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1984』와 <굿모닝 미스터 오웰>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 변화 연구
  • 저자명|서정호
  • 학위|박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전수진

주제어

백남준, 조지 오웰, 굿모닝미스터오웰, 1984, 이미지, 이데올로기, 이데올로 기적 이미지, 빅 브라더. 헤테로토피아, 기술적 헤테로토피아

국문초록

본 연구는 조지 오웰(George Orwell)의 디스토피아 소설 『1984』와 그것을 비 판적으로 해석한 백남준의 인공위성 작품 <굿모닝 미스터 오웰>(이하 로 표기)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 변화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기술 친화 대 혐오로 양분되 는 오늘날의 기술 대립적 논쟁에 접근하기 위하여 『1984』와 가 상징하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가 사회 환경적!구조적 변화로 인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실 증적으로 고찰해, 새로운 이데올로기적 이미지 변화의 가능성 모색을 연구의 목적으 로 한다.
이 연구를 위해 본 연구자는 먼저 『1984』와 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 변화를 살펴보고자 이미지의 전통적 견해와 근대적!현대적 논의를 알아보고, 이데올 로기의 기원과 마르크스-엥겔스(Marx-Engels)의 이데올로기(ideology) 논의 및 근 대적 논의를 이론적으로 고찰했다. 이를 바탕으로 순수한 형태(motif)를 해석하는 파 노프스키(Erwin Panofsky)의 1단계적 아이코놀로지(iconology)를 비판하여, 알레고 리와 스토리가 교차하는 3단계적 아이코놀로지로부터 이미지성을 축출한 다음, 현대 의 시각성(visuality)으로부터 이타적 이미지를 분리하는 랑시에르(Jacques Rancie?re) 의 개념과 의식이 곧 이미지라는 사르트르(Jean-Paul Sartre) 및 미첼(W. J. T Mitchell) 등의 견해를 반추하여 ‘이미지의 현재성’을 구축하고자 했다. 또 계급투쟁 으로써의 ‘마르크스주의적 이데올로기’와 구분하기 위하여 이미지 자체가 이미지를 지시하는 오늘날의 이미지를 ‘이데올로기적 이미지’로 정의한 다음, 『1984』와 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에 관한 이론적 토대를 정립해 고찰했다. 그런 다음 이 연구의 동인이 되는 1989년 11월에 발생한 베를린 장벽 붕괴와 1990년 독일 재 통일 그리고 1991년 12월에 벌어진 인류 역사상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였던 소비에 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소련)의 해체에 주목한 이후, 그 동안 정치적 이데올로기로 사용되었던 『1984』와 그의 비판으로 만들어진 의 사회적 관심 및 활용을
이데올로기적 이미지로 대입하여 1990년 1월 1일부터 현재까지 지난 30여 년 동안 ‘이데올로기적 이미지’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정량적!정성적으로 조사해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선정한 국내 54개 언론사를 대상으 로 지난 199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0월 15일까지 수집한 정형화 된 데이터를 표 집자료로 삼아 형태소 분석, 개체명 분석, 네트워크 분석, 명사상당어구로 구조화 된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석 그리고 연구자가 입력한 질의어 기반의 검색 결과에 관한 공시적 분석과 동적 워드 클러스터링 작용방식인 토픽랭크(topic rank) 를 이용한 알고리즘 분석 등을 기반으로 마르크스주의 및 스탈린주의적 이데올로기 소멸 이후의 『1984』와 에 관한 이데올로기적 이미지를 연구문제 3가지로 제시한 다음 양적으로 추적!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1984』와 사이에 흐르는 공통된 정치 이데올로기인 반(反)스 탈린주의와 반(反)공산주의는 1990년대 이전의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이미지에서 1990년대 이후 기술적 이데올로기적 이미지로 변화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가 운데 『1984』는 기존 정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에서 기술 이데올로기적 이미지로 의 변화가 뚜렷했고, 은 TV와 비디오 등 기존 매체 중심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에서 기술을 활용한 감시 이데올로기로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그간 조지 오웰의 『1984』와 백남준의 에 관한 이데올로기적 이미지의 정의 및 사회적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양적 조사가 존재하지 않았던 상황에서 그 문제와 분석의 호혜적 가능성을 고찰할 수 있었던 기초가 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자는 전술된 이론 및 연구결과 등을 바탕으로 『1984』의 기술적 디스토피아와 의 기술적 유토피아에 관한 대립 이후를 탐색하고자했다. 이 를 위해 에 내포된 시간!소리!선적인 깨달음을 바탕으로 백남준의 혼성 (hetero)기술!파르마콘!이중회귀 등의 개념을 ‘기술적 헤테로토피아’에 적용!정의하여 『1984』와 사이에 융기시킨 다음, 보다 인간적인 이데올로기 이미지의 제 안 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본 연구를 마쳤다.

영문초록

The following is a study on the change in the ideological image of George Orwell’s dystopia novel “1984” and Nam June Paik’s satellite installation “Good Morning Mr. Orwell”, which critically interpreted the work.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ideological image that “1984” and “Good Morning Mr. Orwell” have represented according to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 and structures to approach the technological dispute between those who support technology and those who oppose it, and deductively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new change in ideological image.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first looked into the traditional perspectives and modern, contemporary debates on images to examine the changes in ideological images of “1984” and “Good Morning Mr. Orwell”, and theoretically studied the origins of ideology, Marx-Engels’s ideology debate and modern debates. Based on this, Erwin Panofsky’s first-level iconology, which interprets the pure motif, was criticised, the image was extracted from the third-level iconology where allegory and story intersect and reflecting the views of Jean-Paul Sartre and W. J. T Mitchell who argued Jacques Rancie?re’s conception of separating altruistic image from modern vitality is the image itself strived to form the ‘present-state of the image’. In order to distinguish the image from the ‘Marxist Ideology’ of class struggles, the modern image has been defined as ‘ideological image’, while establishing and analys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ideological image of “1984” and “Good Morning Mr. Orwell”. The study then points out the fall of the Berlin Wall in November of 1989,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in 1990 and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the first communist country in history, in December of 1991. Afterwards, the study analyses how the social interest and utilisation of “1984” and “Good Morning Mr. Orwell”, having been used as a political ideology, has been substituted as an ideological image, and how it has chang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over the past 30 years from January 1, 1990.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has compiled standardized data as samples
from 54 domestic media outlets select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from January 1, 1990, to October 15, 2020, to perform analysis on morphemes, entity names, networks, Support Vector Machines(SVM) structured by noun equivalents, synchronic analysis of search results based on query language and algorithm analysis through a dynamic word clustering method called topic rank, etc. in order to further analyse the ideological images of “1984” and “Good Morning Mr. Orwell” after the extinction of Marxist and Stalinist ideologies, by posing three research questions, followed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anti-Stalinism and anti-communism, the common political ideology that flows between “1984” and “Good Morning Mr. Orwell”, has changed from a political ideological image during the period before the 1990s to a technological ideological image. Among them, “1984” displayed a clear change from the pre-existing political ideological images to a technological ideological image, and “Good Morning Mr. Orwell” has displayed a clear change from its pre-existing media-oriented ideological image circulating TV, videos, etc., towards a technology-based surveillance ideology. These results may have been the basis for the consideration of the issue and the reciprocal possibility of analysis under situations where a definition of ideological images and quantitative investigations through social big data were non-existent.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sought for what may come after conflicts between the technological utopia of “Good Morning Mr. Orwell” and the technological dystopia of “1984” based on the aforementioned theories and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er has applied and defined Nam-June Paik’s hetero-technique, pharmakon, dual interwoven, and other concepts based on the time, sounds, Zen understanding connoted in “Good Morning Mr. Orwell” to the ‘technological heterotopia’, and arranged it between “1984” and “Good Morning Mr. Orwell” to seek for possibilities of suggesting a more humane ideological image.

비고 : DVA-2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