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영화를 통한 역사의 리얼리즘적 재현 : <박하사탕>을 중심으로
  • 저자명|진재권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4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이창동, 박하사탕, 역사영화, 게오르크 루카치, 후술법, 리얼리즘, 재현, 반영

국문초록

본 논문은 이창동의 영화 <박하사탕>을 한국의 어떤 특정한 현대사적 사건과의 연계, 혹은 역사와의 연관성을 배제한 작품 자체의 예술적 성취 등이 아닌, ‘역사영화란 어떤 것인가’라는 의문 안에 해당 작품을 배치해 보고자 하는 시도에서 시작되었다. <박하사탕>은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한, 그러면서도 허구의 인물과 사건들로 구성된 극영화이며, 이와 유사한 방식의 작품들은 기존에도 흔히 제작되어 왔다. 그러나 <박하사탕>은 조작된 시간의 흐름이나 특이한 인물소의 구성 과정, 그리고 그로 인해 드러나는 작품과 역사적 사실 사이의 관계 등의 측면에서 상당히 특별한 양상을 보인다. 이는 해당 작품이 ‘역사영화’란 무엇이며, 그것이 과연 어떠한 역할을 맡는가에 대한 생각을 할 수 있게 만든다.
역사영화라는 용어의 정의가 현재 명확히 내려졌다고는 보기 어려우나, 그 정의의 적합성, 구체성과는 무관하게 그것은 이미 분명히 존재하는 개념이다. 그렇다면 역사영화란 대략적으로 어떠한 영화를 지칭하며, 영화를 통해 실제 있었던 역사를 재현한다는 것이 다른 매체를 통한 재현과 어떤 차이를 갖고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한 고찰 또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박하사탕>을 역사영화로 정의하며 역사영화에서의 리얼리즘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박하사탕>이 어떤 맥락에서 기본적으로 허구인 극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리얼리즘을 드러내고 있는지 살펴본다. 이 분석 과정에서 특히 주목한 점은 해당 작품이 만들어낸 특유의 허구적 세계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이 리얼리즘 이론과 접목되어 어떻게 ‘리얼리즘적으로’ 작용하는지에 대한 부분이다.
분석에 있어서 주로 사용된 개념들은 게오르크 루카치가 제시한 리얼리즘 예술 이론들이다. 루카치는 예술이 현실에서 맡을 수 있는 역할, 즉 깨지고 파편화된 현실과 온전하고 총체적인 본질 사이에서의 제삼자적 역할에 특히 주목하면서, 현실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것이 적절한 리얼리즘이 아님을 주장하였다. 본고는 루카치의 이러한 이론적 배경에 더해 그가 제시한 ‘영화’에 대한 개념들을 가져와, <박하사탕>이 어떠한 방식으로 실제 있었던 역사적 사건들을 재구성하여 작품의 내재적인 세계를 구축하는지 살펴본다.

영문초록

This article begins with an attempt to place Lee Chang-Dong’s film, inside the question of what historical film is, instead of linking it with a certain historical event or watching it through means of fine art. is a film filled with fictional events and characters, although its background consists of true historical events. Films of this type are not considered uncommon. However, , with factors such as its specific recreation of time, distinctively carved characters,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film and historical events, displays its unique aspects. This signifies that may be a work that holds the possibility to arouse questions about what ‘historical film’ is, and the goals that historical films should try to achieve.
The term ‘historical film’ is not exactly defined yet. However, its current existence is something that cannot be denied. If so, thoughts about what exactly historical film is and how it holds different meanings from other means that reproduce history can be necessary.
This article defines as historical film, and aims to seek how realism can be demonstrated in historical films, and to how displays realism through methods of fictional film. This analysis focuses mainly on the fictional world that creates, and how that world can be grafted with realism theory and work ‘realistically’.
Ideas mainly used in this analysis can be found in realism art theory of Georg Lukacs. He focused on the role of art between the reality, as a fragment, and the essence, as a whole. He asserted that, reproducing reality just as it is, is not how realism should do its work. This article, based on the background of Georg Lukacs‘ theory, brings up other ideas he asserted about ’film’, using those ideas to find out how reproduces historical events to construct the world of its own internally.

비고 : MCA-24.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