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한국인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의지와 외국인의 국적을 중심으로
  • 저자명|신하경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7
  • 담당교수|백영민

주제어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의지,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불안감, 명령적 규범, 외국인의 국적, intention, intercultural willingness to communicat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pprehension, injunctive norm, foreigners'' nationality

국문초록

본 연구는 대다수의 한국인들이 실제 경험할 법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호의적인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할 수 있을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심리적 요인(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의지), 상황적 요인(외국인의 국적: 미국인, 조선족, 인도네시아인), 그리고 심리적 요인과 상황적 요인의 상호 작용(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의지×외국인의 국적: 미국인, 조선족, 인도네시아인)을 통해 한국인들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심리적 요인은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를 잘 설명할 수 있었다. 한국인들은 높은 수준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의지를 가질수록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 참여하려는 행동 의도를 가질 확률이 높았다.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의지 형성에는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불안감,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명령적 규범 인식이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상황적 요인은 한국인들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를 부분적으로 설명했다. 한국인들은 조선족에 비해 미국인을 만난 경우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시작하고자 했다. 심리적 요인과 상황적 요인의 상호 작용은 한국인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를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결론에서 진행하였다.

영문초록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ways to improve Korean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ehavior. The research was planned to explain Korean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ith psychological factor (Intercultural Willingness to Communicate, IWTC), situational factor (Foreigners’ nationality: American, Korean Chinese (chosunjok), Indonesian),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sychological factor and situational factor (IWTC × Foreigners’ nationality: American, Korean Chinese (chosunjok), Indonesian). A Survey experiment was conducted, and data from 654 Korean participants were gathered. First, psychological factor could explain Korean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Koreans with higher level of IWTC exposed higher probability to engage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dividual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their understanding of injunctive norm regarding to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uld affect the level of individuals’ IWTC. Next, situational factor could partially explain Korean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Koreans appears to have relatively positive attitude when they met Americans as a communication counterpart compared to the situation when they met Korean Chinese (chosunjok). Lastl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sychological factor and situational factor could not explain Korean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is was discussed in the conclusion.

비고 : COM-1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