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OTT 콘텐츠 시청 경험에서 발견되는 수용자 능동성의 다변화 : 넷플릭스 이용자 분석을 중심으로
  • 저자명|민소영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심보선

주제어

핵심되는 말 : 수용자 능동성, OTT, 넷플릭스, 롱테일, 알고리즘, 시청 경험, 관계성, 확산성

국문초록

OTT 서비스의 등장은 다양한 시청 행태를 수용자로부터 이끌어내며 미디어 문화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비의 차원을 넘어 다양한 해독과 사회문화적 맥락의 연결 속에서 시청 문화를 형성하는 수용자 능동성이 그 어느 때보다 다변화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OTT 서비스 중 넷플릭스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수용자들의 시청 경험을 탐구함으로, 수용자 능동성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수용자 능동성을 두 방향으로 살피고자 한다. 먼저, 롱테일 상품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도록 구조화된 넷플릭스에서 어떻게 블록버스터 상품이 양산될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어서, 최근 스트리밍 서비스가 제시하는 추천 프레임이 수용자를 통제하는 것이 아닌, 수용자가 알고리즘과 다른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연구를 시도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두 현상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수용자들의 경험을 탐구하고, 이를 수용자 능동성 변화의 시각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기존의 능동적 수용자론 논의의 계보를 이어 수용자 개개인의 시청 형태부터 플랫폼 내부와 외부의 상호작용 속에 형성되는 수용자 문화를 살피는 것이 본 연구의 맥락이다. 알고리즘 문화가 주요한 토대인 넷플릭스의 이용자를 중심으로 OTT 서비스에서만 드러나는 특징적인 수용 행태를 살펴, 주요한 대중문화로 부상하고 있는 미디어 문화에 대한 이해를 더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초록

The emergence of OTT services, which led to the formation of various viewing cultures based on audience autonomy, has a profound influence on the overall media culture. Beyond the consumption, the audience activity, which forms a viewing culture in a network of socio-cultural contexts and various decoding, is at a turning point where it is diversifying more than ever.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the viewing experiences of diversified audiences focusing on Netflix users among OTT services, and attempts to examine how audience activity has chang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ctiveness of audiences in two directions. First, I would like to analyze how blockbuster products can be mass-produced on Netflix, which is structured to facilitate access to long-tail products. Subsequently, I would like to attempt a study to support the claim that the recommended frame presented by the streaming service is not controlling the audience, but that the audience is forming a pattern different from the algorithm.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audiences centered on the two phenomena and analyze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es in audience activity.

Following the genealogy of the existing active audience theory discussion, the contex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udience culture formed in the various interaction among the platform from the viewing form of each audi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dds an understanding of the media culture emerging as a major popular culture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 acceptance behavior revealed only in OTT services, focusing on Netflix users, where algorithmic culture is the main foundation.

비고 : MCM-2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