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생활 예술 문화거버넌스 행위주체의 정책 인식 연구 : 서울문화재단의 <생활문화 거버넌스25>를 중심으로
  • 저자명|이성균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0
  • 담당교수|심보선

주제어

생활 예술, 생활문화, 지역문화, 문화거버넌스, 문화매개자, 문화민주주의

국문초록

근대 미학에 기반을 두고 예술을 바라봤던 사회인식이 점차 변화하고 있다. 예술과 삶을 결부시키지 않는 미적 모더니티의 관점에서 예술은 일상생활의 본질이 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배와 억압에 대한 반성으로 전업 예술가들이 아닌 시민들의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예술 활동이 최근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생활 예술’은 어느 날 갑자기 우리의 눈앞에 유행처럼 등장하게 된 문화적 활동이 아니다. 인류의 역사 속에서 ‘예술’은 언제나 삶의 중심에 있었던 일상적 활동이었다. 미적 모더니티의 해체와 문화민주주의 등장, 인간 행복 중심의 사회 지향과 같은 환경이 마련됨에 따라 비로소 ‘생활 예술’은 수면 위로 부상할 수 있었다. 국내에서도 2010년대 초반부터 학술 영역과 지방자치 영역으로부터 ‘생활 예술’ 이슈가 제기되었다. 민간 영역에서 발굴한 ‘생활 예술’ 사례에서 현대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이후 ‘생활 예술’은 정부 및 국회 등 정책결정자의 관심을 끌어 정부의제로 채택되었다. 2010년대 중반에는 ‘생활 예술’을 지원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조건도 완비되기에 이른다.

연구자는 이 시점에서 현재 국내 ‘생활 예술’이 새로운 화두를 논의할 단계에 이르렀다고 판단한다. 시민사회의 내부에서 자율적으로 이어져오던 과거의 ‘생활 예술’ 환경과 비교했을 때, 공공 영역과의 상호작용이 강해진 현재의 ‘생활 예술’ 생태계는 새로운 문제점을 마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대와 지역에 따라 ‘생활 예술’이 강조하는 속성은 달라진다는 점을 상기했을 때, 현재 국내 ‘생활 예술’이 되살려야 할 속성은 무엇인지 고민할 때이다. 이에 연구자는 예술을 둘러싼 사회 환경의 변화 속에서 ‘생활 예술’ 혹은 ‘시민 중심의 예술 활동’이 국가의 주요 문화정책으로 자리 잡은 해외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미적 모더니티를 바탕으로 전업 예술가들만 지원하던 문화정책이 시민의 문화권도 함께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한 프랑스, 일본, 영국의 흐름을 살펴보면서 ‘개방성, (민간)주도성, (지역)자주성’이라는 속성을 도출하였다. 이후 서울문화재단의 ‘생활문화 거버넌스25’에 참여하는 행위주체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특히, 문화거버넌스 내부 행위주체들이 ‘생활 예술’의 주요 속성별로 상이한 인식을 나타내는 원인을 살피고자했다. 이를 위해 거버넌스 과정에서 부정적 상호작용이 발생한 사건들에 주목하여 사회적 환경과 집단적 정체성, 구조적 문제, 조직문화 등을 함께 비교하며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 예술’이 새로이 추구해야 할 속성에 대해 문화거버넌스 내 주요 행위주체별로 상반된 인식 구도와 불균형한 시각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기존의 문화행정 관행이나 법적 개념에 기대어 설계된 ‘생활 예술’ 정책 구조로 인해 인식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며, 행위주체 단위별로 소속된 집단의 조직문화?조직특성이 벌어진 인식의 간극을 좁히지 못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개방성’ 측면에서는 합의되지 않은 ‘생활 예술’ 정의에 따른 현장의 인식 불일치가 나타났다. ‘(민간)주도성’ 측면에서는 단기적?일회성 사업 구조에서 비롯된 낮은 상호신뢰도, 애매모호한 FA의 역할에 따른 기획 실패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지역)자주성’ 측면에서는 서울시 주도로 집행되는 사업구조의 한계에 따른 부정적 인식이 관찰되었다.

인터뷰에서 도출한 문화거버넌스 행위주체별 정책 인식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언한다. 먼저, ‘생활 예술’의 개념과 범위를 설정하여 문화거버넌스 내 합의가 이뤄져야한다. 이어서 문화거버넌스 내 행위주체들의 조직특성과 문화적 배경을 상호이해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생활 예술’을 직접 영위하는 시민 주도형 협의체 구성과 이들의 실질적 활동을 보장할 수 있는 명확한 가이드 마련이 필요하다.

문화는 정형화되어있지 않기에 시대의 흐름에 따라 유연하게 변모해왔다. 문화거버넌스 역시 고정된 형상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시민사회의 변화에 대한 예민한 감수성을 바탕으로 동시대의 지역적 맥락에서 강조해야 할 ‘생활 예술’의 속성을 끊임없이 고민하고 이를 문화거버넌스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초록

Social perception on arts based on modern aesthetics has gradually changed. It is because arts with the perspective of aesthetic modernity that doesn’t combine arts and life couldn’t be the essence of daily life. Reflecting the domination and oppression, voluntary and gradual art activities of general people not professional artists are recently taking center stage. But community oriented arts are not cultural activities that have appeared in front of us suddenly. Arts have been positioned in the center of our lives in human history. With the breakup of aesthetic modernity, the appearance of cultural democracy and the prepared environment of social aim of human happiness, community oriented arts was able to emerge above the water. The issue of community oriented arts has been activated from academic and local autonomy areas since early 2010s in Korea. They found the possibility of solve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from the examples of community oriented arts found in civil area. Later, community oriented arts were adopted as governmental agenda attracting the policy makers of government and national assembly. In the middle of 2010s, they completed legal and systematical conditions to support community oriented arts.

The researcher believes now is the time to discuss a new issue of community oriented arts in Korea. Compared to the environment of community oriented arts of the past that have been autonomously operated in civil society, recent the ecology of community oriented arts where the mutual interaction of public area has been strengthened face new problems. Remembering that the characteristics that community oriented arts emphasize becom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ime and regions, it is time to think about the characteristics that current domestic community oriented arts should revive. So the researcher studied foreign examples of community oriented arts or general people centered art activity that became a country’s major cultural policy in the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of art. It studied France, Japan and Britain that changed the direction from cultural policy that only supported professional artists to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people’s cultural rights with the background of aesthetic modernity. Then it found the characteristics of openness, civil initiative and local autonomy. It interviewed some actors that participated in of SFAC(Seoul Foundation of Arts and Culture). Especially it tried to find the reason why internal actors of cultural governance shows different perception on major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oriented arts. It focused on some incidents of negative mutual interaction in the process of governance for this and compared and described social environment and group identity, structural problem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 study result shows that some main actors of cultural governance had different perception and unbalanced perspective on the characteristics that community oriented arts should newly pursue for. The perception differences are caused by the policy structure of community oriented arts designed with the existing cultural administrative tradition and legal concept. It could be deduced that organization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that actors belong to work as the reason of not narrowing the gap of perceptions. In the point of openness, perception discrepancy between working level people appeared in the definition of community oriented arts that is not agreed. In the point of civil initiative, plan failure appeared in low mutual reliance and ambiguous role of FA(Facilitating Artists) caused by short and one time business structure. In the point of local autonomy, negative perception is observed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business structure led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e researcher suggests the following based on the policy perception of each actor of cultural governance that it found through interviews. First it should set up the concept and scope of community oriented arts to reach an agreement within cultural governance. Then it requires education to understa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background of actors in cultural governance. Lastly, it requires to form civil initiative organization for autonomous operation of community oriented arts and clear guideline to guarantee actual activity.

Culture is not standardized. It changes flexibly as time passes. Cultural governance should not remain at fixed shape. It requires efforts to study community oriented arts, which should be emphasized in the local context of the time based on sensitivity for the change of civil society, constantly and to apply it to cultural governance.

비고 : MCM-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