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조르주 베르나노스 소설에 대한 로베르 브레송의 각색 연구 :<어느 시골 신부의 일기>와 <무셰트>에 나타난 초월적 형식의 실현
  • 저자명|표민수
  • 학위|박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이윤영

주제어

로베르 브레송, 조르주 베르나노스, <어느 시골 신부의 일기>, <무셰트>, 각색, 초월적 형식, 반심리주의, 성자전, 모델 연기, 침묵.

국문초록

로베르 브레송(Robert Bresson)의 영화는 선구적인 위상을 가지고 있는 만큼 그가 주로 각색을 통해 영화를 만들었다는 사실이 흔히들 간과된다. 그가 남긴 13편의 영화 가운데 9편이 원작을 갖는 각색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브레송 연구는 그의 각색을 부차적으로 다룬다. 브레송에 대한 각색 연구가 활성화되지 않은 이유 중 하나는 각색 작업이 영화적이지 않다는 편견과 관련이 있다. 영화적 형식을 일신했다고 평가받는 브레송을 각색 차원에서 분석하는 것이 그의 독보적 성과를 가린다고 보는 것이다.

반면, 본 논문은 브레송 영화의 형식적 특징들이 그가 각색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것이라고 간주한다. 특히 조르주 베르나노스(George Bernanos) 소설에 대한 브레송의 각색은 그의 영화적 방법론을 고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는 베르나노스의 성자전적 동명소설을 각색한 <어느 시골 신부의 일기>(Journal d'un Cure de Campagne, 1951)에서 처음으로 비전문배우를 기용해 이들로부터 연극적 요소를 덜어냈다. 나아가 그는 이 영화에서 절제된 영상과 체계적인 소리의 조합을 도입해 반재현적이면서도 깊이 있는 울림을 이끌어냈다. 그는 이 영화에서 실험한 형식적 요소들을 다듬어나가 자신만의 영화적 방법론으로 끌어올렸고, 베르나노스의 또 다른 소설을 각색해 만든 <무셰트>(Mouchette, 1967)에서 그 형식을 만개시켰다. 본 연구는 브레송이 베르나노스의 형식적 특징들을 어떻게 전유하고 또 이를 어떻게 영화적 형식으로 발전시켰는지를 추적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고는 브레송이 어떻게 각색에서 충실성의 딜레마를 넘어섰는지를 주요하게 살펴본다. 그는 베르나노스의 소설들을 영화로 옮기면서 각색 영화가 원작에 충실할 때 기존 작품에 종속된다는 편견을 뒤집었고, 이로부터 새로운 미학적 창조물을 만들어냈다. 이에 본 논문은 브레송이 베르나노스 소설을 내용과 형식을 분리하지 않은 채로 다뤘다는 가설을 세우고 두 작가의 반(反)심리주의적 친화성과 초월적 형식에 주목했다. 특히 초월적 형식을 쇠얀 키에르케고어(Søren Kierkegaard)의 실존주의적 차원에서 포착함으로써, 두 작가가 신학적인 문제의식을 어떻게 미학적으로 풀어내는지를 인물과 이미지, 그리고 소리의 차원에서 비교분석했다.

결론적으로 브레송은 베르나노스 소설에 나타난 초월적 형식을 각색의 중요한 원리로 활용함으로써 충실성의 문제를 넘어서 그의 소설을 영화적으로 증식시킬 수 있었다. 나아가 그는 원작의 형식과 공존하는 영화적 형식을 고안해내는 과정에서 자신의 영화적 방법론의 핵심 원리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브레송은 원작을 실현하면서 각색의 미학적인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었다.

영문초록

Considering the pioneering status of Robert Bresson’s oeuvre, it is often overlooked that many of his films are works of adaptation. He made 13 films in total, and 9 out of them are adaptations?a fact that previous researches on Bresson consider as relatively insignificant. Such neglect is primarily due to a prejudice against adaptation as rather uncinematic. A view of adaptation as an aesthetically inferior form of art could have occasioned film scholars to avoid focusing on the work of adaptation in Bresson’s oeuvre out of concern that it might tarnish the auteur’s accomplishment.

?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Bresson’s unique cinematic form was mainly derived from the process of adaptation. In particular, his adaptation of George Bernanos’s novels serves a major role in Bresson’s filmmaking methodology. For Diary of a Country Priest (1951), an adaptation of Bernanos's hagiographical novel of the same title, he cast nonprofessional actors, deprived them of expressional aspects, and imported a combination of moderated image and systematic sound in order to effectuate in-depth affection. He further developed his own methodology, which culminated in Mouchette (1967), another adaptation of Bernanos’s no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how Bresson adapted Bernanos’ form and developed it into a cinematic form.

??Also, this study deals with how Bresson overcame the dilemma of fidelity in adaptation. He overturned the prejudice that a faithfully adapted film would be dependent on the original novel. Instead, he made a new aesthetic creation from adaptation. This paper hypothesizes that Bresson approached Bernanos’s original work with totality?that is, not only the content but also the form?which leads the research to focus on the two authors’ affinity in terms of anti-psychologism and transcendental form. By understanding transcendental form in the context of Søren Kierkegaard’s existentialism,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s how Bernanos and Bresson convey theological subjects in an aesthetic experience in the realm of characterization, image, and sound.?

??In conclusion, Bresson was able to overcome the problem of fidelity by applying Bernanos’s transcendental form as a foundation of his work. He was also able to derive key principles of his filmmaking methodology in the process of inventing an equivalent cinematic form that could coexist with the original’s form.? Bresson thus presented a way to create an aesthetical adaptation that renews the original in a way that fulfills it.

비고 : DVA-2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