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대칭영화와 기계미학 Symmetry Cinema and Machine Aesthetics
  • 저자명|박성일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1
  • 담당교수|이윤영

주제어

대칭영화(Symmetry Cinema), 기계시각(Machine Eye), 조화(harmonia), 비례(symmetria), 질서(kosmos), 기하학(geometria), 추상, 박자.

국문초록

본 논문은 페르낭 레제(Fernand Léger)의 영화 <기계무용>(機械舞踊, Ballet Mécanique, 1924)의 요소(elements)를 분석하여 기계미학(machine aesthetics)과 시공간대칭(symmetry in spacetime)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기계미학을 구성하는 요소와 구조를 밝히기 위해 기계와 기술(technology)의 발전을 거슬러 올라가면 플라톤(Platon, Plato)과 피타고라스(Pythagoras)를 만나게 된다. 그곳에서 기하학(geometria, geometry)과 함께 조화(harmonia, harmony)와 비례(symmetria, symmetry)의 미학을 발견할 수 있다. 이들을 따라 수많은 이들은 이상적(ideal) 우주질서(kosmos, cosmos)를 그리게 된다. 그들은 불변(不變, invariant)의 질서에서 아름다움을 찾고자 했다. 수학에서 ‘대칭(對稱, symmetry)’의 새로운 개념이 발견되면서 이러한 조화와 비례의 미학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한다. 그것은 19세기에 이르러서야 기하학인 아닌 대수학(代數學, algebra)의 방정식풀이에서 우연히 발견된다. 곧 기하학을 비롯한 여러 자연과학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는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빛을 보게 된다. 이로써 그 동안 건축과 미술을 지배해온 대칭 미학을 새롭게 해석하고자 하는 노력이 생겨나고 있다. 기계는 자연 질서를 탐구하는 과정에서 생겨났다. 오랫동안 관찰된 보편원리(普遍原理, universal principle)는 수학과 기하학을 통해 기계에 담긴다. 이러한 추상(抽象, abstract)과정을 통해 기계 질서는 대칭성이 더욱 강화된 모습을 띠게 된다. 따라서 기계의 겉모습과 작동 원리(作動原理, mechanism)에서 대칭을 찾아내는 것은 어렵지 않다. 즉 형태와 기능 모두에서 기계성과 대칭성을 동시에 가진다. 산업시대를 거쳐 기계시대(機械時代, machine age)에 이르러 기계는 더욱 정교하고 강력해지며 대량생산된다. 다시 말해서 개별 기계가 가지는 대칭성의 미학은 대량복제를 통해 반복대칭의 미학과 결합되었다. 영화는 ‘기계시각(機械視覺, Machine Eye)’으로 촬영부터 상영에 이르는 모든 과정이 기계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모든 요소들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그 어떤 예술형식 보다 대칭성을 적게 손상하며 수용자에게 전달한다. 영화는 기계적 영상, 곧 대칭으로 가득 찬 영상들을 시간과 공간에서 반복적으로 복제하며 다중적 박자(拍子, rhythm)를 만들어 낸다.

영문초록

This research shows a correlation between a machine and symmetry in a perspective of machine aesthetics through the elements of Fernand Léger’s Ballet Mécanique(1924). To analyze the elements and structure of machine aesthetics, to go up to development of machine and technology, I start with Plato and Pythagoras, to which geometria(geometry) and aesthetics of harmonia(harmony) and symmetria(symmetry) can be traced. After that, many people have described the ideal kosmos(cosmic order) same as before that. They have been trying to find a beauty of something invariant.\r\nSince the new concept of “symmetry” was found in the mathematics, the aesthetics of harmony and symmetry has taken a new point of change. It was discovered by accident in the explanation of the Algebra’s equation in the 19th century. And, it had a great effect on the geometry and various natural sciences. These rapid changes saw the light of day in the late of 20th century. This came into exertion to do new interpretation of symmetry aesthetics that dominated the architecture and the fine arts. Machinery was invented through the process of research on natural order. The mechanism of machinery follows the universal principle through the mathematics and the geometry. Through this abstract process, mechanical order has been strengthened in symmetry. Therefore it is not difficult to find symmetrical structures in machinery in terms of the appearance and mechanism. That is, a machine has a mechanical and symmetrical properties in the form as well as function. In the Machine Age, machine became more sophisticated and strengthened, as it was duplicated in a mass production process. With this, the urban space was filled with steels and glasses. In other words, the symmetry aesthetics of machine was added to the repetition aesthetics of the mass product.\r\nThe cinema is “Machine Eye”; for all processes which is from the photography to the projection are connected to the machine. Therefore, all elements can be controlled by machines with precision and efficiency. With this, the cinematic image can be delivered to the receiver with low symmetry loss than any other art forms. “Symmetry Cinema” reproduces mechanical images, which is a full of symmetry, with repetition in spacetime, and conducts a sense of diverse rhythms.

비고 : MCA-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