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선(禪)과 영화-오즈 야스지로 후기영화에 나타난 공간구성을 중심으로
  • 저자명|임철희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0
  • 담당교수|이윤영

주제어

감독의 일관된 작가적 미의식, 영화적 공간

국문초록

본 논문은 감독의 일관된 작가적 미의식이 영화적 공간을 어떻게 구성하고 재현하는가에 대한 연구서이다. 일본의 영화감독 오즈 야스지로(小津安二郞 1903-1963)는 공간을 탁월하게 활용한 감독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낮은 위치의 고정된 카메라의 시선과 360도 공간활용 등과 같은 독창적인 촬영과 커트에 의한 직접적인 쇼트연결, 잉여적인 쇼트의 삽입, 순환적인 시퀀스의 구성과 같은 편집 기법을 통해 자신만의 영화적 공간 미학을 일구어냈다.
이러한 그의 영화들은 자국인 일본보다 서구에서 먼저 발굴되고 재평가되어 왔다. 따라서 그에 관한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연구들은 장르적 관습에 익숙한 영화 특히 할리우드를 준거삼아 논의되거나 신비주의의 시선에 입각한 이질적 문화로서의 일본영화로 고려되어 온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그의 작품들은 논자에 따라서는 영화 형식의 틀을 위반하고 있는 것으로까지 이해된다. 그리고 오즈의 영화들은 촬영과 편집양식의 뚜렷한 일관적 특성으로 인해 쉽게 범주화되어 논의되는 측면이 있다. 이것은 오즈의 영화들이 가지는 또 다른 특성들을 간과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진다. 본고의 논의의 출발점은 이 지점이다. 체험으로서의 문화를 고려할 때, 오즈의 영화들을 외부의 시선이 아닌 내부의 시선 즉 오즈의 시선으로 보자는 것이다. 이는 오즈를 오즈 자체로 다시 환원하는 작업이자 한 감독의 영화세계에 대한 논의의 확장이다. 이에 대한 방법론으로 본고는 일본의 전통적인 선(禪)사상을 기반으로 오즈의 공간활용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작품은 <만춘 晩春>(1949)에서 <꽁치의 맛 秋刀魚の味>(1962)에 이르는 일련의 오즈 후기 영화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종교로서의 선이 어떻게 일본 사회의 문화와 예술에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보았다. 선은 공(空)의 원리 안에서 유(有)와 무(無)를 대립적인 관계가 아닌 상호조응의 관계로 보는 일체성을 지향한다. 이 일체성은 순환적 시간관의 원형적 특성과 삶과 죽음을 모두 인생의 일부로 보는 시각, 인간과 자연의 동일시라는 특성을 가진다. 이는 인생의 무상함을 수용하는 자세를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사상적 특색들은 일본의 독특한 미의식으로 발현되는데, 회화와 다도, 서예, 건축, 정원양식과 꽃꽂이 등의 예술문화에서 다양하게 살펴볼 수 있다.
본론에서는 이러한 선예술적 특성이 오즈 후기영화의 공간에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지 공간의 형식과 정서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공간의 형식은 촬영과 편집에 논점을 두었다. 촬영에서는 낮은 위치의 고정된 카메라가 가지는 높이와 움직임에 초점을 두어 이들이 선사상을 구현하는 방식을 연구하였다. 편집에서는 360도의 원형적인 공간활용과 광학적 기법을 배제한 쇼트의 직접적인 연결이 공간을 불연속적으로 구성하면서 주요사건의 생략과 비약을 이끌어내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또한 원형성과 무와 같은 선의 주요 개념들은 이 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논의하였다. 공간의 정서적 측면에서는 공간의 선적인 구성과 함께 그것의 일상성과 인물의 관계를 살펴보고 쇼트의 잉여적 삽입이 가지는 정서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결론에서 오즈의 현대성을 조망한다.

영문초록

Yasujiro Ozu is the one oof brilliant filmmakers who have the good ability and inspiration to create the time and space on the screen. The film’s space diversely recognizes the techniques expressed by the director. From this thought, this thesis studies late Ozu’s space composition considering the use of Zen as the cinematic aesthetics. In fact, many Western film scholars tend to regard the Ozu's film as the altercation of the conventional Hollywood movie. The study methodology of Ozu’s film in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Japanese traditional culture and Zen which influenced on Ozu’s film. He is considered as the modernist when it comes to his creative works for the composition of the space with the unique shooting and editing style.
At the first main chapter, it is considered that the Zen and Japanese traditional aesthetics. It is researched how they worked for the Japanese culture and Ozu’s film. The Zen is the philosophical thought as well as the artistic principle in the Japanese society. Mu, the core concept of the Zen, does not represents the negative aspects and meanings. Filling with the presence and absence, it actually expresses the positive concept of th negation which means that emptiness is not empty. In the Zen, one pursues to attain the spiritual enlightenment. Ozu applied this to the film for his cinematic massage.
At the second and third main chapters, Ozu’s late films(form Late Spring 1949 to An Autumn Afternoon 1962) are studied focusing on the Zen aesthetics in his cinematic space. For this, it would be considered that his camera working style which does not move with the low position. After this analysis, his editing style would be studied with straight cutting, omission of the plot etc. Lastly, emotion of Ozu’s space which is composed of characters, daily life and the negation is studied. In this, the discourse of ‘the pillow shot’ called by Noel Burch is discussed.
In conclusion, Yasujiro Ozu would be considered as the modernist rather than an artist persisting with the tradition. To sum up, this study on Ozu is an attempt to re-discover him with the different viewpoints to his space from existing discussions.

비고 : MCA-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