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포스트미디어 시대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매체성 연구
  • 저자명|김명진
  • 학위|박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리얼리티 프로그램, 포스트미디어, 매체성, 상호텍스트성, 재매개성, 매체수행성, 미디어 실재, 메타 실재, 가상 실재, 심층 미디어화

국문초록

이 논문은 2000년대 이래로 동시대 미디어문화의 지배적 현상이 된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매체적 관점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2000년대 이후 텔레비전의 제작, 송출, 소비에 있어 디지털화, 네트워크화, 멀티플랫폼화로 대표되는 매개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서사가 분절되고 매체는 상호 결합되는 양상이 미디어문화 전반에 나타나는데,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부흥과 확장 및 분화는 이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문화적 징후다. 21세기 컴퓨터 기술이 매개과정에 깊이 개입되면서 본격화된 이러한 변화는 15세기 인쇄술의 도입에 따른 정보전달의 기계화, 19세기 전기의 도입에 따른 정보전달의 전자화라는 역사적 국면변화의 연속된 흐름 위에서 이해될 수 있으며, 이 논문에서는 이를 매체적 전환의 흐름 위에서 고찰한다.

컴퓨터 기술이 촉진한 정보의 디지털화, 네트워크화, 멀티플랫폼화는 이른바 포스트모더니티로 일컬어지는 사회, 예술, 미디어문화의 새로운 경향성과 밀접하게 논의되어 왔다. 특히 포스트시네마(영화), 포스트드라마(공연), 포스트매체(미술), 포스트텔레비전(방송) 등 매체별 ‘포스트’ 담론을 통해 과거와 변별되게 하는 기술적, 물질적 조건으로서 매체의 문제가 부각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것이 개별 매체의 문제를 초월해 다양한 매체를 가로지르며 나타나는 동시대 보편적 현상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포스트미디어 시대’라는 맥락적 문제틀을 설정한다. 또 오늘의 미디어문화에서 발견되는 텍스트적, 매개적, 수행적 특수성을 컴퓨터화된 매개 기술과 밀접하게 발현되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를 아우르는 이론적 개념으로서 ‘매체성(mediality)’을 도입한다. 매체성은 텍스트 이면에서 작동하는 미디어 기술과 장치의 물성을 포착하고 2차원의 텍스트 평면 위에서 설명될 수 없는 미디어 실재의 다차원적 분화와 확장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기존의 텍스트성과 길항관계에 놓인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동시대를 대표하는 매체텍스트로 간주한다. 매체텍스트는 전통적 텍스트 개념에서 비가시화되어 온 매체성을 복원하는 개념으로서 단일 텍스트성을 해체하는 상호텍스트, 매개 작용을 가시화하는 하이퍼텍스트, 언어의 재현에서 사건의 발생으로 주의를 돌리는 퍼포먼스 텍스트와 같은 동시대 대안적 텍스트 개념들을 융합하는 상위 개념이다. 각각의 텍스트 개념을 통해 추출되는 상호텍스트성, 재매개성, 매체수행성은 매체텍스트로부터 매체성을 변별적으로 탐색할 수 있게 하는 도구적 개념이며, 이 논문에서 제시하는 세 개의 사례연구에 각각 방법적으로 적용되고 분석된다. 방법론으로서 매체분석의 체계적 정립을 위해 정보의 물질성과 기호성을 텍스트 분석에 도입하며, 기호학의 세미오시스 이론을 바탕으로 매체텍스트의 단위이자 매체 분석의 단위로서 코드, 포맷,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텍스트가 인간 정신의 산물일 뿐만 아니라, 기술적 알고리듬을 통해 해체되고 재조합되는 코드, 형식화되는 포맷, 나아가 장치화되는 프로그램의 일부이기도 하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매체분석을 통해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일정한 알고리듬에 따라 이질적으로 결합되기도 하고 해체, 분화되기도 하는 동시대 미디어가 구성하는 코드, 포맷, 프로그램의 총체를 일컫는 개념으로 확장된다. 그것은 재현체계로 대표되어 온 텍스트의 서사성, 시각성, 투명성, 공연성과 같은 단일한 표면을 해체하고 미디어 실재를 일상성, 메타성, 가상성이 교차되는 것으로 다원화하는 장치다. 이러한 장치는 인간이 실재를 인식하고 감각하며 생성하는 방식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이제 단순히 텔레비전에서 방송되는 개별 프로그램의 형식이나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인터넷 개인방송, 모바일 SNS, 나아가 교육, 행정, 비즈니스 등 사회 전 영역에서 급증하는 비대면 미디어 매개 커뮤니케이션에 침투되는 매체 양식의 총체를 포괄하는 이름으로 확장된다. 궁극적으로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동시대 디지털 미디어의 안과 밖에서 매개를 통해 광범위하게 구성되는 서사양식이자, 심층적으로 매개된 삶의 방식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재정립된다.

영문초록

This thesis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ality television, which has become the dominant phenomenon of contemporary media culture since the 2000s, from a perspective of mediality. Since the 2000s, rapid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ies represented by digitalization, networkization, and multi-platformization has taken place in the production, transmission, and consumption of television. At the same time, narratives are segmented and media are combined together throughout media culture, and the expansion and differentiation of reality programs is a representative cultural symptom of this. This change, which began in earnest as computer technology was deeply intervened in the mediation process in the 21st century, can be understood on the basis of the continuous flow of historical changes: the mechanization of information transmission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printing in the 15th century, and the electrification of information transmission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electricity in the 19th century. possible, and this paper considers it on the flow of media turn.

The digitization, networkization, and multi-platformization of information promoted by computer technology have been closely discussed with the new trends in society, art, and media culture, in the idea of post-modernity. In particular, it highlights the matter of the medium as a technical and material condition that differentiates it from the past through the 'post-' discourse of each medium such as post-cinema(film), post-drama(performance), post-medium(visual art), and post-television(broadcasting). In this paper, based on the premise that this is a universal phenomenon of contemporary media that transcends individual medium and appears across various media, the contextual frame of the ‘postmedia era’ is established. In addition, contemporary media culture presenting the specificity in terms of its text, mediation, and performance, is considered to be closely expressed with computerized mediation technology, and 'mediality' is introduced as a theoretical concept that encompasses them. Mediality is a concept that captures the material properties of media technology and devices that operate underneath texts and explains the multidimensional expansion of media reality that cannot be explained on the two-dimensional text surface, and it is in opposition to the traditional concept of textuality.

In this paper, in particular, television reality programs are regarded as representative contemporary media-texts. Media-text is a concept that restores the media nature that has been invisible in the traditional concept of text. It is an alternative textual concepts, fusing intertext that deconstructs single textuality, hypertext that visualizes mediation, and performance text that turns attention from the representation of language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tertextuality, remediation, and media performativity, which are extracted through each text concept, are instrumental concepts that make it possible to differentially explore media characteristics from contemporary media-texts, and each of the three case studies presented in this paper methodically applied and analyzed. In order to systematically establish media analysis as a methodology, the materiality and semiotics of information are introduced into text analysis, and codes, formats, and programs are proposed as a unit of media analysis. This reveals that the text is not only a product of the human mind, but also an activated result of codes that are disassembled and reassembled, formats that are formalized, and programs that are deviced through technological algorithm.

As a result of media analysis, reality program is expanded to a concept that refers to the totality of codes, formats, and programs that are composed of contemporary media that are heterogeneously combined, disassembled, and differentiated. It is a device that diversifies media reality by deconstructing the single surface of narrative, visuality, transparency, and performance, which has constructed the representation system, and intersecting everydayity, meta-reality, and virtuality. This changes the way humans perceive, sense, and create reality. Therefore, reality programs are no longer limited to the form or genre of individual programs broadcast on TV, but are a medium that penetrates into media mediated communication, which is now rapidly increasing in all areas of society. Ultimately, reality programs are re-established as a narrative style that is broadly constructed through mediation inside and outside contemporary digital media, and a concept that encompasses a deeply mediated way of life.

비고 : PVC-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