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금융화 시대의 청년 (피)투자자 주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 저자명|박혜정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3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금융문화연구, 청년, 피투자자, 신자유주의 주체성, 학력자본, 계급천장, 능력주의

국문초록

이 연구는 최근의 자본주의 변화가 개인을 바꾼 방식을 고려하는 ‘금융문화연구(cultural studies of finance)’ 관점으로 접근하여, 한국의 상위권 대학에서 제도 교육을 경험한 청년들을 ‘(피)투자자 주체’로 간주한다. 한국은 대외종속적 근대화와 세계화를 겪으면서 가족 단위 교육투자를 통해 국민을 인적자본으로 길러 낸 역사를 갖고, 이에 따라 한때 ‘개천에서 용 나는’ 모델이 통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상위권 대학일수록 고소득층 자녀의 쏠림 현상이 극심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특권화된 학력자본을 보유한 청년 개인들이 어떻게 특수한 경험을 통해 교육을 받아왔고, 이후 학력을 어떻게 활용해 안정적인 직장을 잡는지 질문케 한다. 그러나 이들은 주로 ‘능력주의’ 담론에서 겨냥하는 ‘엘리트 집단’으로 위치되어 왔을 뿐, 동질적인 것처럼 상정되는 대학 집단 내부의 개인들에 대한 차이에 대해서는 충분히 다뤄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금융화와 자산화, 신자유주의 주체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들을 살피고, 부르디외의 ‘하비투스’ 개념을 분석틀로 삼아 청년의 주체화 과정과 각 생애 시점의 전략을 알아본다. 특히 연구자는 신자유주의 주체성과 감정 구조는 자본주의를 심화시킨 경제적 계기로서 금융화를 빼고 설명될 수 없다는 점을 견지한다. 교육이 사회이동의 사다리가 될 수 없다는 믿음이 퍼진 현 상황에서 금융화는 사람들의 경제적·금융적 상상 뿐 아니라 개인이 스스로를 인식하고 만들어 가는 방식에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연구질문은 특권화된 학력자본을 획득한 청년 주체의 생애과정 동안의 전략, 노동시장 진입 시점에서의 학력자본의 기능, 청년 (피)투자자 주체의 미래 전망 양상을 묻는다. 이를 해명하기 위해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인 19명의 연구 참여자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권 대학을 졸업한 현 청년들은 어린 시절 가정에서부터 부모가 본인을 양육하고 교육에 투자하는 방식에 따라서 하비투스를 형성했다. 이들의 부모 세대는 압축적 성장을 경험한 한국이란 사회적 공간을 경험하였기에, 교육이 사회 상승을 이루거나 혹은 안정적 삶을 이룰 수 있게 해준다는 믿음을 공유한다. 그러나 어린 시절의 해외 경험이나 예체능 교육을 비롯한 교육투자를 통해 기입되는 한국적인 문화자본은 계층과 성별에 따라 분화된다. 또한 대학 입시에 가까워질수록 개인은 ‘피투자자 주체(investee)‘로 거듭나는데, 대학에 의해 발탁되고자 자신이 보유한 물질·비물질적 요소를 등급화 하고 자기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때문이다. 특히 고교 다양화 정책 시행 이후로, 유형화가 뚜렷해진 고등학교 환경은 서로 다른 규율의 형식을 취하면서 학생들로 하여금 교육 상황에 따라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전략을 강구하도록 이끈다. 둘째, 이로써 학력자본을 획득한 대학 신입생들은 자신이 실패하지 않았다는 긍정적인 감정을 자산처럼 획득하며, 대학이란 배타적인 공간 내에서 해외 교환학생 프로그램, 높은 시급의 일자리, 학교 내 인맥 등의 형태로 나타나는 사회관계자본과 문화자본의 특권을 얻는다. 그러나 노동시장에 진입을 준비하는 대학 시절 후반기가 되면 다시 피투자 경험의 감각을 되살리며, 자기 선택으로 최선의 결과를 만들어야 한다는 부담을 느낀다. 셋째, 임금 노동자가 된 이후 청년 주체들은 금융 자본주의의 자산화 경향성에 따라 임금소득만으로 생애를 꾸리는 데 한계가 있음을 깨닫고 금융 ‘투자’의 필요성을 인지해 ‘투자자’로서의 주체성을 함께 갖는다. 나아가 피투자와 투자의 연결고리를 함께 사유하는 청년들의 인식 메커니즘은 연애, 결혼, 출산으로 이어지는 친밀성의 영역을 재구조화한다. 결혼은 더 이상 사회재생산을 위한 것만으로 인식되지 않지만, 동시대 청년들은 정상성을 이탈하는 미래에 두려움을 가지면서 30대 중반 쯤 적합한 파트너를 찾아야 한다고 느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개인의 삶을 직접 기획하면서 다음 투자처의 발탁을 기대하는 금융화 시대의 청년들을 ‘(피)투자자 주체’라 호명한다.
유의할 점은 연구 참여자들의 생애 각 시점에서 나타나는 전략에는 계층적 차이가 발견된다는 사실이다. 대학 신입생이 되었을 때, 일종의 사회 상승을 경험한 개인은 하비투스의 분열을 느꼈으며, 새로운 장으로서 노동시장에 진입하고자 하는 순간 자신의 출발점인 원 가정의 자본 상황에 따라 리스크를 다르게 감각한다. 경제자본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는 청년은 빠른 시간 내에 최선의 효과를 낼 수 있는 길을 익숙히 여긴 반면, 중상류층 가정에 속한 이들은 시간과 경제의 조급함에서 멀어질 수 있었을 뿐 아니라 강한 상승 열망을 느낀다. 이처럼 체현된 계급을 기반으로 다음을 그려내는 경향은 미래를 전망하는 관점에서도 드러난다. 그러므로 금융화 시대에 사회 이동을 경험한 주체의 인식에는 일종의 ‘계급 천장(Class Ceiling)’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엘리트 집단으로 표상되어 온 청년들의 생애 궤적과 미래 전망을 분석하여 세대, 젠더, 계급이 교차하는 양상을 탐구함으로써 단절적으로 특정 시기를 다뤄 왔던 기존 청년세대 담론의 한계를 극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선행연구들에서 설명한 현 시대 청년 주체성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경쟁적인 태도를 내면화 하는 품행들로 구성되지만, (피)투자자 주체성은 눈앞의 수익만을 목표로 두기보다 미래에 언제 찾아올지 모르는 (신용) 평가의 가능성 앞에서 자기 가치를 높이기 위해 꾸준히 자기 포트폴리오를 관리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최종적으로 이 연구는 현재의 청년 주체들이 하나의 규범을 향해 유도되기보다, 각자의 궤적에 따른 전략을 수립하면서 불확실한 미래의 시간을 현재로 끌어당기는 방식으로 유인된다고 주장한다.

영문초록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educational trajectories and perspectives of young adults who have undergone institutionalized education at top-tier universities in South Korea, portraying them as "investee/investor subjects". The thesis proposes that cultural studies of finance should emphasize how recent capitalist changes have reshaped individuals. South Korea has a rich historical tradition of cultivating its citizens as valuable human capital, emphasizing familial investments in individual education, particularly within an era characterized by foreign-dependent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Despite this longstanding tradition, the growing prevalence of high-income household children being admitted to prestigious universities raises inquiries regarding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young adults endowed with privileged educational capital acquire and leverage their degrees to establish career trajectories. However, within the discourse of meritocracy, these individuals have often been oversimplified as an “elite group”, neglecting to sufficiently address the significa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within the homogeneous university cohort.
Hence, the study sets out to examine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financialization, assetization, and neoliberal subjectivity, while also exploring the subjectivation process of young adults and their respective strategies at different points over the life course. To achieve this, the study adopts the Bourdieusian concept of Habitus as its analytical framework. Within this context, the research addresses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ly, how have individual strategies been articulated over the life course of the young adults who have received educational investment and acquired privileged educational capital in South Korean society? Secondly, how does the privileged educational capital manifest at the point of entering the labor market after completing higher education? Lastly, what future outlook do investee/investor subjects hold for themselves? In pursuit of these objectives,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 total of 19 interviewees aged between their late 20s and early 30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interviewees have developed their Habitus based on their upbringing and the educational investments made by their parents. This development has been influenced by the belief held by their parents’ generation that educational capital was essential for achieving a stable life. Additionally, as individuals progress their life course and approach university entrance exams, they construct a personal portfolio via evaluating material and immaterial aspects and 'self-appreciate' one's value. This process aims to enhance their chances of gaining admission to top-tier universities, leading them to transition into “investee subjects” who are susceptible to financial governmentality. Secondly, individuals who have acquired the desired level of educational capital hold asset-like positive emotions of not being failed and gain the privileges of social and cultural capital. Thirdly, as individuals engaged in wage labor recognize the limitation of their income, they make financial investments to support their livelihoods. Consequently, they develop a dual identity as both “investee” and “investor”. This perception of simultaneously investing and being invested in affects various aspects of their normative life course and intimate relationships, encompassing elements such as dating, marriage, and childbirth. It is crucial to acknowledge the presence of class differences in the strategies pursued by the interviewees. The individuals experience an initial divergence of Habitus during their freshman period as they recognize varying senses of value influenced by their respective household and education backgrounds within the homogeneous university cohort. As they prepare for the job market, individuals perceive the level of risk differently based on their household’s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This class difference persists even as the individuals embark on their respective career paths, reflecting the manifestation of a ”Class Ceiling“ among subjects who have undergone social mobility in the era of financialization. The research hold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e following ways. Firstly, it delves into the life trajectories and perspectives of young adults commonly portrayed as an elite group. By doing so, the study uncovers the intricate interplay of generation, gender, and class, surpassing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discourses that solely focus on specific periods in the lives of these individuals rather than exploring their comprehensive life journeys. The thesis introduces the concept of “investee/investor subjectivity“ as an alternative framework, highlighting the continuous pursuit of self-valuation in anticipation of potential (credit) rating, as opposed to being driven just by short-term gains. Consequently, the thesis argues that contemporary Korean youth are not driven by a single norm, but rather employ deliberate personal strategies tailored to their individual life trajectories and calculated uncertainties.

비고 : MCS-23-03