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숭고의 미적 경험의 관점으로 본 키치 - 몰르의 키치 개념과 리오타르의 숭고 경험을 중심으로
  • 저자명|정새해
  • 학위|박사
  • 졸업연도|2020
  • 담당교수|이현진

주제어

국문초록

숭고의 계기로서의 키치라는 주제는 어르신들이 입으시는 일바지의 알록달록한 꽃무늬 패턴으로부터 설명하기 어려운 감정을 느꼈던 창작자 개인의 경험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경험을 예술 작품을 통해서도 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꽃무늬의 패턴으로부터 키치를, 설명하기 어려운 감정으로부터 숭고를 도출하여 키치를 통한 숭고의 미적 경험의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키치를 인식함으로써 발생하는 숭고의 미적 경험을 해명하기 위해서는 키치와 숭고에 대한 미학적 고찰이 필요하다. 이에 먼저 현대 미술 담론 내에서 키치가 어떻게 논의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세 가지의 접근으로 분류하여 보았다. 첫 번째 접근은 클레멘트 그린버그의 견해를 중심으로 한 접근으로서 키치는 예술과 문화의 발전을 저해하고 대중의 문화 소양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지양되어야 할 문화로 보는 비판적 태도이다. 두 번째 접근은 현대 미술의 레디메이드 오브제와 형식 차용을 위한 키치를 미적 경험의 계기로 바라보는 견해이다. 세 번째 접근은 키치에 대한 유미주의적 태도라 볼 수 있는 캠프에 대한 견해이다. 이 세 가지 접근에 대한 비교와 고찰을 통해 키치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따라 서로 다른 미적 경험이 가능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어서 키치 개념을 사회심리학적 관점으로 접근한 아브라함 몰르의 키치론을 살펴봄으로써 삶의 태도로서의 키치와 키치의 감정 상태 그리고 키치-담지자의 개념에 대해 알아본다. 몰르는 사회의 구조 내에서 인간과 사물의 관계 속에 깊숙히 내재된 유형과 무형의 폭넓은 키치와 이와 관련한 사람들의 심리에 대해 밝혔다. 그의 견해가 갖는 중요한 특징은 키치를 실체를 갖는 사물로서 제한하여 보지 않고 “인간과 사물의 관계방식”으로 본다는 것이다. 이 관계가 안락함과 소외감의 교차적인 작동으로 키치의 생산과 소비라는 순환을 유지시키고 이를 동력으로 자본주의 소비사회가 지속된다는 견해에 대해 알 수 있다. 나아가 키치-담지자의 개념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사물뿐만 아니라 삶의 태도에 따라 무엇이든지 키치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몰르의 키치론을 살펴봄으로써 소비사회 내에서 사람들의 삶 깊숙히 키치가 내재되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고 그의 견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미적 경험의 계기로서의 키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어서 숭고의 경험에 대한 미학적 논의를 살펴보고자 임마뉴엘 칸트와 장-프랑수아 리오타르의 숭고론을 살펴본다. 두 학자의 숭고론을 숭고의 대상, 숭고의 매커니즘, 숭고의 효과 면에서 검토하여 자연 대상으로부터의 숭고 경험과 예술 작품으로부터의 숭고 경험의 특징을 비교하여 살펴볼 수 있다. 근대철학을 기반으로한 칸트의 숭고 미학에서는 숭고의 대상을 자연에서 찾았지만 실제로는 인간의 이성 능력의 위대함을 깨닫는 경험으로 본다. 이를 통해 숭고는 대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대상에 대한 인간의 사유에서 발생한다는 숭고의 주요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숭고는 대상과 감상자 사이의 위계의 변동에서 오는 불쾌에서 쾌로 이행되는 감정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장-프랑수아 리오타르는 근대적 인식론에서 벗어난 포스트모던 숭고론을 주창한다. 그는 숭고의 경험을 기존의 인식 체계로는 이해할 수 없는 대상을 새로운 방법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라 보고 이러한 숭고 경험의 계기를 예술 작품에서의 몰형식성(formlessness)으로부터 오는 인식할 수 없음에 대한 박탈감으로 본다.
이러한 검토를 거쳐 키치를 인식하는 계기를 통한 숭고의 미적 경험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이를 ‘키치-숭고'의 미적 경험이라 이름한다. 키치-숭고의 미적 경험이 이루어지는 세 단계를 키치 인식, 세계 대면, 자아 발견으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예술 작품의 관조자가 키치를 인식하게 되며 두 번째 단계에서 키치가 포함된 사회 시스템으로서의 세계를 대면함으로써 키치에 대하여 우월함을 느낀다고 본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관조자가 그러한 세계 내에서 키치와 관계 맺는 자신을 발견하여 우월하다고 생각했던 자신의 위계가 키치보다 하락함을 경험한다고 본다. 이때 키치가 더이상 인식할 수 없는 대상으로 전환됨에 따라 숭고의 경험을 할 수 있다고 본다. 키치-숭고의 미적 경험은 관조자가 키치가 인식될 때 그에 대한 판단을 유보하는 열린 태도를 가질 때 발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키치-숭고의 견해를 기초로 앤디 워홀과 마틴 퍼의 작품 사례를 분석한다. 분석 사례로 워홀의 작품을 선정한 이유는 워홀이 키치를 소재면으로나 표현 방법면으로나 적극적으로 차용하였는데 반해 그의 작품에 대한 미술사 담론에서 정작 키치가 일으키는 미적 경험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리고 현대인의 삶에서의 유형과 무형의 키치를 예리하게 포착하는 우리 시대의 작가인 마틴 퍼의 사진을 통해 사회와 사람의 기록이 키치-숭고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관점으로 정의된 키치 개념을 현대미술 담론에서의 키치 미학에 적용함으로써 키치의 미적 경험에 대한 논의를 확장해보는 시도로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더불어 다소 제한된 시각에서 읽혀왔던 키치를 우리 사회 내에서 다각도로 살펴보고 인식할 수 없는 대상을 마주하는 숭고의 미적 경험의 계기로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한 이론적 시도로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키치-숭고의 견해가 다소 과감해 보일 수 있겠으나 키치-숭고에 대한 고민을 바탕으로 예술 이론적 시도와 창작 실험을 이어가려는 예술가의 도전으로서 이어나갈 발전 가능성을 보아주기를 바란다.

영문초록

The theme of kitsch as the opportunity for the sublime is originated from the personal experience of an artist myself who felt something difficult to explain from the colorful flower patterns of the stretchy pants worn by the elderly. I thought that such an experience could be achieved through works of art as well. Therefore, this study was start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aesthetic experience of the sublime through kitsch by connecting kitsch from the flower patterns of the stretchy pants and the sublime from the emotion that was difficult to explain.
In order to explai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sublime generated by perception of kitsch, aesthetic consideration of kitsch and the sublime becomes necessary.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looks at how kitsch has been discussed in the contemporary art discourses and then classifies them into the following three approaches. The first approach, based on Clement Greenberg's view, is a critical attitude of seeing kitsch as a culture to be avoided because of the reasons that it hinders the development of art and culture and lowers the cultural sophistication of the public. The second approach is to look at kitsch which is a ready-made object or an expressional appropriation of the contemporary art as an opportunity for aesthetic experience. The third approach is the view of the ‘camp’, which could be seen as an aestheticism toward kitsch. Through comparison and consideration of these three approaches, this study finds that different aesthetic experiences are possible depending on knowledge and attitude of kitsch.
Subsequently, by examining the kitsch theory of Abraham Moles who approached the concept of kitsch from a social psycholog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finds kitsch as a way of life, kitsch's emotional state, and the concept of kitsch-trager. Moles explains about a broad range of kitsch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ings in the structure of a society and the psychology of people related to it. An important feature of his view is that he sees Kitsch as "a way of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thing," rather than limiting it to an object with subst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fort and alienation maintains the cycle of kitsch production and consumption, and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view that the capitalist consumer society continues through this relationship. Furthermore, by looking at the concept of kitsch-tragers, it is found that anything can be kitsch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life as well as things. By examining the kitsch theory of Moles, this study finds that kitsch is inherent in people's lives in the consumer society, and based on his views, it is possible to see kitsch as an opportunity for new aesthetic experiences.
Subsequently, this study looks into two different theories of the sublime by Immanuel Kant and Jean-Francois Lyotard to examine the aesthetic discussions of the sublime experience. By examining the sublime theory of the two scholars in terms of objects, mechanisms, and effects of the sublime, it is possible to compare and examine the sublime experiences respectively from nature and art works. In Kant's aesthetics based on modern philosophy, the sublime is an experience of realizing the greatness of human reason. Through this, it is discovered tha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sublime are not based on the object, but on human thinking about the object.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the sublime is an emotion that shifts from discomfort to pleasure out of the changes of the hierarchical positions between the object and the viewer. Meanwhile, Jean-Francois Lyotard advocates the postmodern sublime theory, which deviated from the modern epistemology. He sees the experience of the sublime as a new way of accepting objects that could not be understood by the existing cognitive system, and views the sublime as a deprivation of the unperceivable from the formlessness of art works.
Based on these researches, this study discovers a possibility of the sublime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the opportunity to perceive kitsch, which is hereby called aesthetic experience of 'kitsch-sublime'. Three stage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of kitsch-sublime consist of perception of the kitsch, confrontation of the world, and self-discovery. In the first stage, viewers of art works perceive kitsch, and in the second stage, they feel superior to kitsch by facing the world as a social system that includes kitsch. In the third stage, a viewer finds one’s own relationship with kitsch within such a world, and sees that one’s position, which was thought to be superior, falls below kitsch. At this time, as kitsch turns into an object that viewer can no longer perceive, it is considered that the viewer can experience the self-deprecating sublime. Kitsch-sublime's aesthetic experience may occur when the viewer possibly perceives kitsch but has an attitude open to withholding judgment on it.
Lastly, based on this view of kitsch-sublime, this study analyzes the cases of Andy Warhol and Martin Parr. The reason why Warhol's works are selected to analyze is that, while Warhol actively appropriated kitsch as a subject matter or an expression method, in-depth discussions about the aesthetic experience caused by kitsch in his works have not been well discussed in the art history discourse. And interpreting the photos by Martin Parr, an artist of our time who sharply captures the tangible and intangible kitsch in modern live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documents of society and people’s lives can be connected with kitsch-sublime.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as an attempt to expand the discussion of kitsch's aesthetic experience in contemporary art discourse by applying the kitsch concept defined by a social perspective. Plus, this study can be seen significant as a theoretical attempt to look at kitsch, which has been read from a rather limited perspective, from various perspectives within our society and to see it as an opportunity for aesthetic experiences of the sublime by facing unperceivable objects. The kitsch-sublime’s view may seem a bit controversial, but I hope that this study shows a potential as a theoretical attempt and its artistic experiment that have been driven by the concept about kitsch-sublime.

비고 : DVA-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