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플레이어 없는 게임들: 모바일 게임의 방치 문화 연구
  • 저자명|박이선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윤태진

주제어

모바일 게임, 방치, 비인간 행위자, 자동화 사화, 일과 여가, 앰비언트 플레이, 상호작용성, 시간 압박

국문초록

본 연구는 모바일 게임 문화에서 관찰되는 자동화된 게임 플레이의 양상에 주목한다. 소위 ‘방치’ 라고 불리는 이 게임 플레이 방식에서, 플레이어가 게임에 부재하는 동안 게임은 스스로 진행된다. 전투나 공간이동 등 기존에 플레이어가 수행했던 입력 조작은 자동화된 알고리즘이 대신한다. 자동화된 플레이는 과거의 온라인 PC게임에서 금기시되었지만 최근의 모바일 게임에서 허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산업화 이후 일과 여가의 시간이 분리되고, 시간의 가치가 생기면서 시간압박의 경험들이 발생했다. 멀티 태스킹과 같은 현상은 모바일 미디어 사용으로 인해 가속화된다. 시공간적 경계를 해체하는 모바일 환경에서 게임의 시간과 현실의 시간이 동시에 흐르는 앰비언트 플레이가 펼쳐지고 있다. 때로 모바일 기기는 플레이어를 대신하는 존재로 여겨지기도 한다. 게임하기의 상황을 면밀히 들여다보면, 입력을 하는 플레이어와 이를 수행하는 기계 행위자를 분리해낼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어의 역할을 대신하는 기계 행위자의 등장을 통해 게임에서 상호작용의 의미를 다시 질문할 수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인간과 기계 행위자의 시점을 각각 분석하기 위해 심층 면접과 섀도잉 기법을 활용한 참여 관찰을 사용했다. 추가적으로 게임의 홍보 자료를 수집하여 게임이 상품으로 판매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우선 각각의 게임들의 인터페이스와 자동화 메커니즘을 분석하여, 게임 구조적으로 형성된 방치 문화를 알아보았다. 이 분석을 토대로, 플레이어가 게임에 짜여진 구조를 어떻게 활용하며 방치 문화를 형성하는지 조사했다. 마지막으로 자동화된 알고리즘이 게임을 대신 수행함에 따라 인간 플레이어에게 게임하기의 의미가 기존과 어떻게 달라졌는지 파악했다.

총 12개의 게임을 분석한 결과, 방치 문화의 게임들은 메커니즘적으로 자동화를 통해 플레이어의 부재를 허용하고 있었다. 플레이어는 게임의 자동화기능을 활용하여 게임 시간과 일상의 시간을 결합시켜 게임 플레이를 펼치고 있었다. 플레이어들은 자동화된 플레이에서 이질감의 경험을 느끼기도 하였으며, 신체성을 제거했기 때문에 편리함, 공평함도 함께 느꼈다. 게임하기는 직접적으로 신체적 몰입과 상호작용을 요구했던 것에서 기계행위자를 관리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영문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aspects of automated gameplay observed in the mobile game culture. In this so-called 'idle' gameplay, the game is played on its own while the player is absent. Automated algorithms take over the input manipulations previously performed by players, such as battles and teleportation. Automated gamepla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been taboo in online PC games in the past, but is allowed in recent mobile games.

After industrialization, work and leisure time were separated, and as time became valuable, experiences of time pressure occurred. Phenomenon such as multi-tasking is accelerated by the use of mobile media. In a mobile environment that dismantles spatiotemporal boundaries, ambient play in which game time and real time flow simultaneously is unfolding. Sometimes mobile devices are considered to be a substitute for players. If we look closely at the context of playing a game, we can isolate the player making the input from the machine actor performing it. Thus, the emergence of machine actors in place of human player's role can re-quest the meaning of the interaction in the game.

As a research method,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using shadowing techniques were used to analyze the perspectives of humans and machine actors,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game's promotional materials were investigated to see how the game is being sold as a product.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faces and automation mechanisms of each game to find out the game's structured idle gameplay.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layers utilize the game structures and form a idle culture. Finally, as automated algorithms performed games instead, this study figured out how the meaning of playing games to human players has changed from before.

As a result of analyzing a total of 12 games, mobile games of idle culture were mechanismically allowing players to be absent through automation mechanics. Players were using the game's automation function to combine game time and everyday time to play the game. Players felt a sense of heterogeneity in automated play, and they also felt convenience and fairness because they removed their physicality. Gaming has changed from directly requiring physical immersion and interaction to managing mechanical non-human players.

비고 : MCS-2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