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시간과 장소를 상실한 도시 통근인구가 지역사회에 관여하는 기제: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 이론의 관점에서
  • 저자명|정은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5
  • 담당교수|김용찬

주제어

도시 통근인구의 지역 참여, 통근 시간, 이중적 장소 정체성, 통합된 지역 스토리텔링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 이론, 조건적 보상 가설

국문초록

서울시를 비롯한 전세계 대도시에서 시민들의 지리적 이동성이 증가함에 따라 지역공동체기반 시민사회의 존립에 대하여 학문적, 정책적 문제의식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의 이론을 중심으로 중(重)이동성, 특히 통근이 시민적 지역관여에 미치는 영향을 다층적으로 고찰한다. 본 연구는 (1) 한국 도시사회 맥락에서 통근인구를 인구사회학적으로 정의하였다. (2) 거주지역과 통근지역에 분절되어있는 ‘시간적 자원’과 ‘공간적 자원’, 두 가지 구조적 측면에서 통근의 효과를 이론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선행연구 흐름을 대표하는 시민자발성이론의 선형적 자원론 모델의 전제를 비판적으로 점검하였다. 복수지역공간에 대한 심리자원을 반영하기 위해 사회정체성이론을 바탕으로 이중정체성 모델과 척도를 제안하였다. (3)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 이론에 입각하여 지역에 대한 정보와 문제의식 등을 공유하는 미시/중시 수준의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지역민, 지역 단체, 지역 매체)가 앞선 두 가지 구조적 불이익을 조절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60세 미만의 시민 102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2014년 6월 4일 지방선거기간에 적시해 지역 관여도를 살핌으로써 지역 내에 잠재하는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이 지역관여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점검하였다. 독립변인인 통근 효과는 통근 시간과 이중적 지역 정체성 (통합, 활동지 우선, 거주지 우선, 단절)으로 측정하고, 종속변인인 지역관여는 이웃과 심리적, 물질적 교환 활동인 ‘동네 소속’, 그리고 지역발전을 위한 ‘시민 참여행동’으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최적 시간의 통근(ex. 90분 이하) 및 이중지역정체성(ex. 통합형)의 긍정적인 영향을 발견하여 통근과 지역공동체 발전의 부정적 선형관계를 조명한 선행연구 흐름을 반박하였다. 또한 지역 스토리텔링 네트워크에 대한 통합적 연결성의 ‘조건적 보상 효과’를 발견하여 중이동 도시환경에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서울시의 역사적 맥락에서 통근에 따른 사회적 결과물을 다각적으로 해석하고 지역공동체 시민사회의 활성화 방안으로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 이론의 함의를 논하였다.

영문초록

This study takes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eory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impact of commuting on community engagement in a highly mobile urban setting. Previous literature has revealed that increasing commute time predicts lower community engagement. However, some evidence indicates the opposite. This research aims to (1) define the commuting population in the urban metropolitan context of Seoul, (2) interpret effect of commuting on neighborhood belonging and civic participation by contrasting two alternative approaches (time-based resource model and bi-local identity model), and (3)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local communication?the integrated connectedness to neighborhood storytelling network (ICSN) ?between commuting and community engagement.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online survey data of 1,028 Seoul residents, conducted in June, 2014. The key independent variable, commute effect, was measured by the time spent on commuting and types of dual identification in home/workplace neighborhood. Local community engagement, the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with two instruments: neighborhood belonging, informal exchange activities with neighbors, and civic participation, a count of six types of local civic acts. As a result, although an urban commuter experiences time displacement and spatial fragmentation, one can compensate it by high level of communication within one’s local community. Findings suggest that (1) long-distance commuters show higher community engagement than non-commuters for participation in ‘communicative’ acts, which disputes the traditional resource model, (2) people with integrated (vs. home/workplace-dominant or marginalized) identification type are the most active in community engagement, and (3) ICSN itself has stronger predicting power of community engagement while suggesting interaction with bi-local identity for neighborhood belonging. Possible limitations are critically examined and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비고 : COM-1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