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포스트 미디엄 조건 이후 예술 작품의 혼성적 물성 - 안젤름 키퍼의 평면 이미지를 반영한 입체 작품 -
  • 저자명|장유정
  • 학위|박사
  • 졸업연도|2020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비물질, 탈물질, 평면, 입체, 오브제, 물질, 물성, 시각, 촉각, 시간, 공간, 연극성, 생기론, 활기, 애니미즘, 패티시즘, 지금, 여기, 소환, 실재, 존재,
immaterial, dematerialization, two-dimensional, three-dimensional, objet, material, materiality, visual, tactile, time, space, theatricality, vitalism, vitality, animism, fetishism, here, now, summon, reality, existence

국문초록

본 연구는 “언어나 이미지 등 비물질적이고 개념적이며 시각적인 것들이 중심이 되고 있는 오늘날의 탈물질적 미술 환경에서 물질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가치를 만들어갈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로잘린 크라우스(Rosalind Krauss)가 ‘포스트 미디엄 조건(post-medium condition)’이라고 정의한 오늘날의 이 같은 미술사적 환경에서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에서도 사진과 영상의 발달의 결과물로서 탈물질적인 이미지가 물질세계에서의 많은 부분을 대체해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자는 오히려 물성에 대한 성찰은 반드시 지속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물질에 대한 사유는 평면 이미지가 제공해 줄 수 없는 고유한 물질세계에서의 경험들을 더욱 가치 있게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의는 로잘린 크라우스가 포스트 미디엄 조건에서 촉구한 매체 특정성에 대한 재고와 모더니즘적 자기 성찰 태도를 기반으로 한다. 본격적인 연구의 대상은 평면 이미지로부터 영향을 받아 생성된 입체 작품이다. 이를 위해 안젤름 키퍼(Anselm Kiefer)의 회화 작업과 조소 작업 중에서 ‘물질을 이용한 평면 이미지의 현전’을 이루어낸 경우를 선별하여 분석한다.
먼저 제 2장에서 미술사 내에서 물질이 형상 또는 개념에 가려져 그 역할이나 의미가 온전히 인정받지 못해왔던 경향을 살펴본다. 이러한 상황에서 촉구되는 매체 특정성에 대한 재성찰의 태도로서 로잘린 크라우스의 ‘포스트 미디엄 조건’을 돌아봄으로써 오늘날의 시대적 맥락에서 입체 작품과 그것을 이루는 물질의 특성에 관한 연구 배경을 구축한다.
제 3장에서는 사물과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현상을 탈물질적 환경에서 나오는 보상적 요구로 해석하였다. 평면 매체에 익숙한 오늘날의 환경에서 실재 시간과 공간에 존재하는 실물에 대한 요구가 이어지는 이유를 애니미즘 및 시각과 촉각이 주는 경험의 차이에서 찾는다. 또한, 물질이 인간의 사유와 환경을 유연하게 반영하는 생기론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시대 특정적인 현상을 반영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리고 입체 작품들이 살아있는 듯 여겨지게 하는 연극성과 패티시즘에 대해 분석한다. 각 절에서는 키퍼 작품을 통해 이해를 돕는다.
마지막으로 제 4장에서는 키퍼의 현전성이 돋보이는 입체 작품과 설치 작품들을 선별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그는 먼저 자신의 시야를 평면 작업의 프레임 안에서 보여준 후에 그것을 입체 작품으로 다시 한번 만들어냄으로써 자신이 바라본 세계로 관객을 초대하고 자신의 시점과 상상을 현실 속에서 드러내고자 한다. 그리고 평면 이미지와 입체물이 합쳐져서 생성되는 결과물들을 살펴보면서 무엇이 ‘실재’인지를 정의하고 그것을 ‘지금, 여기’로 소환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음을 밝힌다. 평면 이미지의 살아 있고자 하는 욕망은 물질이 가진 힘을 만나 현실에서 새로운 물성을 도출해낸다.
결론적으로 순수한 매체란 더이상 존재하기 어려우며 동시에 오늘날 다층적이고 혼성적인 물성이 탄생함을 말할 수 있다. 탈물질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 사이에서 무엇이 ‘진짜’에 가까운지에 대한 질문은 이제껏 그래왔듯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평면적 이미지와 입체적 사물이 서로에게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받으며 생성되는 결과물을 현실로 소환하고자 하는 노력이 바로 오늘날의 ‘실재’이다.

영문초록

This study starts from the question, "What are the attributes of materials and what values can materials create in today's dematerialized art scene where immaterial, conceptual, and visual things such as languages ??and images take the center stage?" Dematerialized images, the product of the growth of photographs and videos, have replaced various aspects of the material world not only in today’s art history milieu defined by Rosalind Krauss as the “post-medium condition” but also in our daily lives. Against this backdrop, it is my belief that, on the contrary, reflection on materiality must be continued all the more because contemplating on materials makes more valuable the unique experiences in the material world that flat images cannot offer.
Therefore, this discussion is based on the rethinking of media specificity and modernistic self-reflection attitudes Rosalind Krauss asserts in the post-medium condition. The main subject of the research is a three-dimensional work created from the influence of a flat image. To this end, cases realizing the “presence of a flat image using material” will be selected and analyzed among the paintings and sculptures of Anselm Kiefer.
First, Chapter 2 takes a look at the inclination in art history where the material was obscured by either shape or concept and thus did not receive proper recognition of its role or meaning. By looking back at Rosalind Krauss' “post medium condition” as an attitude of re-reflection on media specificity which is pressing in such situation, the chapter lays the research background for three-dimensional work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ituent materials thereof in today’s contemporary context.
Chapter 3 makes an interpretation of the phenomenon of heightened interest in objects and materials as a compensatory demand from a dematerialized environment. It explores animism and the difference between visual and tactile experiences in search of the reason for continued demand for real things existing in real time and space in today’s flat media-accustomed environment. Also, the chapter focuses on the fact that materials reflect age-specific phenomena since materials have vitalistic qualities that flexibly reflect human thoughts and environment. In addition, it analyzes theatricality and fetishism that make three-dimensional works appear to be alive. In each section, Kiefer’s works are used to help better understanding.
Finally, Chapter 4 selects and intensively analyzes three-dimensional works and installation works in which Kiefer's presence is prominent. He first tries to show his perspective within the frame of a two-dimensional work and then turns it once again into a three-dimensional work, inviting the audience to the world he gazed at and revealing his point of view and imagination in reality. While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two-dimensional image combined with the three-dimensional object, the chapter reveals that the goal lies in defining what is “real” and summoning it to “here and now.” The flat image’s desire to stay alive meets the force of the material to generate a new materiality from reality.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pure media as such is no longer in existence and at the same time a multi-layered and hybrid materiality is born today. The question of what comes closer to the “real” between the dematerialized versus the materialized will persist going forward as it has always done in the past. Today's “reality” is, in effect, the effort to summon the creation resulting from the constant interaction between flat images and three-dimensional objects.

비고 : DVA-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