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오시마 나기사 <신주쿠 도둑 일기>에 드러난 대화로서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 저자명|권수연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2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오시마 나기사, 신주쿠 도둑 일기, 상호텍스트성, 줄리아 크리스테바, 도둑 일기, 대화, 양가성, 전위, 일본영화

국문초록

본 논문은 오시마 나기사(大島渚, Oshima Nagisa)의 <신주쿠 도둑 일기 新宿泥棒日記, Diary of a Shinjuku Thief>(1968)에 드러나는 혼합적 양식을 연구의 단초로 삼았다. 이 영화는 극영화, 다큐멘터리, 상황극과 같이 여러 영화 양식이 혼합되어 있으며, 문학, 연극, 노래, 퍼포먼스와 같은 다양한 예술 매체가 흡수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신주쿠 도둑 일기>를 동시대 담론을 흡수한 일종의 ‘대화’로서 조망하고자 한다. 이 대화는 영화 안과 밖의 요소 간의 상호 관계이며, 이어 살펴볼 주체 간의 대화이자, 사회 현실과 영화적 재연 사이를 오가는 행위를 뜻한다. 이에 대해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가 정의한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에 기반을 두어, 주체 간의 수평적 관계인 대화(dialogue)와 이전 혹은 동시대의 텍스트와 이루는 수직적 관계인 양가성(ambivalence)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따라서 본고는 상호텍스트성 방법론을 통해 영화에 드러나는 대화적 관계 이면에서 1968년 일본 사회를 향한 저항적 기제를 발견하고 이를 탐구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문학 이론에서 주로 논의되었던 상호텍스트성은 기호학의 발달 이후 보다 넓은 범위에서 의미 체계 간의 상호 관계를 살필 수 있는 개념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본고는 텍스트와 영화를 중심으로, <신주쿠 도둑 일기>와 장 주네(Jean Genet)의 문학 작품 『도둑 일기 Journal du Voleur』(1949)와의 관계에서 논의를 시작한다. 이 소설은 영화의 원작은 아니지만, 내밀한 대화적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먼저, 이야기의 발화 주체를 중심으로 문학과 영화 속 서술자의 위상을 살피고, 영화에 문학 작품이 인용되면서 야기되는 소격효과를 면밀히 분석한다. 이어서 『도둑 일기』와의 결합을 통해 두 이야기의 공존 관계에서 발생하는 의미의 변형을 추적하여, 영화에서 벌어지는 도둑질이 사회를 부정하기 위한 저항 행위로 변화되는 맥락을 살핀다. 다음으로 영화의 안과 밖에서 형성하는 대화적 관계를 분석한다. 1960년대부터 거리를 무대로 삼아 활동한 일본 전위 퍼포먼스 그룹인 제로지겐(ゼロ次元)과 하이 레드 센터(High Red Center), 그리고 영화에 등장하는 언더그라운드 극단인 카라 주로(唐十?)와 상황극장(?況劇場)를 중점으로 상호 관계를 살핌으로써, 그들이 수행한 의도적인 위반으로서의 예술 행위를 고찰한다. 나아가 실제 인물로 등장하는 배우들과 당대 활발하게 활동하던 연출가, 예술가, 연극인이 교차하며 형성하는 대화적 관계를 살피고 그들의 주체적인 목소리를 영화가 흡수한 방식을 상세히 분석한다. 이를 통해, 그들이 왜 대화를 형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물음을 제기하며 이 대화가 발생한 토대에 주목한다. 이는 사회와 텍스트의 관계를 내포하는 양가성을 바탕으로 연구의 범주를 확장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영화가 제작된 1968년 일본 사회를 향해 저항하고자 했던 도시 신주쿠를 중심으로 당대 현실이 영화에 흡수되어있는 양식을 정치·문화·사회적 맥락과 함께 살핀다.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동시대 혁명의 움직임을 포착한 오프닝 시퀀스와 엔딩에 삽입된 신주쿠 투석 사건이 영화적 재연으로 전위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연구의 단초로 삼았던 이 영화의 혼합적 양식이 일본 사회를 향한 저항의 목소리를 흡수하기 위한 선택이었음을 파악한다. 결론에 이르러, <신주쿠 도둑 일기>를 통해 발견한 역사와 미학의 관계 이면에서 정치적 담론을 형성하는 수행적 언어로서의 영화의 위상을 조망한다.

영문초록

This study begins with an examination of the multiplicity of genres in Nagisa Oshima’s film (1968). The film contains elements from diverse film genres such as drama, documentary, and theater of situation, while absorbing art forms such as literature, theater, songs, and performance. Considering these features, this study explores the dialogue in as containing contemporary discourse. The discourse involves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elements within and outside the film, dialogue between the subject and addressee, and oscillation between reality and reenactment. Accordingly, the study uses Julia Kristeva’s “intertextuality” as a basis to study the following two axes as its theoretical framework: (1) dialogue, meaning the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addressee, and (2) ambivalence, meaning the film’s vertical relationship with contemporary or earlier texts. Using this intertextuality method, this study explores the resistance mechanism in Japanese society in 1968, which is inherent in the dialogic relationship. The notion of intertextuality has primarily been applied to literary theory and emerged from the need to explore a work’s relation to semantic expansion after the development of semiotics. Thus, this study begins with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film, and then examines the dialogic relationship between and Jean Genet’s novel 「The Thief’s Journal」(1949). Consequently, the study explores the status of the narrator in literature and film, focuses on the narrative subject telling the story, and analyzes the alienation effect caused by the literary work being quoted in the film. Next, it traces the transition of meaning as the film meets 「The Thief’s Journal」 and then examines the context of thieving in the film as an act of social resistance. Further, the dialogic relationship formed within and outside the film is analyzed. That is, this film absorbs the discourse on Japanese avant-garde performance groups (e.g., Zero Dimension and Hi-Red Center) from the 1960s as well as underground theater troupes that appeared in the film (Juro Kara and the Situation Theater). It examines the dialogue as a willful violation of Japanese society. By highlighting the dialogue among contemporary artists, including the scenario writer, artists, and theater troupe, it examines the alienation effect caused by the narrative subject of the dialogue in the film. Next, the analysis expand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the film, because the background of the dialogue, which reflects the ambival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the text, is also considered. Finally, based on the political, cultural, and social context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reality of Shinjuku, where the resistance movement persisted during the political turmoil in 1968, is absorbed into the film. The film reveals, through reenactments with sound and text, the contemporary social movements around the world in 1968, which were intercut with an actual scene from the Shinjuku riot. This study shows that this reenactment reflects the multiplicity of genres since the film depicts the resistance mechanism against Japanese society. In conclusion, this thesis indicates that is not just a film that is difficult to understand because of its fragmented structure, but it also functions as a performative language to create political discourse and seeks new possibilitie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aesthetics.

비고 : MCA-2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