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인식과 소셜미디어 의존이 미세먼지에 대한 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저자명|김민정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8
  • 담당교수|김용찬

주제어

소셜미디어 의존, 미세먼지 위험, 불확실성, 위험인식, 대응행동, 스토리텔링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미디어 의존도 모델(Kim & Jung, 2017)을 토대로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불확실성/위험인식과 소셜미디어 의존이 미세먼지에 대한 대응행동(정보추구행동, 개인적 대응행동, 사회적 대응행동, 오프라인 스토리텔링 행위, 온라인 스토리텔링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는 것이다.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불확실성/위험인식과 소셜미디어 의존이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했다. 이 연구를 위해 소셜미디어 이용자 36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불확실성/위험인식과 소셜 미디어 의존이 각각의 대응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했다. 특히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인식의 수준에 따라 총 4개의 집단으로 구분하고,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인식 수준(불확실성/위험인식)이 소셜미디어 의존과 상호작용하여 각 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소셜미디어를 자신의 일상에서 보다 중요한 미디어로 여기는 정도 즉, 소셜미디어 의존도가 클수록, 그리고 미세먼지에 대한 위험인식이 클수록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더 적극적으로 추구하고, 사회적 차원의 대응행동, 오프라인 스토리텔링 및 온라인 스토리텔링에 더 많이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인식(불확실성/위험인식)의 수준에 따라 소셜미디어 의존이 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불확실성이 낮고 위험인식이 낮은 집단에서 불확실성이 높고 위험인식이 높은 집단에서보다 소셜미디어 의존도가 미세먼지 대응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함의와 한계점을 결론부에서 논의하였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media dependency and risk perception of particulate matter(PM) on preventive behavior against risk based on the SNS dependency model. This study aims to define risk perception such as uncertainty/perceived risk about particulate matter and particulate matter risk-related preventive behavior that include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peronal and social preventive behavior, online and offline interpersonal storytelling behavior.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69 Social media users aged 19-59 in South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ocial media dependency and risk perception of particulate matter on particulate matter risk-related preventive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interaction of social media dependency with risk percep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risk perception(uncertainty/perceived risk), social media dependency has greater effect on preventive behavior in groups with lower levels of risk perception than in groups with higher levels of risk perception.

비고 : COM-1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