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뮤지엄 디지털 공간의 가능성과 한계 고찰?: 카스텔의 ‘흐름의 공간’ 개념을 중심으로
  • 저자명|이정민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심보선

주제어

뮤지엄, 흐름의 공간, 마누엘 카스텔, 뮤지엄 공간, 디지털 뮤지엄, 확장성, 연결성, 전환성, 상호작용, 융합

국문초록

포스트 뮤지엄으로서의 역할 확장과 더불어 뮤지엄 공간의 의미와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온·오프라인을 망라하는 뮤지엄 매개 공간의 다각적 조성과 활용이 더욱 중요해졌다. 그리고 이러한 뮤지엄 공간 특성의 변화는 이제 ‘디지털 뮤지엄’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으로 물리적 차원을 넘어 가상의 공간을 향해 또 다른 사회적 공간의 성취를 꾀하고 있다. 디지털 환경을 향해 변화해온 뮤지엄 공간은 경험의 폭과 깊이 연쇄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방향을 지향해왔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미학적 담론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유형의 생산장으로서 새로운 뮤지엄 디지털 공간 형성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2020년 초부터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이 장기화됨에 따라 디지털을 통한 접촉이 전 세계적인 트렌드가 되었다. 거리두기는 사회, 경제, 문화의 관계망을 일순간에 얼어붙게 했고, 문화예술계는 특히 가장 큰 타격을 받은 분야에 해당한다. 이에 코로나 시대 미술관의 형태는 디지털 콘텐츠의 파급과 성취에 집중되어, 가상공간 속 디지털 미술관의 확산으로 이어져 왔다. 이른바 코로나 시대의 생존전략으로서 ‘디지털 공간 형성’이 전 세계 뮤지엄의 당면한 과제가 되어버린 것이다. 이에 각국의 뮤지엄은 물리적 거리두기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온라인 체제로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채택해왔다. 어렴풋이 예측해온 디지털 뮤지엄의 시대가 갑작스럽게 현실로 도래하게 된 것이다. 기술의 쓰임새도 코로나 시대를 기점으로 방식이나 역할이 달라졌다.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디지털 기술의 도입은 전시에 관한 해설을 돕는 보조적 수단으로서 주로 이용되었으나, 이제는 하나의 완성된 독립적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하게 된 것이다.
디지털 공간은 이제 포스트 뮤지엄의 물리적 제약을 뛰어넘는 미래형 미술관으로서 부상하던 때와는 또 다른 맥락에서, 성찰을 통한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 빠르게 도달해있다. 이는 코로나19라는 상황에서 급격한 가속화와 대안적 수단으로서의 시행으로 인해 그려진, 가파른 변곡선의 결과이기도 하다. 점진적으로 나아가고 있던 포스트 뮤지엄의 확장이 갑작스러운 사회 환경의 변화와 맞물리게 되면서, 짧은 기간 급속도로 성장한 뮤지엄 디지털 공간은 뮤지엄 패러다임의 ‘흐름의 공간’으로서 존재하게 된 것이다. 이에 관해 본 연구는 공간의 형태와 그 형성 과정의 핵심적 요인을 총체적 사회 구조의 역동성에서 짚어내고자 한 카스텔의 ‘흐름의 공간’ 개념을 기반으로 삼아, 정보 기술의 발전과 팬데믹에 의한 사회적 변동으로 급속히 형성된 뮤지엄 디지털 공간이 향후 거시적인 뮤지엄 패러다임의 변화에 가져올 가능성을 추적해보았다.
이에 연구자는 흐름의 공간의 관점에서 뮤지엄 디지털 공간을 해석하기 위해 카스텔의 논의에서 ① 확장성, ② 연결성, ③ 전환성의 세 가지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특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연구자는 흐름의 공간이 가진 세 가지 특성이 공통적으로 ‘양면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보기술의 발달로 커져가는 흐름의 공간에 대해 카스텔은 그 긍정적 효과뿐만 아니라 결절의 면면을 짚어내며 비판적 시각을 견지한다. 본 연구는 이처럼 카스텔이 ‘흐름의 공간’을 통해 제시한 쟁점들을 분석적 개념으로 삼아, 새롭게 등장하는 뮤지엄 공간의 매개가 가지는 명암을 포착고자 최근 급속도로 변화해온 뮤지엄 디지털 공간의 양상을 보여주는 구체적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확장성, 연결성, 전환성이 지닌 양면적 특성을 확인하고 그 이면을 보완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가늠해볼 수 있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뮤지엄은 현실 공간과 디지털 공간 사이의 상호 협력 그리고 그 속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상호작용의 발생에 힘입어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영문초록

With the expansion of its role as a post-museum and the extension of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museum space, the multilateral creation and utilization of the museum-mediated space covering online and offline have become more important. And this change in museum space is now seeking to achieve another social space beyond the physical level with the emergence of a new paradigm called "digital museum". The museum space, which has been changing toward the digital environment, has aimed at expanding the breadth and depth of experience in a chain. Through the combination of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aesthetic discourse, the formation of a museum’s new digital space as a new type of the field of production is spreading.
Meanwhile, as the pandemic has been prolonged since early 2020, digital contact has become a global trend. Distancing froze the relationship network of society, economy, and culture in an instant, and the culture and arts community was particularly hit hard. Accordingly, the form of museums in the COVID-19 era was concentrated on the spread and achievement of digital content, leading to the spread of digital space in virtual spaces. As a survival strategy in the pandemic era, "digital space formation" has become the immediate task of museums around the world. Museums in each country have actively adopted the transition to an online system as a way to overcome physical distancing. The era of digital museums, which has been vaguely predicted, has suddenly come to reality. The use of technology has also changed its method and role since the pandemic. Previously,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chnology was mainly used as an auxiliary means to help interpret the exhibition, but now it is expected to play a role as a completed independent space.
Digital space is now rapidly reaching a point where change through reflection is needed in a different context than when it emerged as a futuristic museum beyond the physical constraints of post-museums. This is also the result of a steep inflection line drawn due to rapid acceleration and implementation as an alternative means in the situation of COVID-19. As the gradual expansion of the post-museum coincided with a sudden change in the social environment, the digital space of the museum, which grew rapidly in a short period of time, existed as a "Space of Flow" of the museum paradigm. In this regard, this study tracked the possibility that the rapidly formed museum digital space will bring about changes in the macroscopic museum paradigm in the future, based on Castells’ concept of "Space of Flow" to point out the shape of space and its formation process in the dynamics of the overall social structure.
Prior to the analysis, the researcher derived three characteristics, ① extendability, ② connectivity, ③ transformation in Castell's discussion to interpret the digital space of the museu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ace of flow. Looking at these characteristics in detail, the researcher confirmed that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of flow have 'two-sides' in common. Castells maintains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space of flow that is growi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pointing out not only its positive effects but also its nodules. Using Castells’ issues presented through the "Space of Flow" as an analytical concept, this study analyzed specific cases showing the aspect of the museum's digital space, which has recently changed rapidly, to capture the contrast of the mediation by the newly emerging museum space.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two-sided characteristics of extendability, connectivity, and transformation, and to gauge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mitations can be supplemented. The museum in the post-pandemic era will be able to form its identity as a social space through mutual cooperation between real space and digital space and the occurrence of various interactions in it.

비고 : MCM-2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