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온라인 공연의 관객 간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바라본 관객성 - 공유, 유희, 몰입을 중심으로
  • 저자명|김미지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심보선

주제어

온라인 공연, 관객성, 관객 간 커뮤니케이션, 사회적 시청, 공유, 유희, 몰입

국문초록

팬데믹의 여파로 공연예술계는 많은 타격을 입었다. 짧은 유행이 될 것이라는 초기 예측과 다르게 여러해 동안 코로나19는 지속됐고 공연예술계는 온라인 공연이라는 새로운 시도를 하게 된다. 처음엔 기록용이나 극장 상영을 위해 제작된 공연 영상을 네이버, 유튜브와 같이 거대 플랫폼을 통해 중계하는 것에서 시작됐다. 이후엔 공연을 생중계하거나 녹화하여 실시간 스트리밍했다. 온라인 공연이 본격화되면서 변화된 관람 행태가 주목받았다. 오프라인 공연장은 객석을 최대한 어둡게 하고 관객을 침묵 속에서 관람하도록 했다. 하지만 온라인 공연이 진행되는 가상의 객석은 ‘웃고 떠들며 노는’ 상반된 모습을 보여줬다.
본 연구는 사진이 처음 등장했을 때 사진이 예술인가라는 질문이 아닌 복제기술로 인해 예술의 성격이 바뀐 것 아닌가라는 질문을 던졌던 벤야민(Benjamin)의 문제의식과 동일 선상에서 출발했다. 온라인 공연이 진정한 의미의 공연인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라이브니스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뉴미디어, 디지털 기술로 인해 변화하는 공연예술과 관객성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진행했다.
관객성을 능동성에 따라 스펙트럼화하는 시도를 통해 공유, 유희, 몰입이 관객의 능동성을 견인하다고 판단했다. 또한 디지털 기기가 매개된 공연에서 관객성의 변화가 몰입(immersion), 참여(participation), 놀이(play)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고 본 Lewis의 주장에 영향을 받아 본 연구는 온라인 공연의 관객 간 커뮤니케이션에서 주로 나타나는 몰입(immersion), 공유(sharing), 유희(playfulness)를 중심으로 관객성과 그 변화를 살펴봤다.
온라인 공연에서의 관객은 공연예술에 관해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는 또 하나의 공간을 갖게 됐다. 그 안에서 다른 관객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능동적인 관객으로 역할을 해나가고 있었다. 관객은 작품 전체에 대한 감상보다는 장면과 해당 장면에 대한 감상, 감정을 공유하는 데 집중했다. 그 과정에서 재미를 느끼며 기존 오프라인 공연에서는 할 수 없었던 농담, 실시간으로 작품을 새로운 이야기로 변화, 확장하는 등의 유희적 활동을 이어갔다. 무엇보다 내러티브에 대한 몰입 뿐만 아니라 관객 간의 대화에도 몰입하며 이 두 공간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발견되었다. 관객이 경험하는 두 몰입이 서로를 방해하기도, 보완하기도 하며 역동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로 온라인 공연의 관객 간 커뮤니케이션 속에서 공유, 유희, 몰입이 세분화된 양상으로 때론 새로운 양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관객 간의 커뮤니케이션은 결국 기존과 다른 관람 환경, 온라인 공연이 가지는 태생적인 결함에도 작품을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관객이 서로를 돕는 양상을 만들고 있다. 서로의 커뮤니케이션이 작품의 해석을 확장하고 대화와 작품 모두를 즐기게 만들어 작품과 대화 양 쪽을 오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런 활동은 결국 능동적으로 작품을 수용하도록 한다.

영문초록

In the aftermath of the pandemic, the performing arts field was severely damaged. Contrary to initial predictions that COVID-19 would end soon, it has been around for a couple of years, and the performing arts field made the new attempt of online performance. It started with broadcasting videos recorded for archiving or theater-screening on large platforms such as Naver and YouTube. Later, live or recorded performances were streamed. As online performances became full-scale, much attention was drawn to the changed form of spectatorship. In offline performances, the auditorium is made as dark as possible, and spectators are supposed to watch the show in silence. However, the virtual auditorium where online performances take place is the complete opposite. The viewers laugh, chat, and enjoy themselves.
When photography was first invented, Benjamin raised a question. The question was not whether it could be considered art or not, but if reproductive technology was changing the very notion of art. This study started from the same question. It does not focus on the liveness to answer the question “can online performance be considered a true performance?”, but rather on the changes in performing arts and spectatorship brought about by new media and digital technology.
I created a spectrum of spectatorship based on activeness and judged that “sharing”, “playfulness”, and “immersion” are the factors that decide the activeness of the audience. Moreover, influenced by Lewis’s argument that in performance mediated a digital device, changes in spectatorship are centered on immersion, participation, and play, this study focuses on immersion, sharing, and playfulness that occur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viewers during online performances.
In online performances, the spectators now have access to another space in which they can freely talk about performing arts. They communicate with other fellow viewers and play the role of an active audience. Rather than discussing their appreciation of the overall piece, they focus more on sharing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bout individual scenes. They enjoy the process and engage in playful activities that were not possible in the offline performance environment, such as making jokes, and changing and expanding the piece into a new story in real-time. Above all, the audience immersed themselves not only in the narrative but also in their conversation, selectively alternating between the two. These two types of immersive experience by the audience seem to have a dynamic relationship, both disturbing and supplementing each other.
This study shows that sharing, playfulness, and immersion observed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viewers during online performances appear sometimes as segmented and sometimes in new aspects. In the end, this communication is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the audience members help each other so that they can fully appreciate the piece despite the different viewing circumstances and inherent flaws of online performances. Their communication expands the interpretation of the piece and helps the audience enjoy both their dialogue and performance, allowing them to go back and forth between the two. Such activities ultimately lead to an active appreciation of the piece.

비고 : MCM-2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