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다니엘 위예-장 마리 스트로브 영화에 나타난 브레히트적 실험: <엠페도클레스의 죽음>(1987)을 중심으로
  • 저자명|전예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3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다니엘 위예, 장-마리 스트로브, 브레히트, 낭독, 역사, 제스처

국문초록

1960년대 후반의 68혁명을 비롯한 해방과 저항의 움직임과 함께 1960-70년대 영화들은 기존의 지배적이고 관습적인 영화의 형식을 해체하고 사회적 이데올로기를 전복하려고 시도하였다. 이 시기의 영화는 베르톨트 브레히트Bertolt Brecht의 ‘생소화 효과(Verfremdungseffekt)’를 영화의 새로운 언어로 소환하였다. 본 논문은 영화감독 다니엘 위예Daniele Huillet와 장 마리 스트로브Jean-Marie Straub의 영화 <엠페도클레스의 죽음(The Death of Empedocles)>(1987)을 분석하며, 68년 혁명이후 해방과 저항의 움직임이 좌절되는 1980년대 후반의 분위기 속에서, 어떻게 브레히트의 연극 이론이 실험적으로 적용되었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엠페도클레스의 죽음>(1987)은 독일 시인 프리드리히 횔덜린Friedrich Holderlin의 미완성 비극『엠페도클레스의 죽음(Der Tod des Empedokles)』(1797~1799)을 각색한 작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의 형식적 차원과 횔덜린의 텍스트가 가지는 의미를 분석하여, 영화에서의 연속적인 서사의 중단과 현실의 요소가 어떻게 결합하여 새로운 생각의 가능성을 제시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브레히트의 연극이론을 검토하였다.
<엠페도클레스의 죽음>은 극적 환상과 감정이입에서 벗어나기 위해 낭독을 선택하였다. 낭독은 과거의 역사적 사건인 엠페도클레스의 자살을 낭독되는 시간으로 불러오기 위한 시도이며, 과거는 현재에서 재연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중단하고 성찰할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브레히트의 ‘역사화(Historisierung)’와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역사철학을 기반으로 한다.
한편 이 영화는 비극의 실제 장소인 에트나 산에서 촬영되었고, 세 차례 낭독극을 벗어나 풍경 시퀀스를 제시한다. 긴 촬영 시간 동안 고정된 카메라로 인해, 낭독자와 장소에서 발생하는 우연적인 제스처는 현실의 요소를 제공하며, 연속적인 서사를 중단하고 자연과 인간의 제스처가 공유하는 리듬을 발견하게 한다. 이러한 중단은 관객에게 놀라움을 주고, 현재를 새로운 맥락에서 성찰하도록 한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두 감독이 어떻게 횔덜린의 텍스트를 통해 혁명적 변화의 가능성을 제기하고 이를 활용했는지를 설명한다. 이들은 1980년대 후반의 우울감과 저항의 소멸을 통해 횔덜린의 텍스트를 재해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마지막으로, 혁명이 과거를 완전히 소멸시키고 완전히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변화를 초래하는 점을 강조한다. 이는 현실의 우연성과 불확실성을 인정하면서도 변화와 희망을 제안하는 실험적인 접근이다.
<엠페도클레스의 죽음>에서 연속적인 서사를 중단하는 우연발생적인 순간들을 인식하는 일은 변화의 계기를 인식하는 일과 다르지 않다. 그 기회는 순간이 지닌 힘으로부터 발생하기 때문에 주체인 관객이 인식하지 않으면 빠르게 소멸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중단의 이미지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영문초록

In conjunction with liberation and resistance movements such as the 1968 revolution, the movies of the 1960s-70s aimed to dismantle the dominant and conventional form of cinema and overthrow the societal ideology. These movies summoned Bertolt Brecht's 'alienation effect' as a new language for cinem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Brecht's theatre theory was experimentally applied in the film (1987) directed by Daniele Huillet and Jean-Marie Straub, amidst the mood of the late 1980s when the movements of resistance and liberation were frustrated after the '68 revolution. (1987) is an adaptation of the unfinished tragedy 『The Death of Empedocles』(1797~1799) by German poet Friedrich Holderlin. This study intends to analyse the formal dimension of the film and the meanings in Holderlin's text to investigate how continuous narrative interruption and real elements combine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new thoughts, and for this purpose, Brecht's theatre theory was reviewed.
In , recitation was chosen to break away from dramatic fantasies and emotional immersion. The recitation is an attempt to evoke the historical event of Empedocles' suicide as a moment of recitation, where the past is not recreated in the present but interrupts the present and demands contemplation. This approach is based on Brecht's 'Historicization' and the historical philosophy of Walter Benjamin.
Meanwhile, the film was shot on Mount Etna, the actual location of the tragedy, and offers a landscape sequence breaking away from the three recitations. The fixed camera over the long shooting period provides real elements through the accidental gestures occurring from the reciters and the place, interrupting the continuous narrative and discovering the rhythm shared by nature and human gestures. These interruptions surprise the audience and prompt them to contemplate the present in a new context.
This study also explains how the two directors raised the possibility of revolutionary changes through Holderlin's text and how they used it. They reinterpreted Holderlin's text through the melancholy and disappearance of resistance in the late 1980s.
Lastly, this study emphasizes that revolution does not completely obliterate the past and create something entirely new, but rather brings about continuous and repetitive changes. This is an experimental approach that suggests change and hope while acknowledging the randomness and uncertainty of reality.
Recognizing the moments of accidental occurrences that interrupt the continuous narrative in is no different from recognizing the opportunities for change. These opportunities quickly disappear if not recognized by the subject, the audience, because they arise from the power held by the moment.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these images of interruption.

비고 : MCA-2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