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여성적 영화 만들기에서의 여성의 몸의 재현: 유소라의 <D-?>을 중심으로
  • 저자명|박강아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3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페미니즘 ; 여성성 ; 차연 ; 몸 ; 여성적 글쓰기 ; 엘렌 식수 ; 아녜스 바르다 ; 여성적 영화 만들기 ; 자전적 다큐멘터리 영화 ; 유소라

국문초록

본 논문은 여성의 몸의 재현이 영화언어로서 어떻게 사용되는가를 고찰한 논문이다. 여성의 몸은 플라톤부터 사르트르에 이르기까지 서양 철학을 지배한 초월과 내재의 이분법 속에서 우등한 남성 그리고 정신에 반대되는 열등한 장소 위에 함께 위치되어 왔다. 이를 반영하듯 기존의 주류영화는 여성의 몸의 이미지를 남성 주인공의 시선의 대상으로서만 존재시켜 늘 주체가 될 수 없는 객체로 만들어 버렸다. 그런데 여기에 문제제기를 하는 이가 있다. 프랑스 누벨바그의 홍일점 아녜스 바르다는 여성의 몸이 시선의 대상이 아닌 시선의 주체가 되는 영화언어를 시도한다. 그리고 바르다는 이를 영화쓰기, 즉 씨네크리튀르로 명명하는데 이는 여성의 몸을 통해 새로운 여성의 영화언어를 발견하고자 했던 그녀의 여성적 영화 만들기의 노력이며, 여성의 몸을 통해 새로운 여성의 언어를 발견하고자 했던 엘렌 식수의 여성적 글쓰기와 맞닿아 있다. 식수의 여성적 글쓰기는 팔루스·로고스 중심주의라는 이빨에 의해 밖으로 잘려 나간 차이로서의 여성의 언어를 여성의 몸을 통해 복원하는 이론적 프로젝트이다. 식수는 여성의 언어 체계를 데리다의 차연을 통해 설명한다. 여성의 언어는 수많은 기표, 즉 기표와 기표의 차이를 통해 연기되고 또 차이를 통해 연기되는 끝이 없는 반복 구조 속에 있다. 고로 여기에서 본질이자 특권이었던 기원은 무한히 연기되어 결국 기원의 자격을 상실하게 된다. 여성적 글쓰기는 남성적 글쓰기처럼 기원을 좇아가는 글쓰기가 아닌 것이다. 이러한 여성적 글쓰기가 몸을 통해 발현되는 이유는, 이러한 차연의 여성적 글쓰기가 언어화 될 수 있는 방법이 여성의 신체에서 형성된 여성만의 무의식을 근원으로 하는 여성의 주이상스를 내보이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여성적 글쓰기는 여성의 리비도와 닮아 있다. 그러므로 여성적 글쓰기는 실제 여성의 육체에 대해 쓰는 글쓰기이며, 여성의 육체에 의한 글쓰기이다. 바르다는 이러한 식수의 영향을 받아 여성의 육체가 남성 시선의 대상이 아닌 시선의 주체가 되는 영화언어를 시도한 것이다. 이 새로운 여성적 영화 만들기는 1990년대부터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제작되고 있는 자전적 다큐멘터리 영화의 형식과 또한 맞닿아 있다. 자전적 다큐멘터리는 주체와 대상이 동일시되는, 즉 주체와 대상 간의 권력관계를 해체하는 영화언어를 시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형식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유소라의 자전적 다큐멘터리 가 여성적 영화 만들기로 설명되어질 수 있는 이유는 그녀가 여성의 시선과 목소리를 통해 여성의 몸을 기표, 즉 여성의 몸으로 유희하는 영화 만들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이천년 동안 팔루스·로고스 중심주의의 이빨에 의해 잘려 나가 있던 여성의 혀가 되살아나 욕망의 대상이거나 감시당하거나 둘 중의 하나였던 여성의 몸은 기존의 남성적 질서와 가치를 교란시키는 강력한 무기가 된다. 여성적 영화 만들기에서는 이러한 여성의 몸이 주인공이다.

영문초록

This paper reviews how the representation of the female body is used as film language. The female body has been reflected as an inferior place opposite to both mind and male chauvinism in the dichotomy of transcendence and immanence that dominated the history of European philosophy from Platon to Sartre. In the same light, preexisting mainstream movies have portrayed the female body as a mere object of gaze to the leading male character, making it an object and never a subject. However, there has been people whom questioned this issue. Agnes Varda, the only female of Nouvelle Vague, had attempted to create the female body as a subject of gaze instead of object in film language. Varda names this cine-writing, that is cinecriture, which shows her feminine film writingattempts to discover the female body in the light of new film language and female language through the body. This lies in the same feminine writing of Helene Cixous. \r\nThe feminine writing of Cixous is a theoretical project that restores the female language that had been torn from phallogocentrism by the means of the female body. Cixous describes the female language based on the differance of Jaques Derrida. The female language is deferred through various signifiers, namely the difference between signifiers and is placed inside the endless repetition structure deferred from this difference. Thus, the essence and privilege as an origin has been deferred infinitely disqualifying it as an origin. Feminine writing is different from male writing, which pursues origin. The reason why feminine writing is expressed through the body is because the method to verbalize the difference of feminine writing reflects the female jouissance based on the unconsciousness which can only be developed from the female body. Thus, feminine writing resembles the female libido. Therefore, feminine writing is actually about the female body and written by the female body. Varda was influenced by Cixous and attempted to portray the female body as an object and not a subject of gaze to the male in film language. \r\nThis new feminine filmmaking meets with the form of autobiographical documentary film which has been actively produced worldwide since the 1990s. Autobiographical documentary film is a film language attempt to equate the object and subject, in other words dissolve the relationship of power between the object and subject. by Sora Yu embodies this form and can be explained as feminine filmmaking because she signifies the female body through the female eye and voice and plays with the female body.\r\nHereby, the female tongue which had been torn by the teeth of phallogocentrism for two thousand years has been revived. The female body which was either a subject of desire or surveillance is now a powerful weapon that can disturb orders and values of men. The female body is the main character of Feminine Filmmaking.

비고 : MCA-1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