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초국가적 케이팝 팬덤의 갈등 연구 : 해외 팬덤을 중심으로
  • 저자명|김경수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

주제어

케이팝, 초국가적 팬덤, 해외 팬덤, 갈등, 전지구화, 문화 혼종성, 초국가성, 문화다양성, 갈등기능론

국문초록

본 연구는 초국가적 케이팝 팬덤을 둘러싼 다양한 갈등을 범주화하고, 해외 팬덤이 주도하는 갈등의 본질과 그것이 팬덤 전체에 미치는 영향 및 기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케이팝 팬덤을 둘러싼 갈등에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우선적으로 온라인 갈등 기사를 수집 한 후 갈등 대상, 원인 그리고 성격으로 나누어 범주화 하였다. 정리 된 갈등 개요에서 해외 팬덤이 특징적으로 주도하는 갈등에 주목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갈등의 사례와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전세계의 해외 팬들을 인터뷰하는 작업을 하였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 해외 팬덤 주도의 갈등에는 어떤 본질이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나아가 갈등이 케이팝 팬덤에게 어떤 변화를 미치고, 어떤 기능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국가적 케이팝 팬덤의 갈등 대상은 소속사, 아이돌, 팬덤, 방송사 등 15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갈등 원인에는 업무 불만/태만, 부적적한/혐오적 언행, 사회적 물의/논란 등 10가지 항목, 그리고 갈등 속성으로는 아이돌 보호, 아이돌 부당 대우, 팬 부당 대우, 아이돌 비판 등 7가지 항목이었다. 해외 팬덤이 강력하게 주도하는 갈등은 주로 가치관 차이, 국가/역사/문화/종교에 대한 입장차, 차별(인종, 케이팝)로 나타났다. 범주화 작업을 통해 해외 팬덤이 케이팝 팬덤을 둘러싼 갈등의 거의 모든 갈등에 관여한다는 사실과, 해외 팬덤 주도의 갈등 비중이 매우 높아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현재 케이팝에서 해외 팬덤의 영향력은 매우 높으며, 국내 팬덤의 영향력과 상응하거나 상회할 수도 있다고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케이팝 팬덤이 초국가화 된 이후, 해외 팬덤이 주도하는 갈등은 과거에 비해 매우 다양한 지점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해외 팬덤이 주도하는 갈등의 본질은 케이팝의 선행 연구에 활용된 이론 및 논의들의 연장선상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전지구화, 혼종성, 초국가성, 문화다양성 등의 논의들에서 갈등의 본질에 대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 첫째, 전지구화의 한계점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케이팝의 전지구화가 균등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특정 지역 팬덤이 소외와 박탈감을 느끼고, 미국중심주의에 불만을 느끼는 상황을 볼 수 있었다. 소외된 지역의 팬들은 전세계의 다른 팬들과 달리 케이팝 콘텐츠, 콘서트, 굿즈, 이벤트, 자막 등에 대한 접근성이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두고 소속사와 접근성이 높은 지역의 팬들과 갈등을 빚는 상황을 볼 수 있었다. 이외에도, 국가 간 역사, 정치, 외교적 분쟁 역시 전지구화가 넘지 못하는 장벽으로 관찰 할 수 있었는데, 이런 분쟁 상황으로 인해 특정 국가의 팬들은 팬덤 활동에 제약이 생기거나, 케이팝을 둘러싼 갈등이 국가 간 분쟁을 격화시키는 양상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발견할 수 있었다.
해외 팬덤 주도의 갈등에서 혼종성과 초국가성의 맹점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크게 문화적 전유와 종교의 차용 문제로 나눌 수 있었다. 가령, 흑인, 데시(Desi) 아프리카, 이슬람 문화를 케이팝에서 사용할 때 해당 문화에 대한 제대로 된 조사나 이해의 노력없이 단순히 스타일만을 베끼는 행태에 대해 해외 팬들은 강하게 항의하고 갈등 상황을 만들었다. 해외 팬덤은 이러한 문제에 대해 반복성과 재발성을 가장 큰 문제로 보고 있었고, 꾸준한 항의에도 대개의 경우 아무런 반응이나 조치도 취해지지 않아 분노와 무력감을 느끼고 있었다. 문화적 전유와 종교의 차용에 대해 냉소적으로 바라보는 타 해외 팬들과 팬덤 내부의 갈등이 일어나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해외 팬덤은 문화다양성에 대한 가치가 훼손되거나 위협당할 때 갈등을 빚었다. 해외 팬들은 인종, 젠더, 나이 등에 대한 차별적 행위와 케이팝에 대한 부정적 시선에 대해 갈등을 주도하였다. 해외 팬들은 문화다양성에 대한 추구를 바탕으로 어떠한 종류의 차별도 용인하지 않으려는 자세를 갖고, 차별이 일어났을 때 갈등을 통해 대응함으로서 갈등 대상에게 차별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시키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주류 사회에 이미 강하게 뿌리 박힌 스테레오타입과 부정적 시선을 바꾼다는 것은 해외 팬들에게 어려운 일이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연대하거나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방법 등으로 갈등 상황을 이어나갔다. 반면, 역설적으로 해외 팬덤 내에서도 연령 등에 대한 차별과 구별짓기가 일어나기도 하였으며, 이런 경우 팬덤이 분열되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나아가, 문화 차이에 의해 해외 팬덤과 한국/국내 팬덤 사이의 갈등이 조장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한국/국내 팬덤이 가지는 지나친 도덕주의와 정서적 평등주의를 바탕으로 해외 팬덤은 문화와 가치관의 차이를 보이며 케이팝 이슈와 관련하여 갈등을 빚었다. 해외 팬들 간에도 자신의 문화와 가치관을 다른 국가와 문화의 팬에게 관철시키고자 하는 태도로 인해 갈등이 생기는 경우도 발견할 수 있었다.
끝으로, 갈등이 초국가적 케이팝 팬덤에게 어떤 변화를 일으키고, 어떤 기능을 하는지 조사하였다. 갈등 기능론적인 관점에서 팬덤은 내집단과 외집단을 형성하며 갈등이 생겼고, 때로는 내집단 속의 내집단이 형성되며 팬덤 내부의 갈등이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갈등의 결과로 팬덤의 내부적 결속, 연대의식, 조직성, 갈등 관리 전략, 초국가성이 강화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문화다양성의 확대, 팬덤의 사회적 참여와 정치적 잠재성 증가, 공론장의 형성, 소수자 목소리의 효과적 전달, 목적 달성 확률 증가 등 또한 갈등의 기능으로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갈등은 양가적인 특성을 나타내며 역으로, 팬덤의 분열, 이탈, 공론장의 붕괴, 팬 정체성의 부인, 아이돌에 대한 거부감 형성과 같은 기능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결론적으로 케이팝 팬덤 내에서 갈등은 양가적 형태의 기능을 띠는 필연적인 특성으로서 팬덤을 변화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갈등을 중심으로, 기존 선행 연구에서 사용된 개념과 논의들이 간과하였을 만한 요소들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케이팝의 급격한 확산세를 설명하는데 집중되었던 학문적, 산업적 관심의 이면에 숨겨져 있던 다양한 갈등의 양상들을 살펴봄으로서 현재 초국가적인 형태를 띠게 된 케이팝에 대해 성찰해보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초국가적 팬덤 내의 다양한 갈등에 대한 전반적인 파악을 통해, 해외 팬덤이 갖고 있는 갈등과 불만 요소들에 대해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케이팝이 향후 더욱 초국가적으로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해본다.

영문초록

The present study categorizes the diverse conflicts that revolve around transnational K-pop fandom. It also aims to identify the essence of conflicts that are especially led by international fandom and the influence/function it has on the fandom. Initially, in order to get an overview of what types of conflict exist related to K-pop fandom, this study collects online conflict articles and dissects each case into conflict subject, cause, and character. Based on the layered out overview of conflicts and focusing on international fandom-led conflicts, this study implements interviews with actual K-pop international fans to look into their conflict experiences in detail.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essence of conflicts led by international fandom is analyzed on its influence and function.
Results showed the subjects of conflict consisted of 15, which included K-pop management companies, K-pop idols, fandom, broadcasting companies, etc. Causes for conflict were consisted of 10, which included dissatisfaction towards negligence of duty, inappropriate/hate speech & actions, social controversy/criticism, etc. Characteristics of conflict consisted of 7 categories: idol protection, unfair idol treatment, unfair fan treatment, criticism against idols, etc. Conflicts led by international fandoms were mainly due to differences in values such as, views on nation/history/culture/religion and discrimination(race, K-pop). Through the categorization work, it was found that international fandoms were involved in almost all conflict cases surrounding K-pop fandoms and that the proportion of conflicts led by international fandoms had increased significantly. It can be inferred that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fandoms in K-pop is very high and may match or exceed the influence of domestic, Korean fandoms.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conflicts led by international fandoms occur at very different points compared to before the transnational K-pop fandom.
The essence of the conflict led by overseas fandoms could be discovered as an extension of theories and discussions used in previous K-pop studies. Discussions on globalization, hybridity, transnationality, and cultural diversity, provided clues to the essence of conflict. First, the essence of the conflict could be found in the limits of globalization. As the globalization of K-pop did not take place evenly, certain local fandoms felt alienated and deprived and were also dissatisfied with the US-centricity. Unlike other fans around the world, fans in marginalized areas had very poor access to K-pop content, concerts, goods, events, and subtitles. In addition, historical, political, and diplomatic disputes between countries could also be observed as barriers that could not be overcome by globalization. Due to such conflict situations, fans of certain countries experienced restrictions on their fandom activities, and also political tension between countries intensified.
In addition, in conflict led by overseas fandoms, blind spots of hybridity and transnationality were found, which could be mainly divided into matters of cultural appropriation and religious borrowing. For example, when Black, Desi African, and Islamic culture are used in K-pop, overseas fans strongly protested and created conflict situations against the act of copying style without proper investigation or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International fandoms saw repeatability and recurrence as the biggest problems with these issues, and in most cases, no action was taken despite steady protests. Thus international fans constantly dealt with feelings of anger, frustration, and helplessness. It was also possible to see inner fandom conflicts with international fans who viewed cultural appropriation and borrowing of religion in cynical manners.
International fandoms were in conflict when the value of cultural diversity was undermined or threatened. Conflicts were generated about discriminatory behaviors on race, gender, and age and negative views on K-pop. International fans showed a tendency not to tolerate discrimination of any kind based on their pursuit of cultural diversity. When discrimination occurred, they responded through conflict, trying to make the object of conflict aware of the seriousness of discrimination. However, it was difficult for international fans to change the stereotypes and negative views that were already strongly rooted in mainstream society. To overcome this, conflicts continued, through solidarity or social media. On the other hand, paradoxically, discrimination also occurred within international fandoms as well, regarding age, etc., and in this case, the fandom ended up becoming divided. Furthermore, conflicts between international fandoms and Korean/domestic fandoms were promoted by cultural differences, which served as potential risks of cultural diversity. Based on excessive moralism and emotional egalitarianism of Korean/domestic fandoms, international fandoms showed differences in culture and values, resulting in various conflicts over K-pop issues. It was also found that even among international fans, conflicts occurred between countries and cultures due to certain fans trying to force their own culture and values to others.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kind of change and function conflicts cause in the transnational K-pop fandom. From a conflict functionalism point of view, the fandom usually formed an in-group and an out-group which generated conflicts between the two. In some cases, an in-group within the in-group was formed, and it could be seen that inner-fandom conflicts occurred in these situations. As a result of conflict, the internal unity of the fandom, sense of solidarity, organizational power,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and transnational traits were strengthened. In addition, the expansion of cultural diversity, the increase in social participation and political potential of the fandom, the formation of a public sphere, the effective delivery of the voices of minorities, and the increase in the probability of achieving goals were seen as functions of conflict. However, conflicts exhibited ambivalent characteristics, and conversely, they also showed functions such as division of the fandom, departure of fans, the collapse of the public sphere, denial of fan identity, departure from fandom, and formation of a sense of rejection towards idols. Consequently, conflict is an inevitable characteristic of the K-pop fandom, which not only serves as many ambivalent functions, but also acts as an essential factor that brings change to the fandom.
In conclusion, by focusing on the aspect of conflict, this study aims to spotlight points that may have been overlooked by concepts and discussions regarding previous K-pop stud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K-pop, which has now taken on a transnational form, by examining the various aspects of conflicts hidden behind the academic and industrial interests focused largely on explaining the rapid spread of K-pop. Furthermore, through a general understanding of various conflicts within the transnational fandom,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find ways to respond to the conflicts and dissatisfaction elements of international fans and to contribute to the further transnational expansion of K-pop in the future.

비고 : MCM-2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