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청소년의 자기조절력이 모바일 그룹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괴롭힘 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체적공격성과 우울성향을 매개 변인으로
  • 저자명|박재연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8
  • 담당교수|김주환

주제어

자기조절력, 사이버괴롭힘, 온라인 그룹채팅, 신체적공격성, 우울성향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력이 모바일 그룹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괴롭힘 가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따라서 자기조절력의 효과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자기조절력이 모바일 그룹채팅에서의 괴롭힘 행동을 예측할 수 있음을 중심적으로 논의하였고, 자기조절력의 지표로는 감정조절력, 긍정성, 집중력, 성심성, 그리고 과제지속력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가정은 다음과 같다. 자기조절력과 모바일 그룹채팅방에서의 괴롭힘 행위의 관계에 있어 신체적공격성 패턴과 우울성향 패턴이 매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보았다. 자기조절력이 낮을수록 신체적공격성과 우울성향이 높아질 것이라고 보았으며, 신체적공격성과 우울성향이 높을수록 모바일 그룹 커뮤니케이션의 괴롭힘 행동을 강화시킬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또한 이러한 효과가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 예측하였다. 변인 간 관계에 관한 모형은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증하였고, 자기조절력이 신체적공격성과 우울성향을 매개로 하여 모바일 그룹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괴롭힘 가해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기본적인 연구 모형은 지지되었다. 집단 간 차이에서는 대학생집단에서만 우울성향이 모바일 그룹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괴롭힘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나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에 따라 모형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초록

With an assumption of potential possibility of self-regulation decreasing cyber-bullying,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cyber-bullying. Based on the evidence that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self-regulation is considered to influence aggression within online space. emotion-regulation, positivity, conscientiousness, concentration, and perseverance were used as indicators of self-regulation. Also, the current study argues that melancholy disposition and physical aggression aspects can mediate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on aggression attitudes in mobile group chatting. Thus, melancholy disposition and physical aggression were assessed. A series of survey data taken from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s. As expected, emotion-regulation, positivity, conscientiousness, concentration, and perseverance showed high correlation to self-regulation. Also, melancholy disposition and physical aggress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on cyber-bullying in online group chatting. Additionally, comparing the middle/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 groups in the model showed that only the college student groups have a statistically insignificant effect of melancholy disposition on cyber-bullying. Therefore, it was notic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s varied from middle/high school to college students.

비고 : COM-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