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영화의 소란스러운 침묵 - 아이제이아 머디나의 〈88:88〉에 나타난 정체의 형식과 서발턴의 재현 -
  • 저자명|김대부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4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아이제이아 머디나, 〈88:88〉, 서발턴, 장치, 비잠재성, 몸짓, 사유의 빈곤

국문초록

본 논문은 아이제이아 머디나의 〈88:88〉에 나타난 영화 형식을 경유하여 서발턴 주체를 재현하는 전략을 모색한다. 여기서 서발턴은 지배 이데올로기 권력에 의해 정상성의 범주에서 소외된 주체를 정의한다. 서발턴 주체는 영화가 근접하게 재현하려 할수록 바로 그 접근으로 인해 영화가 재현할 수 있는 영역 바깥으로 멀어지거나 제외되는 불확정성 원리의 모순에 빠져 있다. 영화 매체가 서발턴 주체를 재현하는 과정에서 모종의 이데올로기적 효과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재현 이데올로기 모델에 균열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먼저 영화 매체를 장악하고 있는 지배 이데올로기 권력을 인식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본 논문은 이미지와 사운드를 난삽하게 교차하여 내러티브의 시간을 정체시키는 〈88:88〉의 영화 형식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인식 효과의 실효성을 검증한다. 나아가 〈88:88〉이 딛고 있는 서발턴 주체의 불확정성 원리가 발생하게 된 근원적인 문제로서 영화가 묘사하려는 모든 주체를 행위자로 대변하고 거짓으로 주체화하는 장치의 작동을 논증한다. 특히 행위하지 않을 능력으로서의 비잠재성을 소거하면서 모든 것을 행위자로 주체화하는 장치의 총체성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88:88〉이 서발턴의 주체성을 대변하지 않을 영화 매체의 (무)능력을 상실하고 서발턴 주체를 정체되지 않는 내러티브의 행위자로 대변하게 될 가능성을 제기한다.
본 논문은 이를 극복할 전략을 몸짓, 즉 목적 없는 수단의 수행성에서 찾는다. 그리고 영화의 순수 매개성만 남기면서 ‘재현 활동 안에 있음’이라는 자명한 사실을 전경화하는 재현 장애를 영화의 소란스러운 침묵이라고 명명한다. 이를 통해 소실된 비잠재성을 되찾고 비로소 서발턴 주체를 묘사하지 못하는 매체의 자기 성찰을 실현할 영화 형식의 전략을 도출한다. 그러면서 〈88:88〉에 나타난 정체의 영화 형식은 재현을 전방위적으로 퇴행시키는 영화 형식으로서의 ‘개그(gag)’로 확장된다. 그런데 ‘재현 활동 안에 있음’이라는 기초적인 사실 외에 아무것도 재현하지 않고 침묵하게 된 〈88:88〉의 여러 시퀀스들 간에도 여전히 차이가 인지된다. 이로써 영화가 잠재적으로 대변할 만한 어떠한 행위자와도 일치하지 않으면서 서로 다른 침묵들을 빈곤 체험이라고 명명하는 서발턴 주체의 실재가 사후적으로 돌출한다. 〈88:88〉은 빈곤을 서로 다른 침묵만큼이나 특수한 체험으로 사유하면서도 막상 그것에 대한 사유가 필연적으로 직면하는 불가능성을 시인한다는 점에서 서발턴 주체가 체험하는 빈곤을 사유의 빈곤에 연동시킨다.

영문초록

This thesis aims to explore strategies for representing the subaltern within the cinematic framework, using the film 88:88 by Isiah Medina as a case study. In this context, the term ‘subaltern’ refers to subjects deviating from established norms dictated by dominant ideology. These subjects find themselves entangled in the uncertainty paradox, where their representation in film is consistently denied or distorted due to the inherent alignment of filmic approaches with dominant ideology. To disrupt the prevailing ideological representation model, it is imperative to acknowledge the dominance of ideology over the cinematic medium. This thesis delves into an analysis of the ‘suspension’ employed in 88:88, characterized by excessive cutting and overlapping of images and sounds. This suspension disrupts narrative time, and its cognitive impact leads to the recognition of ideology. Furthermore, the thesis sheds light on the dispositif mechanism, the root of the uncertainty paradox faced by the subaltern. This mechanism categorizes every individual as an actor by standardizing the film’s depiction. Additionally, the thesis emphasizes the totality of dispositif, falsely subjectifying virtually everything by eliminating impotentiality: the ability to refrain from acting. It underscores that the (in)ability of 88:88 to not represent the subjectivity of the subaltern as a standardized actor is possibly frustrated within a potentially unsuspended narrative.
This thesis seeks strategies for overcoming this issue through the performativity of gesture, i.e. means without an end. The concept of ‘noisy silence in film’ is identified as a representation disability that highlights the pure mediality of film, foregrounding its inherent nature of ‘to-be-representing.’ Consequently, the thesis demonstrates film form strategies that actualize impotentiality, reflecting the filmic medium’s incapability to depict the subjectivity of the subaltern. While the suspension in 88:88 evolves into a ‘gag’ as a form, leading filmic representation into thorough regression, the thesis acknowledges distinctions within silent sequences. These sequences, representing nothing but the fundamental concept of ‘to-be-representing,’ reveal the reactive emergence of the subaltern’s reality. This reality, not conforming to standardized actors in film narratives, is implied through the subjective process of nominating a particular silence as poverty experience(Erlebnis). 88:88 engages the poverty experience of the subaltern with the poverty of thought, acknowledging the inevitable impossibility of specifically conceptualizing the reality of poverty while contemplating particular instances as distinct silences.

비고 : MCA-24.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