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비화면영역 사운드와 청각적 무의식
  • 저자명|고주원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1
  • 담당교수|이윤영

주제어

청각적 무의식, 비일치 사운드, 청점,

국문초록

지금껏 영화이론의 기준은 '영상'이라는 이미지 중심의 텍스트와 내러티브에 집중해왔고, 그에 비해 영화의 청각적 영역은 등한시되어 온 게 사실이다. \r\n기존의 영화의 사운드 분석에 보다 구체적이고 사운드의 층위를 명확하게 분류한 프랑스 학자 미셸 시옹의 저서가 1980년대 미국에서 번역, 출간되기 시작하면서 영화사의 사운드 연구는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영화의 시각적 세계에 비해 청각의 세계는 하위 카테고리, 혹은 이미지와의 병행관계 연구에 그치고 있다.\r\n이 논문에서는 영화에서의 소리가 이미지와의 관계에서 독립적으로 작용하고, 스크린이라는 2차원적인 공간이 아닌 3차원의 소리공간에서 지각됨을 강조하고자 한다.\r\n카메라가 시각적 무의식의 세계를 우리에게 열어주었다는 벤야민의 말처럼 영화관이라는 3차원의 공간속 관객에게는 청각적 무의식의 세계가 열려있다. 영화의 사운드는 영화라는 매체에서 피사체의 존재와 역할에 관한 설명에 그치지 않고 피사체와 배경 사이를 넘나들며 새로운 역할을 창출해낼 수 있는 유일한 가능성이라고 볼 수 있다.\r\n특히 시옹이 말하는 '비화면 영역 사운드'는 어떠한 조건 없이 화면 속과 밖을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다. 그러나 관객들에게는 가시화되지 않는 영역에 존재하기 때문에 시공간매체라는 영화의 태생지점을 가장 깊이 파고드는 지점에 있다. 또한 비가시영역에 존재하는 사운드는 우리를 청각적 무의식의 세계로 이끈다. 하지만 시옹 또한 앞서 밝힌 대로 사운드의 유형학에 그치고 있어 화면과 소리와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고, 주관적 청점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음향청취의 태도에서 청점의 변화에 따른 영화적 가능성과 영화의 배경음이 갖는 무의식적 존재론, 그리고 무의식적으로 작용하는 비일치 음향의 가능성에 관한 부분이 아직 개척되지 않은 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r\n이에 이 논문에서는 영화의 비화면 영역 사운드를 중심으로 한 이론과 영화의 분석을 통해 영화연구의 영역에서 사운드 이론의 중요성을 되짚고, 기존의 사운드 분류가 등장인물의 주관적/공간적 청점을 간과하고 있어 또 다른 청각적 무의식 층위에 기반을 둔 '비화면 영역 사운드'의 미학적 역할에 대한 고찰을 통해 관객에게 의식되지 않는 사운드가 영화의 형식에 특별한 가능성을 부여할 수 있음을 밝힌다. 기존의 영화 연구가 시각적 세계에 편중되어 있는 경향을 지적하고 영화 사운드의 새로운 층위를 발견하고 제시한다는 차원에서 이 논문은 시작한다.

영문초록

It's true that the visual image-centered text and narrative have been focused as the standard of film theory till now, while auditory area in film has been neglected. \r\nWith the translation and publication in 1980s of a book by a French scholar Michel Chion in America which classified more concretely the layer of the sound in existing films, the study on the history of the sound in film took a new turn over. But, the study on auditory world is still restricted to the sub category, or parallel relation with image compared to filmic visual world.\r\nWhat this paper like to focus is the fact that the sound in a film functions independently from the relation with visual image, and is perceived in a 3D livel instead of 2D sonic space.\r\nAs the saying of Walter Benjamin that camera opened the unconscious visual world for us, unconscious auditory world is open for the audience in a 3D space, a theater. Film sound could be considered as only a possibility able to create new role covering the range of object and background exceeding the explanation for the existence of the objects and their roles in the media, so called a film.\r\nEspecially, the 'Acousmatic Sound' mentioned by Chion covers in and out of screen freely under any condition. But, as it exists invisible to the audience, it is at the deepest area involved in filmic birth. Besides, the sound at invisible area lead us to unconscious auditory world. But as previously mentioned, Michel Chion's idea also is restricted to sound typology that his consideration was focused on the relation of screen and sound, overlooking the subjective importance of point of audience. Especially, in sound listening attitude, cinematic possibility and unconscious ontology of cinematic background sound, and the part of possibility incoincident sound to the changes in point of audience could be considered as the undeveloped area.\r\nHereupon, this thesis will look back the importance of sound theory in the film study area by analyzing filmic Acousmatic Sound theory and film, and then reclassify the sound system existing in another unconscious layer as the result of the neglected subjective/spatial point of audience of the characters by previous classification.\r\nSpecially, this thesis reveals the fact that the sound unperceived to the audience could give special function fir cinematic form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aesthetic role of 'Acousmatic Sound' based on unconscious auditory layer. This thesis starts from the comment that the previous studies on film leans too much toward visual world and the discovery, proposal of new layer of film sound.

비고 : MCA-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