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검은 화면과 사색에 잠긴 이미지 :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대서양의 남자>를 중심으로
  • 저자명|강예은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이윤영

주제어

마르그리트 뒤라스, 검은 화면, 사색에 잠긴 이미지, 부재, 망각, 응시, 차이와 반복

국문초록

본 논문은 프랑스의 작가이자 영화감독 마르그리트 뒤라스Marguerite Duras의 영화 <대서양의 남자L’homme atlantique>(1981)를 경유하여 검은 화면의 영화적 표현 가능성을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영화에서 검은 화면은 시퀀스를 분할하는 소극적인 역할만을 부여받는다. 그러나 <대서양의 남자>에서 검은 화면은 영화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매우 적극적으로 사용된다. 영화가 현실을 재현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할 때, 아무것도 재현하지 않은 검은 화면에는 그 무엇도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여겨진다. 그러나 분명 이 영화에는 검은 화면과 함께 미묘한 정신의 작용이 발생한다. 본 논문은 이를 규명하기 위해 <대서양의 남자>의 검은 화면이 무언가 존재하는 이미지임을 주장하고, 그것에 생겨나는 정신 작용을 탐구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에 대한 방법론으로 본고는 영화의 형식적인 요소를 면밀하게 분석한다. 검은 화면에 발생하는 정신 작용은 그것이 배치되는 이미지의 구성 및 사운드와의 결합이라는 맥락 안에서만 작동하기 때문이다.
본고의 논의는 우선 뒤라스의 소설과 영화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으로 시작된다. 뒤라스는 감독이기 이전에 작가이며, 그에게 소설과 영화는 상호작용하는 표현 양식이기 때문이다. 뒤라스는 자신의 소설과 영화에서 각각 이미지의 기능을 글 작업에, 역으로 글의 기능을 이미지의 작업에 깊이 새긴다. 이를 통해 소설에 대한 다층적인 재해석과 확장된 영화적 체험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이러한 결론은 뒤라스의 영화에서 말해진 글, 즉 목소리의 사용에 주목해야 할 필요성을 제공한다.
이를 기반으로 영화 <대서양의 남자>에 대한 분석이 본격화된다. 먼저 이 영화에서 목소리가 이미지와 결합하는 방식을 파악한다. 끊임없이 들려오는 뒤라스의 목소리는 영화 내 이미지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그중에서도 검은 화면의 반복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반복되는 검은 화면은 응시 및 망각에 대한 언술과 맞물려 점진적인 차이를 드러내며 변주된다.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응시contemplation’ 개념을 근거로, 차이를 내재한 반복은 새로운 것의 생성을 끌어들인다. 이러한 논의는 검은 화면이 말과의 결합을 통해 그 성질을 긍정적인 것으로 변모시킬 가능성의 토대를 마련한다.
그 가능성의 실상은 검은 화면이 ‘부재’에 대한 언술과 함께 제시될 때 분명해진다. <대서양의 남자>에는 부재를 말하는 두 개의 검은 화면 쇼트가 등장하고, 이것은 반복되는 검은 화면에 질적인 변화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것이 ‘사색contemplation’의 정신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과 유사함을 밝히고자, 부재가 말해진 두 개의 쇼트를 ‘사색에 잠긴 이미지’라 명명하여 그것이 작동하는 맥락과 양상을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검은 화면은 마침내 부재를 존재하게 하는 ‘가능성의 이미지’가 된다. 이것이 ‘부재의 영화’가 성립하는 방식이다. 한편 검은 화면의 존재론적 규명과 함께, 영화는 스스로의 불가능성을 마주함으로써 새로운 가능성의 영역으로 들어선다.

영문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possibility and scope of the cinematic expression of the black screen in the film L’homme atlantique(1981) by French filmmaker and writer Marguerite Duras. The black screen in a film commonly splits one sequence from another, hence serving a strictly technical purpose. However, the black screen in L’homme atlantique is displayed for more than half of the film’s duration, serving a deliberate and meaningful purpose. When a film utilizes its image’s re-presentation of reality as its foundation, the absence of any kind of representation in the black screen may be accepted as absence, both figurative and physical. For L’homme atlantique, the black screen exhibits the inner workings of the mind. To investigate this phenomenon, this thesis declares that the black screen in L’homme atlantique is itself an image, and will focus on exploring the mentation that derives from the presentation of the black screen. Furthermore, it will meticulously analyze the film’s form, namely the image and sound. This is due to the nature of mentation that develops from the film’s deliberate combination of the image, the placement of the image, and sound.
The thesis’s argument begins with revealing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Duras’s novels and films. Duras is prominently known as a writer, and her novels and films are modes of expression in which one medium interacts with the other. Duras employs the functions of the image into the process of her writing, as well as reciprocatively ingraining the functions of words into the images she creates. This allows for multiple interpretations of the novel, and a heightened cinematic experience. Consequently, this observation signifies why one should scrutinize the film’s words, i.e., its voices.
This groundwork allows for an extensive analysis of L’homme atlantique. First, the thesis examines the method in which the narrator’s voice merges with the images provided by the film. The incessant voice of the narrator(Duras) forms an intimate relation with the images of the film. This voice is also closely connected to the recurring images of the black screen. The black screen transforms in meaning as it gradually presents the differences that arise from how it interacts with the narrator’s delivered words, all the while alternating between viewing ? regarder, and forgetting ? oublier. By applying the concept of ‘contemplation’ by philosopher Gilles Deleuze, repetition that carries an internal difference eventually leads to generation (becoming). This argument relies on the potential of the combination of the black screen and narrator’s voice to transform the inanimate into a positive idea or object.
The outcome of the potential becomes more certain when comparing the use of the visual ‘absence’ in the film through the use of the black screen and the utterance of the “absence” by the narrator over the black screen. This is because L’homme atlantique displays two shots of the voiced absence, and through repetition it demonstrates how a qualitative transformation occurs. The thesis argues that this qualitative change is identical to how mentation occurs through the process of ‘contemplation,’ and to do so it examines the mechanization, concept and functions of the two black screen shots ? which it will call ‘image in contemplation.’ In this process, the black screen, allowing the existence of absence, becomes the ‘image of potential.’ Consequently, this is the method in which a ‘film of absence’ exists. As it ponders the existential nature of the black screen the film enters a new realm of possibilities as it come face to face with its cinematic limitations and impossibilities.

비고 : MCA-2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