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장치로서의 영화관 : 피터 쿠벨카, 윌리엄 켄트리지, 기 드보르의 작품을 중심으로
  • 저자명|권민수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2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영화관, 장치, 피터 쿠벨카, 윌리엄 켄트리지, 기 드보르

국문초록

본 논문은 영화관을 장치 apparatus로 상정해 영화관이 담지한 가능성을 되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영화관은 관객이 영화에 몰입할 수 있도록 조성한 공간으로 인식된다. 즉,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과 소음을 차단하고자 특별히 구축한 영화관으로부터 영화 예술의 토대가 갖춰진다. 이를 통해 영화관은 영화의 영상이 두드러질 수 있게 돕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 예술로서 영화를 논할 때 영화관을 부차적인 기반이라고 인식해온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디지털 기술에 기반해 실시간으로 영화를 감상하는 것이 통용되는 오늘날 영화관이 구축한 특정한 시공간의 의미를 예술적 관점에서 살펴봐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영화관을 영화라는 예술의 주요 장치로 상정하고 이에 관해 성찰할 것인 바, 이를 위해 영화관과 영화관의 시각적 구조를 주요 제재로 삼은 작품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피터 쿠벨카 Peter Kubelka의 작품 <보이지 않는 영화관 Invisible Cinema>(1970)은 전형적인 영화관의 구조를 심화시킨 형태를 띠고 있다. 즉, 이 영화관에서는 관객이 철저하게 스크린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실내 장식을 제거했으며, 관객석의 좌석 사이에 칸막이를 설치함으로써 관객 개개인의 완전한 몰입을 유도하고자 했다. 그런데 환영적 몰입을 유도하는 영화관의 건축적인 특징이 영화 예술에 관한 비판적인 견해를 유발한다. 다시 말해 영화는 수동적인 상태에 놓인 관객에게 지배 이데올로기를 전파하게 되는데, 이때 영화관의 ‘보족적인 특수한 배치’가 이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쿠벨카의 관객은 이같이 특별하게 조직된 영화관의 구조에서 도리어 자신의 관람 행위를 의식하고, 이에 기반해 관람 행위의 의미를 성찰할 수 있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따라서 영화가 제시한 의미를 관객이 수동적으로 수용한다고 판단한 기존의 비판적인 논지는 재고돼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윌리엄 켄트리지 William Kentridge의 작품 <블랙 박스/샹브르 느와르 Black box/Chambre noire>(2005)는 영화관의 일반적인 순열?스크린, 관객석, 영사기의 순서로 이뤄진 건축적 구조?이 헝클어진 형태를 보여준다. 특히 관객석 앞에 위치한 영사기의 빔이 스크린에서 벗어나 영화관 전면의 프로시니엄 proscenium 건축 구조물을 비춘다. 이는 켄트리지가 ‘블랙 박스’라고 명명한 영화관에 누적되어 있는 역사적 사실을 되짚는 행위로 이어진다. 블랙 박스는 ‘카메라 옵스큐라 ?Camera Obscura’라는 광학적 도구의 원리를 따른 것인데, 이 기구를 토대로 근대의 순수한 이성적 모델이 과학적 근거를 갖추게 된다. 카메라 옵스큐라에 기반한 이성적 모델은 근대적 주체에 특권적 시야각을 담보해주었고, 이를 통해 순수한 주체는 미지의 사물을 관찰하는 데서 더 나아가 제국주의적 태도로 타자를 감시하고, 주체를 중심으로 한 단일한 역사만을 남겨왔다. 이에 켄트리지는 블랙 박스 영화관이 담지한 다층적 기억을 되짚어 영화관의 시각적 구조로 인해 초래된 역사를 반성적으로 되돌아본다.
마지막으로, 기 드보르 Guy Debord가 영화관에서 이미지가 제거된 영화를 상영함으로써 ‘영화 상영의 상황’을 촉발시킨 작품을 분석하며 영화관의 또 다른 의미에 관해 성찰한다. 드보르는 자신의 데뷔작인 <사드를 위한 절규 Hurlements en faveur de Sade>(1952)를 통해 ‘영화는 이미지’라는 등식을 파괴한 소위 “망가진 영화 rate cinema”의 개념을 실현함으로써 영화를 관람하는 행위와 영화관의 의미는 무엇인지 되묻도록 관객을 이끈다. 이로써 영화의 이미지 대신 영화관이란 장치를 기반해 영화란 예술이 무엇인지에 관한 환기의 장이 마련된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이들 작가의 새로운 시각과 실험적인 창작 행위를 통해 장치로서의 영화관이 담지한 가능성을 되짚어 봄으로써 영화관의 의미에 관한 동시대의 비관과 회의적인 시각을 극복하고, 영화 예술의 지평을 확대할 수 있는 다양한 질문과 창조적 실험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영문초록

This thesis aims to review the potential that cinema retains, supposing it as an apparatus. In general, a movie theater is recognized as a space created so that the public can immerse themselves in the film. In other words, the foundation of cinematic art is established from a dark space specially built to block out light and noise from outside. Through thi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movie theater plays the role of helping the image of the movie stand out. It is true that movie theaters have been perceived as a secondary element when talking about cinema as art. Nowadays, when it is common to watch movies in real time based on digital technology, the need to look at the meaning of a specific space and time built by movie theaters from an artistic point of view arises. Therefore, in this work, we will examine the cinema as the main apparatus of cinematographic art and will reflect on it. To do this, we will analyze the works that use cinema and its visual structure as the main material.
First of all, Peter Kubelka's Invisible Cinema (1970) has a form that further strengthe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structure of cinema. In other words, in this movie theater, the interior decoration was removed so that the audience could fully focus on the screen, and a partition was installed between the seats to induce full immersion of each viewer. However,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 cinema that induce an illusory immersion trigger critical opinions about the cinematographic art. That is to say, the film propagates its dominant ideology to the audience in a passive state, and in this case the cinema's 'special supplemental distribution' contributes to this. But Kubelka viewers have been shown to be aware of their own movie-watching behavior in this specially organized structure of the cinema, whereby they can reflect on the meaning of that behavior. In this sense, the existing critical argument that the audience passively accepts the idea presented by the film should be reconsidered.
Next, William Kentridge's work Black box/Chambre noire (2005) presents a disorderly distribution, different from the usual architectural structure of a cinema ?the screen, the seats and the projector?. In particular, the beam of the projector located in front of the audience is deviated from the screen and illuminates the proscenium of the cinema. This leads to an act of retracing the historical facts accumulated in the movie theater that Kentridge called the 'black box'. The black box follows the principle of an optical tool called 'Camera Obscura' and based on this mechanism, the pure rational model of the modern period has a scientific basis. The rational model based on the camera obscura guarantees a privileged angle of vision for the modern subject, through which the pure subject goes beyond observing unknown objects and watches over others with an imperialist attitude, leaving only one story behind. In response to this, Kentridge looks back, remembering the multiple layers that black box cinema preserves, and reflexively returns to the history carried by the visual structure of cinema.
Finally, we will reflect on another sense of cinema by analyzing the work of Guy Debord who triggered a unique 'film projection situation' by projecting a film without any images. Through his debut work, Hurllements en faveur de Sade (1952), Debord concretely showed the concept of the so-called “rate cinema” that broke the equation that 'cinema is an image' by asking viewers the meaning of the behavior of watching a movie and the cinema.
In conclusion, the author hopes that contemporary pessimism and skepticism about the meaning of cinema will be overcome and that creative questions and experiments will be made possible that broaden the horizons of film art, by reviewing the possibilities of cinema as an apparatus through the new perspectives and experimental creative activities of these mentioned artists.

비고 : MCA-2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