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유튜브 정치 동영상을 통해 누가, 무엇을 얻는가?: 선거지식, 주변지식, 오정보 수용, 뉴스 리터러시 개념을 중심으로
  • 저자명|장경은
  • 학위|박사
  • 졸업연도|2020
  • 담당교수|백영민

주제어

유튜브 정치 동영상, 뉴스 리터러시, 선거지식, 주변지식, 오정보 수용

국문초록

본 연구는 유튜브 정치 동영상 환경의 급성장과 가짜 뉴스 유통에 대한 사회적 우려 현상을 배경으로 유튜브 정치 동영상 환경이 단지 오정보의 통로인지, 아니면 정치지식을 제공하는 통로로서의 기능까지 할 수 있는지 탐구하였다. 뉴스 학습의 인지 매개 모형과 뉴스 리터러시 연구에 기반하여, 비판적 사고를 통해 정보의 품질과 신뢰성을 평가하는 역량(즉, 뉴스 리터러시)을 높은 수준으로 함양한 사람들은 유튜브 정치 동영상 환경 속에서 정치적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될만한 지식은 더 잘 학습하고, 오정보는 더 잘 여과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 맥락에서 유튜브 정치 동영상 시청행위와 뉴스 리터러시가 선거 지식(선거를 구성하는 제도, 정당, 주요 인물 등에 대한 사실적 지식), 주변 지식(선거 후보자 및 선거 관련자들을 둘러싼 인간적 배경과 관련된 흥미위주의 사실적 지식), 오정보(후보자의 주변인물 등과 관련하여 불완전하고 정확성이 떨어지는 정보) 습득?수용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탐구했다.
한국의 성인남녀 20세부터 69세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N = 795)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발견했다. 첫째, 선거 맥락에서 유튜브 정치 동영상 시청을 많이 할수록 주변지식 습득량은 증가하지만, 선거지식 습득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튜브 정치 동영상 환경에서 제시된 정보를 통해 수용자들이 정치제도를 이해하고 의사결정에 필요한 핵심적인 지식을 학습하기보다는, 특정 정치인과 관련된 인간적 흥미 위주의 정보를 학습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이러한 관계는 뉴스 리터러시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 모습을 보였다. 뉴스 리터러시 수준이 낮은 사람들은 유튜브 정치 동영상 시청량이 증가할수록 선거 지식 습득량이 감소하지만, 리터러시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선거 지식 습득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반대로 뉴스 리터러시 수준이 낮은 사람들은 유튜브 동영상 시청량이 증가할수록 주변지식 습득량이 증가하지만, 뉴스 리터러시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주변지식 습득량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유튜브 시청량과 오정보 수용의 직접적인 관계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뉴스 리터러시 수준에 따라 유튜브 시청량과 오정보 수용의 관계가 달라지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정파적 채널 시청량이 증가하면 뉴스 리터러시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낮은 사람들에 비해 오정보에 대해서 더욱 적극적으로 수용하거나 거부하는 양상을 보였다. 즉, 보수 채널 시청량이 증가할수록 뉴스 리터러시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낮은 사람들에 비해 현정부에 대해 부정적 의혹을 제기하는 오정보를 더욱 적극적으로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진보 채널 시청량이 증가할수록 뉴스 리터러시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낮은 사람들에 비해 현정부에 대해서 부정적인 의혹을 제기하는 오정보를 더욱 거부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뉴스 리터러시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정파적 성격을 갖는 유튜브 정치 동영상 채널에 장시간 노출될수록 사실적 정치지식을 잘 습득함과 동시에 오정보에 대한 정치적 태도를 강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확성에 기반한 정보처리를 습관화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뉴스 리터러시 교육 확장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영문초록

The present research explores whether YouTube political videos?political information content produced by individuals including political commentators, former or current politicians, influencers, and former journalists?promote political knowledge learning or misinformation reception. Drawing on the cognitive mediation model of learning from the news and news literacy research, this study speciaiclly examines whether news literacy moderates the effects of YouTube political-video viewing on political knowledge learning and misinformation reception. News literacy indicates an ability to use critical thinking skills to judge the reliability and credibility of news reports given from a variety of sources. In the context of the 2020 Korean general election campaign, this study tested how YouTube political-video viewing was associated with hard-type knowledge learning, soft-type knowledge learning, and campaign-related misinformation reception and how news literacy moderates these associations. Hard-type knowledge in this study refers to factual knowledge about the political system, parties, candidates, and important individuals that constitute election campaigns, whereas soft ?type knowledge indicates factual knowledge about human interest stories concerning candidates or campaign-related individuals.
Using survey data (N = 785) collected during the 2020 Korean general election campaign,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YouTube political-video viewing tim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oft-type knowledge learning but negatively associated with hard-type knowledge learning. This means that YouTube political-video viewing mostly promotes knowledge involving human interest stories while failing to facilitate a core-knowledge gain necessary for understating political systems or voting correctly. Second, news literac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ube political-video viewing time and knowledge learning. Compared to individuals with a low level of news literacy, those with a high level of news literacy were more likely to learn greater hard-type knowledge as their viewing time increased. In contrast, compared to individuals with a high level of news literacy, those with a low level of news literacy were more likely to learn grater soft-type knowledge as their viewing time increased. Third, a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YouTube political-video viewing time and misinformation reception was not found. However, as viewing time for politically conservative-channel (i.e., YouTube channels that provide videos representing a conservative perspective) or liberal-channel increased (i.e., YouTube channels that provide videos representing a liberal perspective), news-literate individuals were more likely to strongly accept or reject misinformation depending on the channel type to which they were exposed. More specifically, compared to conservative-channel viewers with a low level of news literacy, those with a high level of news literacy were more likely to accept misinformation unfavorable to the rival party (i.e., the incumbent Minjoo Party) as conservative-channel viewing time increased. In contrast, compared to liberal-channel viewers with a low level of news literacy, those with a high level of news literacy were more likely to reject misinformation unfavorable to their party (i.e., the incumbent Minjoo Party) as liberal-channel viewing time increased.

비고 : CAQ-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