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리오타르의 숭고 개념으로 분석한 빌 비올라의 비디오 아트
  • 저자명|이 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9
  • 담당교수|이윤영

주제어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숭고,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빌 비올라, 바넷 뉴먼, 불명료, 사건성, 멀티미디어, 디테일의 과잉

국문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미국의 미디어아티스트 빌 비올라(Bill Viola, 1951-)의 작품에 나타난 숭고의 체험을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프랑스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자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Jean-Francois Lyotard, 1924-1998)의 숭고 미학을 바탕으로 비올라의 작품을 관찰하려고 한다. 리오타르는 포스트모더니즘 이론에 근거하여 숭고 개념을 미학적 측면에서 주장하는 철학자다. 그는 리얼리즘 비판과 함께 거대서사의 불신으로 예술의 형식에서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 그 자체로 표현해야 하는 예술의 혁신적 성격에 대하여 논의한다. 리오타르가 주장하는 숭고의 미학은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presenting the unpresentable)해야 하는 ‘부정적 현시(negative presentation)’와 관객이 작품을 통해 체험하는 ‘지금 일어남(occurrence)’과 같은 사건성을 추구한다. 그는 재현과 형상에 머물러있는 과거 회화에서는 감정의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으므로 강력한 감정을 유발하고 영혼을 뒤흔드는 실험적 현대예술이야말로 인간존재에 대한 환희를 전해줄 수 있는 진정한 숭고로 바라보는 것이다. 바넷 뉴먼(Barnett Newman, 1905-1970)은 리오타르가 현대 예술론에서 실험적 회화의 사례로 거론한 화가다. 뉴먼은 자신의 예술철학이 숭고 개념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뉴먼은 재현의 구조나 상징성을 피하기 위해 텅 빈 무의 형태, 단일한 색과 같은 특성으로 작업한다. 리오타르는 뉴먼의 작품에 드러나는 사건성과 같은 경험에 주목하며 뉴먼을 자신의 숭고 개념에 적합한 현대 예술가로 분석한다. 비올라는 멀티미디어를 이용하여 인간의 가장 근원적인 문제를 재현한다. 그는 영적인 것, 정신적인 것, 그리고 인간존재에 대한 문제까지 표현할 수 없는 것들을 작품에 반영하려고 한다. 비올라의 작품에는 인간의 탄생과 죽음, 자연, 삶, 인간의 주체성과 의식 등이 주제로 설정된다. 그는 이러한 주제와 표현할 수 없는 그 무엇을 멀티미디어 매체를 통해 매우 강력하게 표현한다. 무한의 공간, 비결정적 시간(슬로모션), 감정적 체험(배우의 연기), 불연속적 사건, 디테일의 과잉을 통한 압도성의 체험 등이 그러하다. 비올라의 예술적 성취는 표현이 불분명한 주제를 첨단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표현 그 자체로 제시함과 동시에 시각미술이 지닌 재현의 한계성을 극복했다는 데 있다. 그는 다양한 기술적 매개가 정교하게 어우러진 뉴미디어를 통해 관객의 단순한 시각적 경험이 아닌 숭고의 체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영문초록

This thesis purports to examine the possibility to experience the sublime in the works of the American video artist Bill Viola by drawing on the postmodern theory of Jean-Francois Lyotard. As a critic of realism, Lyotard approaches the notion of the sublime in aesthetic terms. Stressing ‘the incredulity towards grand narratives,’ Lyotard argues for the innovative function of art that ought to express the inexpressible in the mode of expression in itself. Lyotard’s aesthetics of sublime pursues the ‘negative presentation’ of ‘presenting the unpresentable’ and the audience’s experience of ‘occurrence.’ He sees in the traditional forms of art the limits of expressing emotions and hence regards experimental contemporary art as the sole means of true sublime to articulate the joy of human existence. Lyotards takes Barnett Newman as an example of such new contemporary art. Newman is an artist who associates his philosophy of art with the sublime. Newman’s paintings are characterized by empty nothingness and monotonous color which, in Lyotard’s view, can not be compatible with representational system or symbolic signification. Lyotard thus analyses Newman’s paintings as a case in point to illustrate his own concept of the sublime. Viola’s media art attempts to represent the most fundamental problems of human being. By using multimedia in his works, Viola engages with questions of the unpresentable like the spiritual, the mental, and human existence. His favorite themes comprise human birth and death, nature, life, and human subjectivity and human consciousness. He represents such themes in a very powerful way by means of multimedia, dealing with infinite space, indeterminate time (slow motion), emotional experience (the actor’s performance), discontinuous occurrence, and overwhelming sense via excess of details. Viola’s artistic achievement lies in the attempt to articulate the inarticulate themes by using high technologies and overcome the limits of representation inherent in visual arts. He has succeeded in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that, through new media with a variety of elaborate technological mediations, the audience can go beyond the visual dimension to experience the sublime.

비고 : MCA-1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