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엄벌에 대한 대중의 열망 - TV 드라마 속 사적 제재의 정당화 방식을 중심으로 -
  • 저자명|김윤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2
  • 담당교수|윤태진

주제어

엄벌주의, 사적 제재, TV 드라마, 위험사회, 반영웅, 텔레비전 리얼리즘

국문초록

현실에서 여러 범죄들이 계속해서 등장하는 가운데, 국가의 형벌 체계로부터 비롯되는 범죄자에 대한 처벌이 불충분하다는 대중의 여론이 팽배한다. 대중이 범죄자의 죗값에 상응하는 엄중한 처벌을 염원하는 반면, 국가가 범죄자에게 내리는 형벌의 정도는 그 죄질에 비해 매우 미약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이 범죄자를 직접 응징하는 행위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개인이 국가의 형벌권을 대신하여 타인을 응징하는 행위는 그 대상이 아무리 흉악한 범죄자여도 분명히 또 다른 범죄이다. 실제로 범죄자를 응징한 개인들이 처벌을 받는 사건이 발생했지만, 대중은 오히려 개인의 응징 행위, 즉 ‘사적 제재’를 응원하고 지지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사적 제재 행위는 현실뿐만 아니라 TV 드라마의 소재로 종종 등장하는데, 수용자는 드라마 속 사적 제재를 지양해야 할 행위로 비판하기보다는 이에 열광하고 즐거움을 느낀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으로부터 문제의식을 갖고, ‘왜 시청자는 TV 드라마 속 사적 제재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가?’라는 질문을 제기한다.
본 연구는 TV 드라마 <빈센조>와 <모범택시>의 서사를 분석하면서 해당 작품의 ‘사적 제재’라는 소재가 어떻게 정당화되는지 분석한다. 작품의 구조는 드라마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의 시청자들에게도 사적 제재를 정당화하게끔 구성되었다. 우선 작품의 배경이 시청자들의 현실과 유사하게 묘사되면서 경험적 리얼리즘이 발현되고, 이와 동시에 시청자들은 작품 속 ‘대중-피해자’라는 인물군으로부터 정서적 리얼리즘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리얼리즘적 요소가 TV 드라마에 대한 시청자들의 몰입과 재미를 유도하는 상황에서, 작품 속 대중-피해자 인물군이 느끼는 분노의 대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중-피해자 인물군은 범죄 사건과 범죄자뿐만 아니라 공적 영역의 무능함에 격렬한 분노를 느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적 영역이 대중-피해자를 보호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작품의 주인공들이 공적 영역을 대신해 범죄자를 처벌하고 대중-피해자의 울분이 해소되는 서사가 전개된다. 주인공들이 엄벌의 방식으로 범죄자를 처벌하지만 공적 영역에 분노를 느꼈던 대중-피해자는 이러한 주인공의 사적 제재 행위에 지지와 감사를 보낸다. 즉 대중-피해자들의 지지로부터 주인공의 사적 제재가 정당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후 작품의 구조적 측면이 주인공의 사적 제재를 범죄 행위로 묘사하지 않는다는 점으로부터 사적 제재의 또 다른 정당화 구조가 확인된다. 작품의 음악이나 촬영 기법 등 연출적 요소는 주인공의 사적 제재 행위를 비교적 통쾌하게 묘사하고, 이로부터 시청자들 역시 주인공의 사적 제재에 두려움이 아닌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 또한 두 주인공이 ‘영웅’의 원형에 적용된다는 점은 작품의 구조적 차원에서 사적 제재가 정당화되는 또 다른 요인이다. 이 모든 것이 가능한 이유는 작중 공적 영역이 범죄자에 대한 처벌은 물론 대중-피해자의 보호를 완벽히 수행하지 못한다는 점으로부터 기인한다. 무엇보다 주인공의 사적 제재로부터 작품 속 현실의 사회적 정의가 실현된 모습을 보이면서, 주인공의 응징 행위가 악행이 아닌 정당한 행위로 여겨지고 있다.
<빈센조>와 <모범택시> 속 인물들이 아닌 현실의 시청자들이 작품 속 사적 제재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작품 속 범죄 사건들이 시청자들의 현실에서 일어났던 사건들과 유사하며, 국가의 형벌이 범죄자를 징벌하기에 불충분하다는 점마저 시청자들의 현실에서 관찰되는 모습이다. 이후 위험사회와 신자유주의 형벌국가라는 작품의 배경, 그리고 그 속에서 희생되는 대중-피해자 인물들로부터 경험적/정서적 리얼리즘이 발현되어 시청자들의 몰입이 유발되었다. 범죄자와 공적 영역에 대한 분노가 만연한 시청자들의 현실에서, <빈센조>와 <모범택시> 속 사적 제재로 인해 긍정적으로 변화한 현실은 시청자들이 염원하는 모습과도 같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들로부터 시청자들이 TV 드라마 속 사적 제재에 거부감이 아닌 즐거움을 느끼도록 만드는 구조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개인의 응징 행위를 소재로 하는 작품들이 계속해서 등장할 전망을 고려했을 때, 본 연구가 파악한 TV 드라마 속 사적 제재의 정당화 구조가 추후 등장 가능한 ‘사적 제재극’이라는 새로운 장르와 그 사회문화적 함의를 설명하기 위해 유의미한 토대를 마련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영문초록

While many crimes continue to appear in real life, there is widespread public opinion that punishment for criminals resulting from the state's punishment system is insufficient. While the public longs for a severe punishment commensurate with the price of the criminal's crime, the level of punishment that the state imposes on criminals is very weak compared to the quality of the crime. In this situation, the act of individuals directly punishing criminals begins to appear. An individual's act of punishing others in lieu of the state's right to punish is clearly another crime, no matter how heinous the target is. In fact, there have been cases where individuals who punished criminals are punished, but the public shows support for individual punitive acts, that is also called ‘lynch’. Lynching is often appeared as the subject of TV dramas as well as reality, the audiences feel enthusiastic and delighted with it rather than criticizing lynching in the drama as an act that should be avoided. This study raises a problem awareness from these phenomena and raises the question, 'Why do viewers uncritically accept lynching in TV dramas?'.
This study analyzes the narratives of the TV dramas and , and how the subject of ‘Lynching' in the TV dramas is justified. The structure of the TV drama is structured to justify lynching for viewers not only inside the drama but also outside. First, as the background of the work is described similarly to the reality of the viewers, empirical realism is expressed. At the same time, audiences were able to feel the emotional realism from the group of characters called ‘the public-victims’ in the TV drama. In a situation where these realistic elements induce audiences' immersion and fun, the object of anger felt by the public-victim group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ublic-victim character group felt intense anger at the incompetence of the judicature as well as the criminal cases and criminals.
In situations where the judicature fails to protect the public-victims, the story unfolds in which the main characters of the TV drama punish criminals on behalf of the judicature and resolve the resentment of the public and victims. Although the main characters punish criminals in a harsh way, the public-victim, who felt anger in the judicature, supports and appreciates the main characters’ lynching actions. In other words, the main character's lynching actions are justified from the support of the public-victims. Another justification structure for lynching is confirmed from the fact that the structural aspect of the TV drama does not depict the main character's lynching actions as criminal acts. The directing elements such as music and filming techniques in the work describe the main character's actions of lynching relatively refreshingly, and viewers also feel the joy of the main character's lynching actions rather than fear. Also, the fact that the two main characters are structured in the prototype of a 'hero' is another factor that structurally justifies the lynch of the TV drama. The reason all of this is possible is that the judicature in the TV drama does not perfectly protect the public-victims as well as punish the criminals. Above all, it showed that the social justice of reality in the TV drama was realized from the lynching actions of the main characte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ct of retaliation of the main character was regarded as a legitimate act rather than an evil act.
The reason why audiences, not the characters in and , can uncritically accept the lynching actions in the TV drama is as follows. First, the crime cases in the TV dramas are similar to those that occurred in the audiences' reality, and the fact that the state punishment was insufficient to punish the criminals is also observed in the audiences' reality. Afterwards, empirical/emotional realism was expressed from the background of the work of a risk society and the neoliberal penal state, and from the public-victims who were sacrificed in it. So, audiences' immersion was able to be induced. In the reality of audiences, where anger against criminals and the judicature is rampant, the reality that has changed positively due to private sanctions in and is the same as the viewers longed for. From these points, this study confirmed the structure that makes audiences feel pleasure rather than repulsion to lynching actions in TV dramas. And considering the prospect of continuing to feature TV dramas that deal with lynching, the structure of justification of lynching actions in TV dramas identified i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aid a meaningful foundation to explain the new genre of 'lynching drama' and its socio-cultural implications.

비고 : MCS-2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