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중국에서의 한국 예능 프로그램 수용에 나타난 사회적 시청 연구: <런닝맨>의 탄막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저자명|JIANG JUNXIU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한국 예능 프로그램, 런닝맨, 비리비리, 중국 수용자, 탄막, 사회적 시청, 상호작용

국문초록

이 논문은 중국 수용자들의 한국 예능 프로그램 시청을 한류 현상의 한 흐름으로 간주하고, 중국 수용자들이 한국 예능 프로그램을 수용할 때 발생하는 새로운 형태의 사회적 시청과 문화적 반응에 주목한다. 중국 내 한국 콘텐츠 소비는 꾸준히 증가하다가 2010년대에 들어서 급격하게 증가하였는데, 인터넷과 동영상 플랫폼의 비약적인 발전이 프로그램 시청 환경 및 방식에도 변화를 미치며 한국 예능 프로그램의 대대적인 유행을 이끌었다. 그중에서도 올해 10주년을 맞이한 한국의 장수 예능 프로그램 <런닝맨>은 현재 중국 내에서 가장 유명한 한국 예능 프로그램으로 손꼽힌다.
최근의 중국 내 한국 콘텐츠 수용은 주로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통해 이뤄지는 추세다. 중국 정부의 강화된 조치와 주류 미디어의 검열이 중국 내 한국 콘텐츠 수용자들이 온라인 플랫폼으로 옮겨가는 단초를 마련한 까닭이다. 근래에 인기를 끌고 있는 비리비리 탄막 동영상 플랫폼(이하 “B 사이트”) 역시 이러한 배경 하에서 탄생했다. 하지만 B 사이트는 ‘탄막’이라는 기능을 앞세워 시청자들 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이끈다는 점에서 주류 미디어와 차별화된다. 탄막 기능을 통해 다른 시청자들과 즉각적으로 반응을 나눌 수 있다는 B 사이트의 이점이 소구력을 지니는 것이다. 탄막은 일반 댓글 형식과는 질적으로 다른 종류의 사회적 시청의 형태이며, 최근의 이 기능이 인기를 끌며 중국 미디어 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B 사이트에서의 <런닝맨> 프로그램 수용을 개인적 차원이 아닌 사회적 차원에서 접근한다. 이러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사회적 시청에 주목하는 것은 프로그램 수용 시 생겨나는 다양한 의미 분화와 상호작용에 관심을 기울여 그것이 가진 사회문화적 함의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텍스트 분석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물음들은 B 사이트에서의 <런닝맨> 탄막 유형 및 특성, 발생하는 상호작용의 종류, 사회적 시청의 형태 등을 묻는다. B 사이트에서의 <런닝맨> 탄막 텍스트는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정보 보충’형, 콘텐츠에 대한 평가나 의견을 공유하는 ‘평가’형, 콘텐츠를 보면서 자신이 느낀 감정을 표현하는 ‘감정 표현’형, 동영상 시청 시 생겨난 질문들을 다른 이에게 던지는 ‘질문’형, 동영상 시작 전 서로의 안부를 묻는 ‘인사말’형, 동영상을 더 재밌게 시청하기 위해 탄막 기능을 이용해 분위기를 조성하는 ‘분위기 조성’형, ‘기타’ 등 7가지로 유형화되며, 즉시성, 익명성, 자유성, 특정성, 다양성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탄막을 매개로 발생한 시청자들 간의 상호작용은 탄막 이용자와 프로그램 텍스트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탄막 이용자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는 탄막 이용자가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생각을 탄막으로 표현하는 것이며, 후자는 탄막 기능을 통해서 프로그램 내용에 대해 다른 시청자와 소통하는 것이다. 탄막을 매개로 한 프로그램 시청은 탄막 이용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사회적 시청의 새로운 종류로 볼 수 있다. 탄막 이용자들은 탄막의 익명적 특성 덕에 자기 생각을 더욱 자유롭게 표현하고, 다른 사람과의 소통 속에서 공감대를 형성하며 만족감, 성취감, 자신감 등을 얻는 것이다.
이 연구는 B 사이트를 중심으로 이뤄지는 중국 내 한국 콘텐츠 수용이 ‘1인 시청’에서부터 ‘사회적 시청’까지를 모두 아우르는 새로운 종류의 문화적 현상임을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이 자세히 다루지 못한 중국의 한국 예능 프로그램 수용자들의 특성 변화를 설명하고, 한국 예능 프로그램의 탄막 유형 및 특성을 제시하여 중국 내 한국 콘텐츠 수용 방식을 세분화했다는 점, 이 과정에서 관찰되는 글로벌 팬덤 현상을 규명했다는 점 등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중국 내 한국 콘텐츠 수용에 대한 활발한 토론과 다양한 한국 콘텐츠의 중국 시장 진출을 기대한다.

영문초록

This thesis regards the consumption of Korean variety programs by Chinese viewers as part of the Hallyu wave, and focuses on the new forms of social viewing and cultural reactions due to this consumption. China’s steadily-increasing consumption of Korean media contents picked up speed in the 2010s.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online video platforms have shaped the environment and method of the consumption of such contents and also gave rise to the massive trend of Korean variety programs. Amongst these programs is Running Man, which is in its 10th year, and is also currently one of the most well-received Korean variety programs in China.
The consumption of Korean media contents in China have been executed via various online video platforms recently due to the Chinese government’s stepped-up measures and censorship of mainstream media. Chinese video sharing platform Bilibili (hereinafter referred to as “B Site”), which has been gaining popularity of late, was also founded under such background. However, B Site stands out from other mainstream media platforms in its ‘bullet commenting’ feature, which allows active interaction amongst viewers. Through this feature, B Site appeals to viewers with its advantage of being able to share responses with other viewers immediately. Unlike regular commenting formats, bullet commenting is a qualitatively-distinct form of social viewing which has been picking up steam recently. It is thu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is feature due to its newfound popularity and prominent influence in the Chinese media environment.
Hence, this study will approach the consumption of Running Man on B Site at a social level as opposed to on a personal level. The focus on the social viewing of such television programs is to draw attention to the various semantic differentiations and interactions that arise in the consumption of these programs and to identify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that these programs bring about.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text analysis includ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bullet comments in Running Man on B site, the kinds of interaction that occur, as well as the forms of social viewing. Bullet comments in Running Man on B Site can be classified into 7 categories: (1) the ‘supplementary information’ type to share information with one another, (2) the ‘judgement’ type that judges the content or provides one’s opinion, (3) the ‘expression’ type that expresses one’s feelings in reaction to the content, (4) the ‘interrogative’ type that asks questions about the video to others, (5) the ‘greeting’ type that sends one’s regards before the start of the video, (6) the ‘atmosphere-making’ type that uses the bullet commenting feature to lift the atmosphere so as to make the viewing of the video more fun, and (7) ‘others’.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llet commenting feature include instantaneity, anonymity, liberty, targetability as well as diversity.
Interactions between viewers through bullet comments can be divided into the interaction of the bullet comment user and program text, and the interaction between bullet comment users. The former refers to the expression of the user’s thoughts through bullet comments in response to the program itself; the latter refers to use of the feature to communicate with other viewers. Consumption of programs through the bullet commenting feature has led to a positive impact on bullet comment users, meaning that this can be viewed as a new form of social viewing. Bullet comment users can express themselves freely due to the anonymity of the feature and share a bond of sympathy, gaining satisfaction, a sense of achievement and confidence by communicating with oth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establishing that the consumption of Korean media contents via B Site in China is a new kind of cultural phenomenon that encompasses from ‘personal viewing’ to ‘social viewing’. It is also meaningful in explaining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s of Korean variety programs in China, present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bullet comments in Korean variety programs and subdividing the methods of consumption of Korean media contents in China, as well as investigating the global fandom phenomenon observed in this process. With that, more active discussions regarding the consumption of Korean media contents in China, as well as the entry of various Korean media contents into the Chinese market can be expected in the future.

비고 : MCS-2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