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장소성을 구현하는 문화매개자로서 "로컬크리에이터" 연구
  • 저자명|권지은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심보선

주제어

국문초록

본 논문은 로컬크리에이터라고 불리는 이들이 지역성을 토대로 발견한 장소성을 재 가공하여 이를 소비재로 구현하는 일련의 활동에 대한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를 위해 연구자는 장소성과 문화매개의 이론을 정리하고 장소성을 구현하는 것과 문 화매개 활동에 대한 접점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로컬크리에이터라고 불리는 이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러한 접점에서 이들이 어떠한 가치를 발현하고 어떤 함의를 가 지는 지를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장소성은 개인이 어떤 장소에 대해 의미를 부여한 장소의 정체성인데, 이는 일상성 에 기반한다. 한편, 특정 지역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일상이 축적되어 그 지역의 지 역성이 형성된다. 따라서 한 지역의 장소성은 지역성을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장소성 을 로컬크리에이터들은 그들만의 방식대로 축적하고 체화하게 된다. 다음으로 그들은 그들이 잘 알고 있는 지역에 대한 매력적인 요소들을 대중들이 잘 느낄 수 있도록 재 가공한다. 이를 통해 장소성은 대중들이 소비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게 되는데, 대 중들은 이러한 소비재를 소비하면서 장소성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즉, 로컬크리에이 터는 이와 같이 지역과 대중을 매개하는 일련의 과정을 진행하며 장소 문화매개 활동 을 수행하며 대중들에게 지역이라는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한다. 로컬크리에이터 는 자신들이 이러한 활동을 하는 산업의 선두주자임을 인지하여 지역문화 전파에 대 한 책임감을 가지면서도 사업가로서의 면모를 잃지 않았다. 이들은 이들이 속한 커뮤 니티와 자신의 능력을 토대로 ‘스타일이 있는 창업가’로서 지역의 문화를 전파하고 있는 것이다.

로컬크리에이터의 활동은 지역의 뻔한 특성 보다는 숨겨진 지역 정체성을 발굴하여 장소성을 재발견한다는 점, 그리고 그 장소성을 소비재로 구현하여 대중들이 직접 지 역을 방문하지 않아도 장소성을 소비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이는 장소 문화매개가 지역이라는 문화에 대해서 더 다양하고 더 많은 사람에게 닿을 수 있도록 한다는 점과 상통한다. 그러나 본 연구의 인터뷰로 미루어보았을 때 현재 로 컬크리에이터가 이러한 사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이 갖춰지지 않았기에 정책적 지원에 의존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의 장소성을 발 견하고 재가공하고 구현하는 과정에만 집중하여 창조산업의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연구자는 로컬크리에이터들의 자립적이고 장기적인 생태계가 유지되어 다양한 지역 이 그 지역다운 매력을 대중에게 전달할 수 있기를 바라며, 본 연구가 이를 위한 작 은 걸음이 되었으면 한다.

영문초록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 series of activities by local creators. They discovers placeness based on locality and reprocesses this into consumer goods by materialization. To this end, this paper organized the theory of placeness and cultural mediation, and looked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implementation between these two. In-depth interviews with local creators aimed at studying what values they express and what implications they have at these points.

Placeness is the identity of a place where an individual has given meaning to a place, which is based on everyday life. Meanwhile, the daily lives of people living in a particular region accumulate and shape the locality of the region. Therefore, the placeness of certain region is based on locality. Local creators accumulate and embody these placeness in their own way. Next, they reprocess the attractive elements of the region that they are well aware of so that the public can feel it. Through this, placeness is realized in a form that can be consumed by the public, allowing the public to experience placeness while consuming such consumer goods. In other words, local creators carry out a series of intermediate processes between the region and the public, conducting place-cultural mediation, and allowing the public to enjoy the region as one type of culture. Recognizing that they are the leaders of the industry doing these activities, local creators have taken responsibility for spreading local culture, but have not lost their image as businessmen. They are spreading local culture as "styled entrepreneurs" based on their communities and their abilities.

The activities of local creator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rediscover hidden local identities rather than obvious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at they produce placeness as consumer goods so that the public can consume placeness without visiting the area in person. This is in line with the fact that place-cultural mediation allows people to access more diverse culture of the region. However, judging from the interviews in this study, local creators now tend to rely on policy support because they do not have an economically independent foundation to maintain such businesses. The foundation for generating profits for the creative industry is not being formed by the fact that they focus only on the process of discovering, reprocessing and materializing their placeness.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self-reliant and long-term ecosystem of local creators will be maintained so that various regions can convey their local charm to the public, and that this study will be a small step toward this.

비고 : MCM-2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