 중독적 페이스북 사용, 우울감, 사회불안, 구조방정식모형, communication competence, addictive Facebook use, depression, social anxiet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국문초록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독적 페이스북 사용의 원인이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따른 심리사회적 문제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중독적 페이스북 사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심리사회적 문제로 우울감과 사회불안을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중독적 페이스북 사용간의 관계에서 우울감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페이스북 사용기간이 6개월 이상인 사용자와 주 1회 이상 페이스북을 사용하는 20대 성인 남녀 3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연구모형 내에서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중독적 페이스북 사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우울감과 사회불안을 거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낮은 사람들은 우울감과 사회불안이 높고, 우울감과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중독적 페이스북 사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독적 페이스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문제의 중요성을 재확인 하였으며, 선행변수로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역할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함의를 갖는다.

영문초록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recognition that the cause of addictive use of Facebook is related to the psychosocial problem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that may provoke the addictive use of Facebook were selected as psychosocial problems.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adopt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addictive use of Facebook. The data presented in this research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questionnaires, and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317 men and women in their twenties who have used Facebook more than once a week, for more than six months. The result concluded that addictive Facebook use was not directly influenced by the individuals’ communication competence, however, indirectly influenced by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In other words, people with low communication skills showed high levels of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and people with high levels of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were more likely to use Facebook addictivel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reaffirmed the importance of the psychosocial problems that provoke the addictive use of Facebook and verifies the rol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s a leading variable.

비고 : COM-1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