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장소 특정적 공연의 장소 생산의 가능성과 한계
  • 저자명|김수희
  • 학위|박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펀치드렁크, 앙리 르페브르, 장소 특정적 예술, 이머시브 연극, 공간, 장소, 장소성

국문초록

본 연구는 영국 펀치드렁크(Punchdrunk) 극단을 중심으로 장소 특정적 공연으로 파생되는 장소 생산의 가능성과 그 한계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앙리 르페브르(Henri Lefebvre)의 공간 생산 이론을 그 이론적 배경으로 삼는다.
펀치드렁크 극단은 도시의 빈 공간을 찾아 장소와 건축물이 가진 기왕의 용도 위에 그들의 퍼포먼스를 중첩하여 미로와 같은 초현실적인 공간을 만든다. 여기서 관객은 자신의 기존 감각 체계를 재배열하는 적극적인 참여의 과정을 통해서 자신만의 서사를 완성해 나아간다. 관객의 선택과 이동에 따라 공간의 질과 맥락이 달라지는 이들의 공연은, 공간이 경험 이전에 존재하는 절대적 · 선험적 결과물이 아니라 구성원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 의미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과정 중에 있는 사회적 생산물이라는 르페브르의 주장을 상기시킨다.
르페브르는 생명체의 몸으로부터 시작한 공간이 주변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확장되는 관계적이고 사회적인 공간 개념을 주장한다. 그의 이러한 이론은 펀치드렁크가 추구하는 공간의 사건성과 수행성을 설명해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작품을 둘러싼 사회 여러 층위들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도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의 여러 층위들이란 대표적으로 정부의 문화예술 정책과 민간 기업을 말한다. 이들 영역의 지원과 후원은 극단의 성장을 위한 발판이 되기도 했지만, 장소를 상업화시키는 위험도 함께 초래했다. 그러한 위험이 지역사회와 공동체에게 깊은 영향을 미친다는 측면에서 이는 예술 영역에서 뿐만이 아니라 사회 여러 분야에서 함께 논의되어야할 과제이다. 공간을 구성하는 지각, 인지, 체험 영역의 상호적인 영향관계를 설명하는 르페브르의 ‘공간의 변증법’을 이러한 논의를 위한 이론적 근거로 삼는다.
2장에서는 르페브르의 공간 이론과 이에 바탕을 둔 여러 학자들의 이론을 기반으로 공간과 장소, 장소성의 의미를 분석한다. 르페브르는 공간과 장소를 분리하고 있지 않지만 그의 질적이고 유동적인 공간관 안에 ‘실천된 공간’으로서의 장소의 의미가 이미 내포되어 있다. 특히 그의 ‘재현 공간’ 개념이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그의 공간 개념이 일상적 공간과 관객의 몸을 강조하는 1960년대 미술계의 장소 특정성과 연결되어 있음을 검토한다.
3장에서는 장소 특정적 공연의 형성 배경과 유형을 살펴본다. 관습적인 공연 형식을 벗어나려는 20세기 초의 여러 시도들은 1960년대 수행성 전환과 맞물려 비로소 극장 밖의 공간으로 나오게 되었다. 동시대 극단들의 작품을 들여다보면서 장소가 퍼포먼스와 맺는 관계를 조망하고, 펀치드렁크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그 차별성을 분명히 한다.
4장에서는 펀치드렁크의 작품 속으로 들어가 공간 자체가 갖고 있는 사건성과 관객의 몸을 통해 공간이 발생되는 지점을 고찰한다. 더 나아가 펀치드렁크가 동질의 도시 공간에 체험을 통한 차이의 공간을 만들어 나아가는 지점을 설명한다. 이는 르페브르의 ‘재현 공간’ 개념을 바탕으로 진행된다. 공간의 수행성을 극대화하고 차이의 공간을 만든다는 측면에서 장소 생산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한다.
5장에서는 펀치드렁크의 작품이 안고 있는 장소 상실의 위험성을 다룬다. 감각적 현존을 위한 과정으로서의 몰입이 아니라 그 자체가 공연의 목표가 되고 이로 인해 참여가 상업화 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정부의 문화 정책, 기업의 재정적 뒷받침이 작품 자체와 공동체의 장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사회의 모순은 공간 안에서 비로소 구체화된다는 르페브르의 말을 빌리자면, 장소 특정적 공연을 체험하다는 것은 개별 극단, 혹은 개별 작품을 통해서 우리가 살고 있는 일상 공간 안에 내재한 공간적 모순, 사회적 문제 등을 몸으로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일련의 분석 과정을 통해 오늘날 장소 특정적 공연이 추구하는 장소 생산의 가능성을 설명할 하나의 단서가 되고자한다. 더 나아가 장소를 둘러싼 예술적 실천이 예술 분야를 넘어 사회적 차원에서 함께 논의되어야할 대상임을 규명하고자한다.

영문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place production derived from site-specific performances, focusing on the British theater company, Punchdrunk. For this, this study takes Henri Lefebvre's theory of spatial production as its theoretical foundation..
Punchdrunk creates a labyrinth-like surreal space by layering their performances on the usage of existing places and architecture neglected spaces in cities. Here, the audience completes their own narrative through an active participatory process of rearranging their sense. Their performances in which the spatial quality and context change according to the audience's choice and movement, reverberate Lefebvre's argument that space is not the absolute and priori product that exists before the experience but the social product whose meaning changes constantly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users.
Lefebvre insists on the concept of a relational and social space in which the space starting from the body of life expands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s. His theory is applicable not only to the eventuality and performativity of the space that Punchdrunk makes but also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various areas of society surrounding its work including the government policies and private enterprises’ commercial involvement. The support and sponsorship in these areas served as a foothold for the company's growth, but also brought the risk of commercialization. In the aspect that such risks have a profound impact on communities and their people, this is a task that must be discussed not only in the field of art, but also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Lefebvre's ‘spatial dialectics’, which explains the mutual influences of the perception, cognition, and experience parts that make up the space, is used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is discussion.
Chapter 2 analyzes the meaning of space, place, and placeness based on Lefebvre's theory and the theories of several scholars influenced by him. Although Lefebvre does not separate space and place, the meaning of place as a ‘practiced space’ is already implied in his statement about qualitative and fluid space. In particular, his concept of 'representational space' explains this in detail. This chapter examines how his concept of space is connected with the site-specificity of the art in the 1960s, which emphasizes the space of everyday life and the body of the audience.
Chapter 3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ypes of site-specific performances. Several attempts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o break out of the conventional form of performance finally emerged outside the theater in conjunction with the performative turn in the 1960s. While looking at the works of contemporary theater companies, this chapter looks at the relationship between site and performance, and clarifies the difference of Punchdrunk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companies.

비고 : DVA-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