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요르고스 란티모스의 부조리영화 - <송곳니>, <더 랍스터>, <킬링 디어>에 나타난 ‘기이함’을 중심으로 -
  • 저자명|김현영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3
  • 담당교수|이윤영

주제어

요르고스 란티모스, 그리스 영화, 기이함, 부조리영화, 부조리

국문초록

본 논문은 그리스의 영화감독 요르고스 란티모스Yorgos Lanthimos의 <송곳니>, <더 랍스터>, <킬링 디어>를 중심으로 그의 영화세계를 ‘부조리 영화(Cinema of Absurd)’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려 한다. 란티모스 영화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그의 영화에 나타나는 낯설고 폐쇄적인 세계를 당시 그리스 사회가 겪었던 정치, 경제적 위기와 연결지어 연구하는 경향을 보인다. 본고에서는 란티모스의 영화를 주제적인 측면에서 영화 바깥의 현실과 연결지어 해석하려는 시도에서 한 발자국 물러나, 그동안 조명받지 못했던 란티모스의 독특한 영화 언어에 ‘부조리’ 개념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자 한다. 여기서 말하는 부조리는 삶의 목적과 의미를 상실하고 이 세계에 내던져진 존재로서의 인간이라는, 20세기 초중반 유럽의 실존주의 철학에 토대를 두고 있다. 하지만 그의 영화를 부조리 영화로 규정한다는 것은 영화 언어의 특성을 감안하여 철학이나 문학 또는 연극과는 구별되는 접근방법을 요구한다는 것이 본 논문의 가설이자 출발점이다.
본고의 논의는 란티모스의 영화에 나타나는 부조리성을 기존에 사무엘 베케트, 외젠 이오네스코 등의 극작가들을 중심으로 형성되어온 부조리극 담론과 연결지어 밝히는 것으로 시작한다. 영화에 나타나는 비이성적인 사회의 규칙, 인물들의 무감정한 발화양식과 기계적인 몸짓, 무엇보다 인물들의 몸에 계속해서 가해지는 폭력성은 의미를 상실한 세계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인간 존재의 부조리를 형상화하기 위한 요소들로 제시된다. 또한 영화가 구체적으로 어떤 기법을 통해 부조리를 형상화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란티모스의 영화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인물의 육체 혹은 공간을 조작하는 부자연스러운 프레임, 그리고 청각적 혼란을 야기하는 사운드의 활용이 만들어내는 효과에 초점을 맞춘다. 나아가 이러한 영화 기법을 통해 생성된 거리가 관객의 수용 측면에서 인간 운명에 내재된 근원적 부조리라는 현실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모색한다.
여기서 란티모스 영화에 나타나는 기이함과 폭력성을 새롭게 받아들일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다. 그의 영화에 나타나는 비극성과 희극성의 공존, 그리고 ‘어두운 웃음’은 관객의 이성적 판단능력을 자극하고, 영화의 폭력성을 감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모순적인 반응을 끌어낸다. 그럼으로써 관객이 다시 자신의 현실로 돌아와 환상이 제거된 세계를 직시할 수 있도록 만드는 복합적인 반성을 요구한다. 이를 통해 부조리영화의 자기파괴적인 세계는 세계를 향한 ‘반항’으로 거듭나며, 그럼으로써 관객은 그의 영화에서 ‘긍정’을 읽어내는 단서를 발견하게 된다.

영문초록

This thesis scrutinizes the possibility of the ‘Cinema of the Absurd’ with a focus on the film , , and by Greek director Yorgos Lanthimo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inema of Yorgos Lanthimos aimed to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the ‘weird society’ in his films and the political and economic crisis of modern Greek society. Howe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aesthetic value of his cinematic languages, which has not been sufficiently spotlighted, by stepping back from the historical context.
It can be argued that the concept of ‘Absurdism’, as it was conceived by continental European existentialists in the early and mid-20th century, is a useful method for exploring the meaning of ‘weirdness’ in Lanthimos’ films. In this context, absurdity signifies a human being who has been thrown in to the world and finds no purpose and meaning to life. In spite of this, the hypothesis and starting point of this analysis is that defining his films as a Cinema of the Absurd requires a distinct cinematic approach by drawing from philosophy, literature, or theater.
The thesis’s argument begins by revealing the absurdity that appears in Lanthimos’ films in connection with the discourse of ‘Theatre of the Absurd’ that has been formed around playwrights such as Samuel Beckett and Eugene Ionesco. Yorgos Lanthimos’ films demonstrate the absurdity of society with its irrational rules, the emotionless speech patterns of the characters, the mechanical movements of their bodies, and above all, the violence that continues to ravage them. These elements are presented as embodiments of an absurd existence that is forced to live in a world ripped of its true essence. And specifically, to analyze film techniques that are used to shape absurdity, we focus on the unnatural frames that manipulate the space or the body of the character and the weird sound effect that stands out in Lanthimos’ film. In addition, we seek to find the way the distance arisen out of film techniques is connected to the reality of fundamental absurdity inherent in human destiny. The distance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screen in the Cinema of the Absurd becomes invalid as soon as the audience realizes that the absurd world unfolding on the screen is connected to the audience’s reality.
Here opens the possibility of a new route of understanding weirdness and violence in the cinema of Yorgos Lanthimos. In his film, tragedy and comedy coexist, which stimulates the audience's rational judgment. It is this tendency that requires the audience to engage in the film's emotionless style. Furthermore, this allows the audience to return to reality and face a world without fantasy. Through this, the self-destructive world of the Cinema of the Absurd is reborn as a rebellion against the meaningless world. By doing so, we find a clue to reading ‘positivity’ in the cinema of Yorgos Lanthimos.

비고 : MCA-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