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동네 평판과 포털 뉴스 댓글이 도시주민의 지역 참여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 이론의 적용
  • 저자명|신의경
  • 학위|박사
  • 졸업연도|2019
  • 담당교수|김용찬

주제어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 이론, 지역 평판, 커뮤니티 이야기하기 연결망에의 통합적 연결(ICSN), 커뮤니케이션 행위 맥락(CAC), 동네 참여, 포털 뉴스 댓글, 토픽모델링

국문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동네에 대한 외부인들의 평판수준이 어떤 과정으로 동네 커뮤니티 참여(neighborhood participation) 행위에 영향을 주는지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 이론(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eory, CIT)(Y. C. Kim & Ball?Rokeach, 2006a; Y. C. Kim & Ball?Rokeach, 2006b)의 틀로 과정을 탐색한 것이다.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했다. 먼저 동네 수준에서 동네에 대한 외부인들의 평판수준을 측정하고, 포털 뉴스 댓글을 통해 각 동네에 대해 어떤 이야기가 나타나고 있는지 현황을 관찰했다. 평판 수준 측정을 위해 서울시 50개 동에 대해 사람들이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설문을 통해 평판의 긍 ·부정 수준을 산출했다. 각 동네에 대한 포털 뉴스 댓글의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2012년 10월 ~ 2017년 12월까지 연구대상 동 이름이 언급된 네이버 뉴스 기사 댓글 41,636개를 최종적으로 추출한 후, 토픽모델링 기법으로 동네 이름과 관련해 등장하는 이슈 토픽들이 어떤 것들인지 살펴봤다. 그 후 이 이슈 토픽들과 설문 조사를 통해 얻은 동에 대한 평판수준이 서로 어떤 관계인지 분석했다.
다음은 개인수준에서, 동네 거주민이 인지한 동네의 외부 평판과 동네 관련 커뮤니케이션인 ‘커뮤니티 이야기하기 연결망에의 통합적 연결’(Integrated Connectedness to Storytelling Network, ICSN), 동네 참여의 관계를 살펴봤다.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 이론에서 말하는 ICSN은 미디어, 주민, 동네단체가 소통하여 만들어 내고 유지하는 동네 관련 이야기하기 연결망, 혹은 동네 정보망에 한 개인이 얼마나 잘 연결돼 있는지를 의미한다.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 이론에서 제시한 동네 참여모형에 따라 주민 평판 인지가 동네 커뮤니티 참여 행동으로 연결되기 위해 동네 커뮤니케이션인 ICSN을 매개하여 거쳐가는 경로를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첫 부분에서 파악한 동네 외부 평판과 댓글의 양이 거주민들의 평판 인지를 거쳐 ICSN, 동네 커뮤니티 참여 수준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 관계를 살펴봤다. 포털 뉴스 댓글은 사람들이 여론을 파악하는 중요한 창구 중 하나이기에, 거주 동네와 관련한 댓글의 양에 따라 동네의 외부 평판과 지역민이 느끼는 평판 인식의 관계가 달라질 것을 가정하고 댓글양의 조절효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조사대상 동 중 가장 평판이 좋은 동네는 소위 강남 3구에 위치한 잠실, 서초, 대치 등의 동네들이었고, 댓글상에서 주로 부동산, 교육 등 한국사회에서 동네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결정하는 소재와 관련해 언급되고 있었다. 가장 평판이 나쁜 동네는 대림동, 구로동 등으로 댓글에서 중국인과 조선족, 범죄 토픽과 관련해 언급되고 오명화(stigmatized)된 양상을 볼 수 있었다.
거주민 수준에서, 주민이 인지한 동네 평판은 반드시 ICSN을 매개하여 지역 커뮤니티 참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참여의 조건으로서 지역과 관련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드러냈다. 또한 맥락변수인 동네 외부 평판은 거주민의 평판인식에 영향을 주는 커뮤니케이션 행위 맥락(Communication Action Context, CAC)으로 작용하는데, 이 영향력은 동네를 언급한 댓글의 수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동네가 언급된 댓글의 맥락이 거주민들의 평판인지, 나아가 ICSN이나 동네참여에 이르기까지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초록

Goffman (1963, p.4) mentioned that members of a stigmatized social group are also stigmatized. Wacquant (2007) extended Goffman’s stigma to a territorial group or neighborhood, stating that residents of stigmatized neighborhoods can be stigmatized. Based on the Stigma theory, several studies found that neighborhood reputation or stigma affects its residents’ moving intention and behavior (Permentier, 2009); some studies hinted that communication among neighbors can be affected by neighborhood stigma (Nedelec, 2017). Surprisingly, scientific research on the effect of neighborhood reputation on its residents’ community-related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behavior is rarely found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research.
This study addresses the need to adopt neighborhood reputation as a contextual variable that can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its residents’ community-related perception,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behavio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neighborhood reputation affects its resident’s perception of neighborhood reputation, integrated connectedness to storytelling network (ICSN), and neighborhood participation, guided by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eory. It additionally considers the volume of users’ comments on online news articles mentioning the name of a neighborhood because online comments’ coverage can affect the perception of the neighborhood’s reputation by its residents, who encounter these comments when scrolling through online news.
As a preliminary study, I tried to find out under which context is a neighborhood mentioned on online comments. Topic modeling was conducted on 41,636 comments, mentioning the names of 50 neighborhoods, that were posted between October 2012 and December 2017. Then, I measured the reputations of 50 neighborhoods by asking people who reside outside the neighborhood in question how they evaluate the neighborhood. The result of this preliminary study found some neighborhoods with high reputation in the context of high socioeconomic status in contrast to neighborhoods with low reputation in the context of subaltern ethnicity, such as Chinese or Korean-Chinese communities.
Then to explore the associations among neighborhood reputations, residents’ communication or ICSN, and community participa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conducted between April 30 and May 9, 2018. Results showed that neighborhood reputation significantly affects resident’s perceived neighborhood reputation. Perceived neighborhood reputation by a resident indirectly affects their community participation through ICSN. Neighborhood reputation’s effect on resident’s perceived neighborhood reputation is found to be moderated by the volume of online news comments.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reputation and online news contents have been discussed along with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studies.

비고 : CAQ-1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