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정책을 통한 예술의 정의와 국가 정책을 향한 예술인의 정치적 실천: 공연음악 생존을 위한 연대모임 사례를 통한 인디 음악씬의 사회운동에 관한 연구
  • 저자명|김지운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2
  • 담당교수|윤태진

주제어

인디 음악, 예술 정책, 문화 정책, 상징권력, 사회운동, 코로나19, 방역정책, 라이브클럽, 소규모 공연장

국문초록

본고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범국가적으로 이루어진 방역행정이 인디 음악의 주축을 이루는 라이브 클럽의 통제까지 이어지며 인디 음악씬 내에서 조직된 사회운동단체인 ‘공연음악 생존을 위한 연대모임’ (이하 공생련)이 조직되는 과정 및 그 활동을 추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생련은 인디 음악에 대한 문화예술정책이 부재한 상황에서 코로나19에 대응하는 방역정책이 어떠한 정책적 경합 없이 인디 음악 공연이 벌어지는 라이브 클럽을 통제의 대상으로 삼아버린 데서부터 문제의식을 키워 해당 지역 관할인 마포구청에 인디 음악의 예술적 실천을 지속가능하게 유지 및 보호할 수 있는 조례를 제정할 것을 요구한다.
예술이 예술로서의 지위를 획득하는 것은 사회 안에서 끊임없는 갈등과 협상의 역동적 과정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예술사회학적 사례로서 공생련이 대변하고자 하는 인디 음악의 예술로서의 지위 확보를 이해할 수 있다. 본고는 공생련의 주 항의 대상이 방역정책 및 문화정책의 수행자로서 국가에 초점이 맞추어져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국가가 정책의 수행자로서 갖는 상징권력 및 국가와 예술이 맺어온 공모를 예술사회학적 관점에 기대어 접근한다. 또한 공생련이라는 대상을 사회운동단체로 규정하고 사회운동론에 입각하여 국가에 대한 항의와 교섭을 수행하는 양상을 그려보고자 한다.
공생련에 대한 사례 연구는 예술이 어떻게 예술로서의 지위를 획득하는지의 과정을 특히 사회운동의 형태로 국가와의 교섭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때 국가에 관련 정책과 지원을 요구하기 위해 인디 음악 관계자들은 자신의 예술성 및 사회적 가치를 설명하는 언어를 스스로 발명해야 하며, 예술가 당사자들의 입장과 이해관계가 담긴 언어는 보다 현장의 실태에 맞는 적절한 예술 정책이 만들어지는데 큰 기여를 할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국가 정책에 포섭되는 형태만이 예술의 지위를 획득할 수 있는 유일한 방식인지, 국가의 포섭 밖에서 그러한 지위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은 없었는지에 대한 비판적인 접근을 요하기도 한다.

영문초록

Covid-19 and nation-wide quarantine policy took live clubs where Indie music live shows take place under control. In such circumstance, a social movement group ‘Solidarity Group for Survival of Performance Music’ had been organized to deal with quarantine policy. This thesis aims to trace back how this social movement group had been formed, how they reacted and what kind of strategies it carried out. The spread of Covid-19 and harsh quarantine policy on live clubs revealed the fact that there was actually no particular arts policy aimed to support and protect Indie music. ‘Solidarity Group for Survival of Performance Music’ found this problematic and asked Mapo-Gu Office to enact an ordinance for local Indie musicians.
‘Solidarity Group for Survival of Performance Music’‘s attempt to earn state’s recognition of Indie music as an art shows a basic premise in sociology of art that art becomes art within a continuous trouble and negotiation in society. This thesis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Solidarity Group for Survival of Performance Music’’s main target was the state, therefore theories on state’s symbolic power and the conspiracy between modern state and art were taken as a main theoretical analytic frame. Theories on social movement was also used in this thesis in order to trace how the group contested against the state.
This case study on ‘Solidarity Group for Survival of Performance Music’ aims to delve into how art legitimately becomes art in society through the lens of social movement theory. In this process, those in Indie music scene have to invent a logic which proves their artistic and social values that will contribute to an enactment of arts policy better suited to Indie music. However, there still remains a question that whether state policy is the only way to gain legitimacy of art, and it brings another critical question whether there’s any alternative method to gain legitimacy of art, not relying on power of the state.

비고 : MCS-2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