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정보원의 정치적 소속집단에 따른 가짜뉴스 효과
  • 저자명|이서희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8
  • 담당교수|백영민

주제어

국문초록

본 연구는 수용자가 범주화한 정보원의 정치소속에 따라 가짜뉴스의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체성 관점을 이론적 틀로 정보원을 ‘정치적 내집단 정보원’, ‘정치적 외집단 정보원’, ‘제3자 집단 정보원’으로 구분한 뒤 다음의 세 가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정보원의 정치소속이 정보원의 호감도(정보원에 대한 감정적 평가)와 정보원의 정당성 평가(정보원에 대한 인지정 평가)에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는지, 그리고 이 영향력이 메시지의 유인성(내집단 긍정 메시지, 내집단 부정 메시지), 수용자의 정치성향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정보원에 대한 감정적 및 인지적 평가가 수용자의 가짜뉴스에 대한 사실 인식 및 가짜뉴스 확산의 원인에 대한 귀인방식에 어떤 효과를 야기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정보원의 정치소속이 정보원에 대한 감정적, 인지적 평가를 매개하여 가짜뉴스의 사실 인식, 가짜뉴스 확산 원인에 대한 귀인방식에 어떠한 직접 및 간접효과를 야기하였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외집단 정보원은 내집단 정보원에 비해 정보수용자의 호감도 및 정당성이 낮게 평가되었다. 흥미롭게도 제3자 집단 정보원의 경우 정보 정보원의 정당성은 내집단 정보원보다 낮게 평가되었지만 정보원의 호감도는 내집단 정보원과 비슷하게 평가되었다. 또 정보원에 대한 감정적 평가는 사람들의 정보에 대한 사실 인식과 해당 가짜뉴스 확산의 원인을 정보원 내적 기질로 귀인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정보원의 정치소속과 가짜뉴스에 대한 사실 인식 및 해당 가짜뉴스 확산의 원인을 정보원 내적 기질로 기인하는 정도 간 관계는 정보원 호감도에 매개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짜뉴스 현상과 관련한 본 연구의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영문초록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impacts of source factors on the effects of fakenews. Based on a social identity perspective, this study focused on source’s political group membership(i.e. political ingroup, political outgroup, the 3rd group). The effects of source’s political group membership on affective·cognitive source evaluation(i.e. source likability, source qualification), the effects of source evaluation on fakenews’s perceived authenticity, attribution(i.e. internal attribution, external attribution) of the fakenews distribution, and direct-indirect effects of source’s group membership on fakenews’s perceived authenticity, attribution of the fakenews distribution were analyzed. Results of online experiment suggest that both affective and cognitive source evaluation are affected by source’s political group membership. In comparison with outgroup source’s likability and qualification, ingroup source’s likability and qualification were highly evaluated. However when we compared ingroup source wtih the 3rd group source, only qualification of ingroup source was highly evaluated. Interestingly, likability of ingroup source and likability of the 3rd group source revealed no difference. Also only affective source evaluation turns out to have effects on fakenews’s perceived authenticity and internal attribution towards source. Finally the results confirm that source’s political group membership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ssociated with information’s perceived authenticity.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effects of fakenews and false information might be related to affection toward source which mainly due to source’s political group membership.

비고 : COM-1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